뭘 잘못했는지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

이래 저래 곤란한 입장도 있고 하지만, 답답하다. 물론 억울한 것도 있으리라 본다. 어떤 부분에선 과도한 비난을 받는 대목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잘못한 것에 대해 뭘 인정하고 나야 억울한 얘길 거들기도 하고 그러는 거지, 그런 것도 없이 원래 다 이렇게 하는데 우린 억울하다 이 한 마디로 다 퉁치려고 하니, 다른 얘길 하고 싶지가 않다.

계속 지켜보다 보니 진짜 그렇게 생각하는 거 같다. ‘원래 다 이렇게 한다’고. ‘원래 다 이렇게 한다’고 생각하는 걸 했는데 상황이 계속 이상해지면, 원래 다 이렇게 하는 게 맞는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는 거 아닌가? ‘원래 다 이렇게 한다’는 미명 하에 얼마나 많은 것들이 희생됐나? 제가 A부터 Z까지 다 아는 건 아니지만, 제가 알기로 ‘원래 다 이렇게’ 하지는 않는다. 거기서만 통용되는 게 있는 거다. 그게 본인들 생각에 좋은 쪽으로 작용하는 것도 있는지 모르겠지만.

신문에서 이런 일이 일어났다 쳐보자. 신문에서 여론조사 보도하면서 특정 정당이 자기들을 선전할 목적으로 제작 제공한 이미지를 써서 논란이 됐는데, 애초 해명은 사실 관계가 맞지도 않고, 계속 논란이 되자 ‘원래 다 이렇게 한다’고 하더니 언론을 흔들지 마라 큰 소리 친다고 생각해봐라. 그걸 잘 한다고 하나?

다들 불평하는 것과 달리 저는 여기에 무슨 대단한 정치적 음모나 유착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 문제의 본질은 저널리즘적 고민과 훈련이 아니라 청취율, 조회수, 클릭수에 압도적으로 경도된 제작 방식에 있다. 숫자에 매몰돼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방식을 정당화 하면서, 나머지 고민해야 할 문제는 다 부차적으로 취급하고, 누군가 그 ‘부차적 문제’를 지적하면 ‘흔들기’니 ‘모함’이니 하며, 자신들만의 ‘원래 다 이렇게 하는 것’을 계속 강화해 온 후과를 치르는 거다. 물론 이번에도 결말은 다르지 않으리라 본다. 또 피해자가 되어 가지고 지금까지 하던 방식이 맞다고 하는 확신을 한 번 더 얻는 걸로 귀결되겠지.

그런 점에서, 이 문제의 본질은 의외로 정치적 소재가 아니라 사건사고적인 것, 가령 2021년의 이런 사례에서 발견할 수 있다.

5기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성범죄 뉴스를 다루면서 출연자가 가해자의 성범죄 행위를 지나치게 자극적이고 선정적으로 묘사한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권고를 의결했다.

(…)

해당 방송의 ‘탐정 손수호’코너에서 진행자인 김현정씨와 출연자인 손수호 변호사가 12년 동안 벌어진 의붓딸에 대한 성폭력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가해자의 성범죄 행위를 수차례 선정적으로 묘사했다. 손 변호사는 해당 건과 비슷한 사건이 생각보다 많다며 친족에 의한 강간과 강제추행 사례들을 다수 소개하고, 해당 사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협박을 하면서 말한 내용까지도 그대로 인용했다.

아울러 “자극적인 예를 전달할 목적이 아니며 끔찍한 일이 우리 주변에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경각심을 갖고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을 알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현정씨는 “너무 끔찍하다고 불편하다고 외면하면 그다음에 대안을 세울 수 없는거니까 좀 어려워도 이 사건 들여다보겠다”고 말했다.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781

2021년 11월의 문제의 방송 내용은 아래 링크에도 전문이 남아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649568

주목할 것은 출연자가 원고를 읽고 있다는 점이다. ‘방송을 해본 사람’으로 말하자면, 저건 사전에 100% 제작진에게 제출하고 검수받은 내용이라는 뜻이다. 아이템 선정도 제작진과 협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내 생각엔 제작진에 주도권이 있었을 거다. 순전히 내 주관적 느낌이지만 출연자는 별로 이 내용을 다루고 싶어하지 않는 것 같기도 하다.

라디오 PD라는 사람들은 대개 음악 방송 PD를 꿈꾸고 그걸 하고 싶어한다. 시사 프로그램 PD가 되고 싶어서 라디오 PD 되는 사람은 잘 없다. 저널리즘적 훈련 그런 거 보통 없다. 그나마 이 회사가 시사 방송 관련 인적 인프라가 좀 있는 편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런 식이다. 여기서 유튜브를 맨날 욕하지만, 유튜브와 큰 차이도 없는 세상으로 다들 질주하고 있는 것이다.

또 푸념

푸념만 쌓인다. 지난주 목요일부터 몸 상태가 좋지 않은 듯 했다. 금요일은 콧물이 많이 나왔다. 알레르기 비염약을 먹었는데도 듣지 않았다. 이상하다고 생각했다. 유튜브 방송을 하러 가서야 이게 감기일 수 있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러고보니 평소 아팠던 모든 곳이 2배로 아팠던 거였다. 두통도 요즘에는 발작의 빈도가 상당히 줄었고 발작이 오더라도 저강도로 오는데 이상하게 지난주에 말썽이었고, 괜찮았던 잇몸도 염증이 생겨 퉁퉁 붓고 피가 나고 하는 것이었다. 목 뒤도 근육통이 있어서 목이 뒤로 잘 젖혀지지 않았다. 이게 다 몸살 기운이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토요일이 되니 고통은 클라이막스에 도달하였다. 글쓰기 작업을 하리라 생각했는데… 윤석열이 풀려 나지를 않나… 아픈 몸을 부여잡고 방송 원고 작업을 해서 라디오 방송을 하러 갔다. 어쩌구 저쩌구 떠들고… 원래는 기타를 배우러 갈 작정이었으나 윤석열 석방에 분기탱천한 나루님이 거리로 뛰쳐 나가는 바람에 기타를 배우지 못하고 노구를 이끌고 귀가했다. 집에 와서 그래도 뭔가 쓰리라 생각했으나 잘 되지 않았다. 몇 마디를 쓰긴 썼으나 만족스럽지 않다. 한 주 동안 이 정도 밖에 진도를 나가지 못했다면, 완성에는 1년은 걸린다. 그럴 수는 없지 않겠는가…. 사람들이 극우 얘기 하고 이럴 때마다 몸이 들썩 들썩 한다. 나도 할 말 있는데 싶어서… 뭐 그리 신통한 얘긴 아니지만.

일요일이 되니 상당히 개운해졌다. 밀린 집안일을 하고 밥을 먹고 글을 몇 줄 쓰고 기타를 배우러 갔다. 기타를 한참 배우고 있는데 어제 간 라디오 방송국에서 전화가 왔다. 부르기로 한 분이 단식에 돌입해서 부르기가 어려워 졌다며 와서 시간을 메꿔달라는 거였다. 알겠다고 하고 기타 수업을 마친 후 급히 방송국으로 이동해 또 한바탕 떠들었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와, 또 밥을 먹고, 글 몇 줄 쓰니 이제 심야이다.

내일은 일찍 일어나야 한다. 그리고 이번주는 바쁜 주다. 고비가 될 것이다.

고비… 앞으로 일도 다 없어지고 보릿고개가 올 것이다. 그런데 애플 녀석들이 맥북 신제품을 공개하였다. 맥북 에어 최저사양은 상당히 끌린다. 진정해야 한다. 아직도 정신을 못 차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