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안내
  • 이상한 모자
  • 야채인간
  • 김민하 공화국
  • 신간 안내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한동훈

한동훈식 동료시민 타령의 실체

2024년 1월 1일 by 이상한 모자

내가 보다못해 쓴다. 동료시민이라는 말을 미국의 마이 펠로 시티즌에서 온 걸로 많이들 해석하지만, 국내적으로는 국민이라는 용어에 담긴 국가주의적 맥락에서 탈피하고 싶을 때 활용한 맥락이 있다. 소수자들과의 연대의식이나 이런 거 강조할 때 있잖나. ‘국민’의 맥락에서 ‘비국민’ 취급되어 온 소수자들도 모두 같은 동료시민이고, 그런 맥락에서 연대하자고 할 때 활용하기 좋은 단어이지. 가령 이런 맥락이다.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36236786?cat_id=50010200

그런데 한동훈씨가 얘기하는 거는 이런 얘기랑 다르다. 어떤 맥락에서는 완전 반대다. 가령 오늘 하는 얘기를 봐라.

참배 이후에는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신년인사회에 참석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우리가 지향하는 자유민주주의 사회는 낯선 사람들 사이 동료의식으로 완성된다”며 “재해를 당한 낯선 사람에게 운영하는 찜질방을 내주는 자선, 연평도 포격 당시에 한 달 동안 주민들께 쉴 곳 제공하셨던 인천 인스파월드 박사장님 같은 분, 지하철에서 행패 당하는 낯선 시민 위해 대신 나서준 용기 같은 것이 제가 생각하는 동료시민 사회 동료 의식이다”고 했다.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4/01/01/3PYLXJDHXJG5BIBRKWXEN72YVU/

국민일보의 보도에 의하면 이런 얘기도 했다고 한다.

한 위원장은 비대위원장 취임 후 주변에 “국민이라는 말은 현실에서 잘 와닿지 않고 추상적인 느낌이 강하다”면서 “이에 비해 동료시민은 출퇴근시간에 스쳐 지나가고 카페에서 커피를 기다리며 내 앞뒤로 줄 서 있는 분들을 떠올리게 하지 않나”는 평소 철학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337557&code=11121100

단지 표현의 문제일까? 국민 대신 쓰는 말에 지나지 않는 것일까? 아니다. 한동훈씨가 법무부 장관 퇴임할 때 “상식있는 동료시민과 함께 미래를 위한 길을 만들고 같이 가겠다”고 했다. ‘동료시민’에 ‘상식이 있다’는 속성이 수반된 것인지, 아니면 ‘동료시민’의 범주가 있는데 그 중 특별히 ‘상식있는’ 부류와만 함께하겠다는 것인지 애매할텐데, 오늘 한동훈씨가 든 동료시민의 사회 동료 의식의 예를 연결해보면 ‘동료시민’은 일반 국민 중에서도 특별히 상식을 갖춘 선진적 인물의 부류를 지칭하는 걸로 보인다.

이런 맥락을 다 종합을 하면 한동훈식 동료시민이란 뭘까? 일반 국민 중에서도 특별한 부류이다. 이 특별한 부류는 대개 ‘정상인’이며 ‘공공선’이라는 명분 하에 국가를 대신해 자기희생을 감수할 수 있는 물적 기반을 갖춘 존재들이다. 한동훈식 정치는 그런 분들을 특별히 호명해 “함께 가면 길이 됩니다”라고 하는 거고, 그런 분들이 사회를 이끌면서 불순한 운동권들을 제거하고 소수자 등의 못난 이들에게 시혜를 베풀면서 지도를 하면 좋은 나라가 된다고 주장하는 거다. 그러니까 그게 선민의식이고, 엘리트주의고, 그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은 사회에 기생하는 좀벌레나 같은 것들이니 박살내자고 하는 게 전체주의고 그런 거지.

부당거래라는 영화를 보면 검사들이 봉사활동 한다고 노숙자들 배식하는데 가서 밥 퍼주고 그러거든? 그러면서 기자한테 우리 검사들이 평소에 좋은 일 많이 한다고 기사 좀 잘 써달라고 하고 그런다고. 그게 동료시민이다. 좋은 말 또 하나 오염됐네… 이거 참…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동료시민, 한동훈

역시 윤석열의 본체는 한동훈

2023년 12월 27일 by 이상한 모자

어제 한동훈씨의 일장 연설을 보며 이것봐라, 역시 본체가 여기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서울에서 싸우고 경기에서 싸우고 이 구절 들으면서 이거 덩케르크 마지막에 나오는 처칠 연설 그건데… 하는 생각이 들어 찾아봤는데 처칠 연설이라기엔 좀 애매한 느낌이어서 고개를 갸우뚱 했다. 공포는 반응이고… 이거는 어디서 들은 얘긴데 싶었으나 기억이 안 나서 그냥 넘어갔다. 근데 저녁 때 보니 종편이 다 처칠 얘기 하더라.

처칠이라고 하면, 기억나시나? 윤통이 대선 때도 처칠, 연설하러 와서도 처칠 타령 한 것? 김순덕씨의 처칠 시리즈를 일으며 리마인드 해보시라.

16일 국회 첫 시정연설에서 ‘처칠과 애틀리의 파트너십’을 말한 건 그냥 초당적 협력을 당부한 게 아니었다. 윤 대통령의 머릿속에선 자신이 처칠이고, 한덕수 총리는 노동당 당수로 전시(戰時) 내각의 부총리를 맡았던 클레멘트 애틀리였던 거다.

(…)

국민의힘 대선 후보 시절, 윤 대통령은 SBS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 나와 처칠을 존경하는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영국이라는 한 나라만이 아니라 세계가 어려웠을 때, 그야말로 그 당시에 나치와 타협하자는 정치권의 요구가 많았거든요. 그런데 국민들을 설득하고, 자기의 확고한 어떤 비전을 가지고 국민들과 함께, 이런 어려움을 돌파해나가서, 이런 자유민주라고 하는 무너질 뻔한 질서를 다시 회복시킨 그런 측면에서, 저는 영국을 떠나서 정말 세계적으로 많은 분들이 좀 사표(師表)로서 배워야 하는 분이 아닌가, 그렇게 생각합니다.”

(…)

윤 후보는 여의도 지하철역 앞에서 출근길 시민들에게 깍듯하게 고개를 숙인 적이 있다. 당내 갈등이 높아지고 지지율은 떨어질 때, 국민의힘 젊고 건방진 대표가 대선 후보에게 출근길 인사를 숙제로 내준 것이다.

이걸 해? 말아? 밤새 고민하던 그는 ‘다키스트 아워’의 지하철 장면을 떠올리고는 지하철역으로 갔었다. “처칠처럼 국민만 보고 정치하겠습니다.”

https://www.donga.com/news/dobal/article/all/20220522/113549648/1

처칠의 성격부터 짚자면, 같은 토리당 의원조차 그를 허풍쟁이·이기주의자·깡패·망나니·영락없는 술꾼으로 여겼다. 처칠을 탁월한 인물로 봤던 사람들도 그가 지나치게 흥분하거나 대중의 감정을 잘못 읽고 행동한다며 경악을 금치 못했다. 남성우월주의자, 인종 차별주의자였던 건 물론이다.

그럼에도 존슨은 “영국인의 국민성은 대체로 처칠의 성격과 비슷해서 유머러스하지만 때로 호전적이고, 무례하지만 전통을 고수하고, 한결같지만 감상적이고…음식과 술에 예민하다”고 썼다. 날 때부터 금수저 귀족 출신이지만 부모의 기대에 못 미칠까 걱정하고, 나이 들어서도 건강을 해칠 만큼 먹거나 마시고, 불리한 조건을 무릅쓰고 분투한다는 점에선 처칠도 영국의 보통사람과 다름없었던 모양이다.

그렇게 치면 윤 대통령도 조금은 비슷하지 않나 싶다. 무례하지만 전통적이고 한결 같지만 감상적이기도 하다는 점 등은 한국 꼰대의 특징 아니던가.

https://www.donga.com/news/dobal/article/all/20220719/114523666/1

연설문 구성을 봐도 윤통 스타일 그대로다. 첫째, 중도적 지향에 대한 기대를 수사로 퉁친다. ‘동료시민’이니 하는 얘기가 그거다. 둘째, 대한민국 역사를 ‘운동권 빼고’로 독점하는데 여기서 ‘운동권’의 범주에는 보통 문재인 이재명 주사파 등이 들어가고 ‘운동권’의 여집합에는 이승만, 백선엽, 박정희, 이병철, 정주영에 1987 넥타이부대가 들어간다. 셋째, 대한민국 모든 모순을 ‘운동권=민주당’ 도식에 우겨 넣는다. 넷째, ‘우리 편’에 대해서는 적당히 하는 시늉만 한다. 이게 정확히 윤통이 지금까지 우리에게 보여줘 온 모습이다.

보수언론 반응을 보면 종편에서는 상당히 띄워주려고 하는데 신문에서는 띄울까 말까 하면서 불만족해하는 분위기다. 모든 신문이 걱정을 하고 있다. 조선일보 사설 제목이 <한 위원장, ‘초현실적 민주당’ 못지않은 정부·여당 직시해야 성공>이다. 아래와 같이 썼다.

그는 그런 민주당을 왜 국민의힘이 압도하지 못하는지 함께 반성하자고 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왜 그런 상황에 이르게 됐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그것은 국민이 민주당 못지않게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갖고 있는 문제를 심각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 문제가 뭔지 국민도 알고 한 위원장도 안다. 한 위원장은 민주당을 향해 ‘초현실적’이라고 했지만, 대통령 임기 1년 반 만에 여당 대표 2명이 쫓겨나 세 번째 비대위가 출범하고, 대통령 부인 특검이 정치권의 최대 이슈가 된 것도 전례 없던 일이다. 그런데도 이에 대한 대통령실의 납득할 만한 설명이 없으니 국민이 답답해하는 것이다. 대통령 부인 문제에 대한 대책은 전혀 제시하지 않은 채 특검 거부권만 행사한다고 한다.

한 위원장은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 “사극에 나올 법한 암투는 끼어들 자리가 없다”며 “우리는 우리 일, 대통령은 대통령의 일을 하면 된다”고 했다. 실제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한동훈 비대위의 성패는 윤 대통령과의 관계에 달려 있다. 검사 시절과 같은 부하 관계인지, 아니면 해야 할 말은 하는 비상대책위원장인지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질 것이다.

https://www.chosun.com/opinion/editorial/2023/12/27/KOXACCEINBCQ3LRI3AKGKTWI7E/

중앙일보 사설 제목 <한동훈, 대책 없이 ‘김건희 특검’ 반대만 해선 민심 못 얻는다>, 동아일보 사설 제목 <한동훈 비대위, 尹心 넘어서야>이다. 내용은 굳이 인용 안 한다.

한동훈씨의 불출마에 대해서는 어제 라디오 방송에서 얘기했는데, 선거제도 확정 후의 일로 남겨놔도 되는데(비례 후순위 전략 등이 있으므로) 지금 얘기하면서 굳이 그걸 특권 내려놓기 전략으로 말하는 거는 다 날려버리겠다는 거다, 다만 그게 윤심 공천이 될지 개혁 공천이 될지는 결과를 놓고 봐야 아는데, 비대위원장 취임 전부터 당정대가 휴일에 회의를 열고 김건희 특검 운신을 최소화 해놓은 걸 보면 후자가 되긴 어려울 거 같다… 이렇게 해석을 했다. 오늘 신문들도 대개 그런 시선인데, 특히 ‘개혁공천’이 되기를 바라는… 조선일보가 따로 기사를 썼다.

여권 관계자는 “한 위원장이 선제적으로 불출마를 선언하며 친윤·중진 의원들의 불출마 또는 험지 출마 요구가 나올 수 있다”며 “연설에 담긴 여당에 대한 비판적 평가 역시 현역 의원 상당수를 교체하겠다는 뜻으로 읽혔다”고 했다. 앞서 인요한 혁신위원회는 당 지도부, 중진·친윤 의원들의 ‘희생’을 요구했지만 이에 호응한 인사는 친윤 핵심 장제원 의원이 유일했다.

여권의 차기 대선 주자가 이번 총선에서 ‘배수진’을 쳤다는 의미도 있다. 한 여당 중진 의원은 “불출마는 한 위원장이 정치생명을 걸고 내년 총선에 크게 베팅한 것”이라며 “총선에 승리한 당대표 타이틀로 대선에 직행하려는 것 같다”고 했다. 다만 총선에서 패배한다면 대선 도전이 아예 물거품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https://www.chosun.com/politics/2023/12/27/SL2FMOSSDBDW7LB4SMQZEHOZLU/

시방쇼에서는 내가 한동훈이면 비대위원장 마친 다음 그냥 집에 갈 거라고 했다. 대선을 노리고 있다면 윤통과 대척점에 있는 리더십으로 거듭나기 위한 목욕재계와 세탁이 필요하다. 어제 중궈니횽 얘기하는 거보니까 나만 하는 생각이 아닌거 같은데, 진짜 거기까지 생각하는지는 건지 아니면 중궈니횽이 혼자 들떠서 얘기하는 건지(요즘 혼자 들뜨는 경우가 많은데, 후니횽과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 분으로 알아서 얼마나 진지하게 들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윤석열, 처칠, 한동훈

정치 초짜들의 비대위 소동

2023년 12월 26일 by 이상한 모자

이수정 교수가 비대위원을 하는 거냐 마는 거냐 두고 요절복통 하는데, 난 처음부터 개웃기다고 생했다.

이렇게 생각해보시라. 지금 수원정에 공천이 끝난 것도 아니고, 그냥 본인이 멋있게 하겠다고 나선 것에 불과한 상황. 근데 거기다가 비대위원 하실래요? 이렇게 물어본 쪽도 웃기고, 그걸 또 낼름 아 내가 해야 되는구나 그럼 하지 뭐, 이렇게 답한 쪽도 웃기고. 그냥 웃긴 거지. 생각해보세요. 그 동네 사람들 입장에서. 이수정 교수라고 윤심을 등에 업었는지 그런 거 같은데 갑자기 와서 자기가 출마를 한대. 원래 준비하던 사람들 술렁술렁 하겠지. 그러나 윤심을 이겨? 일단 조용히 있는데… 근데 또 비대위원을 한대. 그럼 어떻게 되냐? 선수도 하고 심판도 하냐부터 시작해서, 비대위하면서 선거는 언제뛰냐 까지 별 얘기 다 나올 거 아니냐. 그래서 제가 시방쇼에서도 지역구 선거 나가실 분들이 비대위원을 할 수 있을지는 거 잘 모르겠다 라도 말씀드린 것임. 그래서 상황 이상해지니까 부랴부랴 오늘 아침에 라디오 인터뷰 2개씩 잡고 저 비대위원 안 합니다 그거 아니고요… 이렇게 정리한 것임.

결론은 뭐다? 제안한 쪽이나 그걸 언론에다 까고 받겠다고 한 쪽이나 정치 초짜라서 벌어지는 일이란 거지. 또 하나 알 수 있는 건 제안하신 분도 주변에서 별 코치를 안 받고 제안을 하니까 이런 일이 벌어지는 것으로… 앞으로 일어날 초짜들의 요절복통 사건사고를 이게 다 예고하는 바로 볼 수 있다는 것. 그니까… 건방떨지 마시고, 텔레그램보다 더 무서운 시그널 같은거 쓰지 마시고, 아이폰 비번 24자리 쓰지 마시고, 까불지 마세요 이런 보도가 그래서 나오는 것임.

htt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3/12/26/5YJWRFNQZZE5FBP57KE74P374U/

비슷한 논리로, 비대위원장님은 지역구 출마는 없고 적정 순번의 비례대표로 등록하셔야겠지. 옛날 더블민주당에 제2의 김종인 집에 가버림 사태가 안 되려면…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비대위, 이수정, 한동훈
« 이전 1 … 10 11 12 … 24 다음 »

최근 글

  • 좋은 말로 하면 악플이 아니게 되나?
  • 이단이 되어야
  • 주식 투자를 10억씩 하는 사람들의 훈계
  • 행복한 사람, 오지 오스본
  • 극우와 보수 구분하기

분류

누적 카운터

  • 1,488,800 hits

블로그 구독

Flickr 사진

추가 사진

____________

  • 로그인
  • 입력 내용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Copyright © 2025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Omega WordPress Theme by Them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