• 이용안내
  • 이상한 모자
  • 야채인간
  • 김민하 공화국
  • 신간 안내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윤석열

석열왕은 희대의 포퓰리스트

2022년 2월 23일 by 이상한 모자

석열왕이 처음 정치참여 선언을 할 때만 해도 그의 ‘자유민주주의’가 이 정권의 포퓰리스트적 면모를 일소하고 엘리트의 합리적인 게이트키핑을 부활시킬 도구가 되리라 기대하는 분들이 많았다. 그러나… 여기다가도 몇 번이나 썼지만, “자유민주주의에서 자유를 빼려고 했다” 이 표현부터 느낌이 왔다. 가령 아래 링크들에서 지적한 것들…

http://weirdhat.net/blog/archives/5400

http://weirdhat.net/blog/archives/5451

이제 석열왕이 유세하러 다니면서 집착하듯 내놓는 얘기들을 보면 구태한 얘길 하고 있다는 것에 이견이 없을 것이다. 인기 팬픽작가 중궈니횽도 더 이상… 포기했다. 석열왕의 ‘자유민주주의’는 여러분이 아는 척 하면서 혀가 꼬일 듯한 학자들 이름 말하면서 꺼내는 그 자유민주주의가 아니고 반공주의다.

어떤 대목에선 이게 완전 가짜뉴스로 연결되고 있다. 사실 철지난 좌파 혁명이론 어쩌구부터가, 그 분야에 아주 빠삭한 저 같은 사람 입장에선 코웃음 나오는 얘기다. 근데 뭐 적어도 거기까진 어떤 평가와 해석이라고 치자. 부동산 가격을 일부러 올려서 집 주인 미워하는 사람들이 민주당을 지지하도록 유도하려 했다는 대목에서는 이게 트럼프식 전략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게 인터넷에서는 원래 돌던 얘기다. 근거는 김수현 씨가 쓴 책의 대목이다. 이 책에 대해선 나도 몇 번이나 여기다 썼고 최근 신간에 인용도 했다. 김수현 씨 책에 보면 손낙구 씨 책을 인용해서 부동산 문제는 결국 그냥 집값 문제가 아니고 정치적 계급적 문제라고 평하는 대목이 있다. 자가소유자가 보수적 표심을 보이더라는 얘기가 이 맥락에서 나오는데, 이걸 자가=보수, 임대=진보, 진보=민주당… 이런 게임적 도식으로 이해하는 분들이 이 대목만 사진 찍어 갖고 난리를 치는 거다.

근데 거기서 한 장만 넘기면 손낙구 씨 책에 대한 김수현 씨의 서평이 나오는데, 손낙구 씨 주장을 요약해놨다. 손낙구 씨는 주거 현실에 따라 부동산 1계급부터 6계급까지를 나눠놨는데 각각에 따른 정책 대안도 제시했다. 다주택자에겐 임대소득세와 보유세를 물려 투기목적 보유분을 내놓도록 해야되고, 1주택자는 보호하되 보유세 양도세는 원칙대로 부과해야 하며, 하우스푸어는 자기 집에 다시 들어가 살 수 있도록 해야 하고(내가 알기론 손낙구 씨 본인이 자칭 하우스푸어였다), 전세 사는 사람은 내 집 마련 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하며, 자기 집 마련 당장 못하는 월세들은 셋방살이 스트레스를 없애줘야 하고, 지옥고 사는 사람들은 여기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주거사다리를 제공해줘야 한다… 이 얘기의 어디가 사람들 집 못 사게 해서 민주당을 지지하게 만들자로 해석되나??

그리고 김수현 씨 책의 전체 주장도 그런 얘기완 거리가 멀다. 이 책 핵심 주장을 요약하면 이런 얘기다. 능력이 되는 사람들에겐 집 사는데 부담을 줄이도록 장기저리대출을 해줘야 한다. 그러나 집을 살 수 없는 사람에 대한 대책도 있어야 한다. 공공임대는 확대해야 하지만 한계가 있다. 민간임대시장을 근대화해야 한다. 그러려면 다주택자의 존재를 인정해야 한다. 또 양도소득세 중과를 포기하더라도 임대사업자 등록과 임대소득세 납부를 유도해야 한다… 이게 일부러 집값 올리잔 얘기로 갈 수가 있냐??

심지어 종부세 트라우마를 실증하는 대목도 있다. “거래세는 어쩌다 한 번 내는 세금일 뿐이지만 보유세는 매년 정규 소득에서 내야 하는데, 갑자기 4~5배씩 오른 세금을 누가 좋아할 것인가?”, “필자가 이해하는 한 개혁적 중산층조차 보유세 강화의 당위는 인정했지만 세금 부담에는 내심 큰 불만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써놨다. 그러니까 오히려 정권을 잃기 싫어서 보유세를 쬐끔씩만 티 안나게 올리려고 했던 건데 집값이 오르는 바람에 다 소용없어진 거거든? 이게 석열왕식으로 설명이 되냐?

과연 이런 망상을 진짜로 믿기 때문에 얘기하는 거냐? 난 진짜 모르겠다. 다만 힌트는 있다. 석열왕이 호랑이 사냥을 끝내고 조직을 해체해버린 후에 하신 말씀이 있다. 이제부터는 제 생각을 고집하는 게 아니고 국민이 듣고 싶어하는 얘기를 하겠습니다… 그리고 나온 게 여가부 폐지여. 전형적인 포퓰리스트의 문법이지. 앞의 586공산당 빼고 모두 힘을 합치자는 반공주의랑 합쳐서 보면, 비자유주의적인 자유민주주의랄까? 언젠가 썼듯, 자유-자유민주주의를 개발해야 할 판.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김수현, 반공주의, 부동산 음모론, 부동산은 끝났다, 윤석열, 자유민주주의, 포퓰리즘

그니까 비기축통화국이 뭐냐고

2022년 2월 22일 by 이상한 모자

언론이 또 팩트체크랍시고 계속 하는데… 피곤해 죽겠네. 아침에 다 쓴 얘기, 혹시 쟤가 또 뭐 갖고 저러냐 싶은 분들은 아침에 쓴 얘기를 잠깐 읽으시고. 물론 관심없으시면 이것도 뒤로가기 누르시고…

http://weirdhat.net/blog/archives/6172

http://weirdhat.net/blog/archives/6174

방송뉴스의 이런 저런 팩트체크들 다 대동소이한데 아래 JTBC 것을 보자.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48007

큰 줄기는 다들 아는 내용일 거고 죽 내려가다 보면 이 대목 있지.

[앵커]
비기축통화국들 대부분 우리나라보다 나랏빚이 적다라는 주장입니다. 이거 맞습니까?

[기자]
그렇지는 않았습니다. 저희가 IMF 전망한 자료를 좀 들여다봤는데요. 선진국 35개 나라의 지난해 국가부채비율입니다. 한국의 국채비율 전망치는 51.3%, 25위로 평균보다 상당히 낮습니다. 게다가 윤석열 후보 말대로 비기축통화국으로 대상을 바꿔도 이들 국가의 국채비율 평균은 우리나라보다 높았습니다. 한국 순위는 13개 나라 중에 7위고 앞뒤로 6개의 나라씩 있었습니다. 물론 한국의 빚의 증가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우려는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나라보다 이미 빚이 많다는 건 사실이 아닌 셈입니다.

그럼 여기서 비기축통화국이란 뭐냐? 그래픽을 보면 중간 생략돼있어서 뭘 말하는지 모르겠으나 앞서 그래픽으로 볼 때 일본과 이탈리아를 뺸 건 확실하지. 즉 일본과 이탈리아는 기축통화국으로 분류했다는 거고 즉 엔화랑 유로화를 기축통화로 봤다는 거다.

근데 그러면 기준이 뭐냐고 할 수밖에 없단 말야. 달러가 기축통화인 것은 확실한데, ‘기축통화국’에 일본이랑 유로존을 넣은 근거는 뭐냐. 그건 그냥 유로화랑 엔화 많이들 쓰잖아. 글고 나라빚 얘기하는데 일본을 비기축통화국으로 넣으면 의미가 없지 않겠어? 이 정도지. 근데 아무튼 그렇기 때문에 기축통화국은 국가채무비율이 얼마고, 비기축통화국은 얼마다 라고 할 때는 그렇게 분류한 기준을 말해줘야 되는 거지.

근데 예를 들어 전경련 산하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 같은 경우에, 그냥 우리 생각에 기축통화를 맘대로 규정했습니다 라고 할 순 없는 거잖아. 그래서 SDR 통화 바스켓 편입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라고 하는 거라고. 거짓말 같냐? 그 링크를 앞에 글에다가 첨부한 것임. 지금 화제가 되는 전경련 그 보도자료 말고, 그 이전에… 비기축통화국 중에 우리나라 채무가 3등! 이라고 하는 보도자료에서 이미 SDR 편입이 기준이라고 써놨다니깐! 그니까 윤석열 안철수가 “우리가 비기축통화국에서 채무가..” 라고 말할 때는 그 기축통화 기준이 SDR인거야! 링크 다시 한 번 붙임. 잘 봐. 뭐라고 돼있는지. “주) ▶비기축통화국은 기축통화인 달러 유로 엔 파운드 위안화를 법정통화로 사용하지 않는 국가(IMF 특별인출권(SDR) 통화바스켓 기준)로 OECD 37개국 중 17개국 해당” 이래잖아.

http://www.keri.org/web/www/news_02?p_p_id=EXT_BBS&p_p_lifecycle=0&p_p_state=normal&p_p_mode=view&_EXT_BBS_struts_action=%2Fext%2Fbbs%2Fview_message&_EXT_BBS_messageId=356316

그니까 너네 뭐하는 거냐고. 심지어 옛날에는 위안화가 기축통화가 됐다 기사도 쓰고 그랬다고. (정확하게 쓰려면 중국이 위안화 기축통화화를 추진하는 한 단계로 SDR 편입을 성사시켰다고 했어야 하는 것.)

https://www.news1.kr/articles/?2502871

이 맥락을 반영하지 않고 팩트체크를 쓰면 다들 그냥 변죽만 울리는 결과가 되는 것. 놀랍게도 이 맥락을 그나마 일부라도 반영한 게 매일경제의 자칭 팩트체크였음.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22/02/170062/

여기 보면, 이 워딩 나오지?

다만 한경연 측은 매일경제와 통화에서 “SDR 법정통화를 사용하는 국가(미국·유럽연합(EU)·중국·일본·영국)라고 해도 재정건전성을 따져야 한다”며 “한국의 부채 수준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단순평균과 비교했을 때 발생하는 착시를 해결하기 위해 기축통화 기준을 잠시 활용했을 뿐 일반적인 방식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뒤집어 말하면 “OECD 평균으로 따질 일이 아니다, 우리 부채 비율은 높다!”, 즉 ” “비기축통화국 기준 부채 비율 높다”고 주장하기 위해 다소 임의적으로 SDR을 기축통화국 비기축통화국 나누는 기준으로 활용했다고 말한 것. 이걸 고려해야, 앞의 링크한 제가 아침에 쓴 메모에 썼듯, 이재명이 갑자기 원화 기축통화화 거론한 맥락을 완전히 확인 가능하단 것.

또 막 딴 얘기하지 마시고. 앞의 글에 분명히 기축통화국이면 채무를 지는 게 유리하다고 볼 뿐 기축통화국이면 얼마 비기축통화국이면 얼마 하는 식으로 국가채무비율이 정해진 건 없다고 분명히 썼음. 나는 지금 언론들의 팩트체크라는 것에 대해 얘기하고 있는 것.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국가채무비율, 기축통화, 비기축통화국, 윤석열, 이재명, 팩트체크

IMF 국가채무비율 85% 권고 발언에 대해

2022년 2월 22일 by 이상한 모자

앞에 뭘 쓰다가 햇반 다 데워져갖고 빠뜨린 게 있는데, 이재명이 85% 얘기하고 윤석열이 비기축통화국 얘기하면서 5~60% 얘기한 거. 그 맥락이 뭐냐면…

IMF가 권고성으로 내는 보고서 중에… 과거에 저성장 시대이고 금융위기 극복 잘 안 되고 하니 선진국들이 GDP 대비 국가비율 85% 이내에서 재정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한 게 있다는 거다. 그러면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냐 따져봐야 되는데, IMF를 비롯한 국제기구들의 여러 기준을 적용하면 선진국으로 분류돼있다.

따라서 이 기준으로 보면 선진국이라고 해도 무방. 그래서 85% 이내 한도내에서라면 재정 지출을 늘릴 필요는 있다. 다만 그게 꼭 국가채무를 85%로 꽉 채우라고 한 건 아니다. 또 선진국으로 분류된 국가들 중 한국은 국가채무비율 자체는 낮지만 증가속도는 빠르다는 IMF 등의 분석도 있다. 윤석열이나 안철수가 국가채무비율 얘길 하고 싶으면 이 지점을 짚는 게 더 효율적이었을 것.

그리고 앞서 쓴 글 중에 기축통화국 기준을 전경련 산하 기관이 SDR 편입 됐느냐로 뒀다는 것의 근거… 사람들이 안 믿을까봐 링크 첨부한다.

http://www.keri.org/web/www/news_02?p_p_id=EXT_BBS&p_p_lifecycle=0&p_p_state=normal&p_p_mode=view&_EXT_BBS_struts_action=%2Fext%2Fbbs%2Fview_message&_EXT_BBS_messageId=356316

그니까 너네가 하시는 말씀들, 완전 틀린 말은 아닌데 그렇다고 완전 맞는 말도 아니라는 것.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IMF, SDR, 국가채무비율, 선진국, 윤석열, 이재명
« 이전 1 … 29 30 31 … 72 다음 »

최근 글

  • 엘리트-포퓰리즘과 포퓰리즘-엘리트주의
  • 좋은 말로 하면 악플이 아니게 되나?
  • 이단이 되어야
  • 주식 투자를 10억씩 하는 사람들의 훈계
  • 행복한 사람, 오지 오스본

분류

누적 카운터

  • 1,489,930 hits

블로그 구독

Flickr 사진

추가 사진

____________

  • 로그인
  • 입력 내용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Copyright © 2025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Omega WordPress Theme by Them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