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안내
  • 이상한 모자
  • 야채인간
  • 김민하 공화국
  • 신간 안내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안과

건강 걱정

2025년 4월 4일 by 이상한 모자

처방전대로 안경을 맞추러 갔다. 이런 저런 사정을 이야기 하면서 여분의 안경을 주며 처방전대로 맞춰달라 했다. 안경점은 안경테를 팔고 싶은 것 같았지만 그냥 있는 걸 쓰기로 했다. 그리고 나서 집으로 돌아와 식사를 하고 또 작업을 위해 일찍 떠나려는데 안경점에서 전화가 온 거였다. 처방전에 PD값이 이전보다 10밀리미터가 줄어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는 거냐? 병원에 전화해서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다…

상식적으로는 오기일 것이다. PD값이라는 건 동공 사이의 거리인데 굴절하고는 관계가 없고 프리즘 처방도 한 바 없으니 그걸 10이나 줄일 이유가 없었다. 그러나 사위든 사시든 편위든 아무튼 그 문제를 확인하긴 했으니(헤스 스크린 테스트를 했는데 문제가 있었다) 혹시 이 문제 관련인가 싶은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병원에 전화를 했는데 이런 전화가, 특히나 요즘 같은 때에, 더군다나 큰 병원에… 연결이 잘 될 리가 없다. 수차례 시도하여 간호사와 연결이 되긴 했는데 자긴 접수 담당에 불과하다며 설명을 제대로 들으려 하지 않았다. 어떻게든 전달만 해달라고 우기는 데까지는 했으나 답변을 언제 들을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돌아왔다.

이런 저런 생각이 들었다. 왜 안경 하나 맞추는 데에도 이 고생을 해야 하는가? 눈이 왜 이렇게 되었는가? 왜 이렇게 되었느냐면, 원래 그렇게 생긴 눈이기 때문이다. 원래 그렇게 생겼는데 젊어서는 조절력으로 버텨왔으나 나이를 먹어서 이제 조절력에 한계가 온 것이다. 안검하수도 그런 거고… 사시가 생긴 것도 뭐 비슷한 이유다. 하나의 균형이 무너지니까 다른 모든 것의 균형이 순차적으로 무너지고 있는 중인 거다.

우리가 눈빛이라고 그냥 표현을 하는데, 사실은 눈빛이라기 보다는 초점일 거다. 눈의 초점이 잘 맞는 느낌의 사람이 있고 아닌 사람이 있다. 눈의 초점이 안 맞는 상태인 사람의 눈을 보면 눈빛이 이상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근데 그건 뭐냐, 양안시의 문제인 거다. 그런 문제는 왜 생겼는가? 나처럼 나이를 먹어서든지 뭐 그런 문제 아니겠나? 눈에 조여져 있던 나사가 점점 풀리는 거지. 그런 생각을 하다 보니까, 문득 내가 무너지고 있구나 라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다.

그런 생각에 이르렀는데, 병원에서 전화가 왔다. 역시 오기였다고 한다. 우울한 기분은 가시지 않았다. 방법도 없고… 앞으로 점점 더 심해질 것 아닌가? 마음이 조급해졌다. 이렇게 뭔가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는 것도 의외로 얼마 시간이 남지 않았을 수도 있겠다는 망상에 사로 잡히게 된 것이다… 여기까지 쓰니 빨리 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Posted in: 신변잡기, 잡감 Tagged: 눈, 복시, 사시, 안경, 안과

안과 간 이야기

2025년 3월 31일 by 이상한 모자

황금 같은 시간을 안과에 써버렸다. 한 2시간 넘게 안과에 있었던 것 같다. 지금까지 간 데 중에 가장 큰 병원이었다. 이번에도 할 수 있는 모든 검사를 다 했다. 펜타캠이라는 14만원짜리 비급여 검사까지 추가하여 하여튼 별짓을 다 했는데…

의사의 해석은 역시 고위수차라는 것이었다. 펜타캠 결과를 보고 ‘보통 이 정도로 차이가 나지는 않는데…’ 라고 하더라. 아무튼, 안경으로는 교정되지 않는 고위수차가 존재하고, 이 때문에 단안복시가 있는 것이고, 이걸 보상 하려는 과정에 눈의 쏠림이 심해지는 것 같다는 얘기였다. 해결책으로 하드렌즈를 맞출 수 있지만 그건 그것대로 단점이 있고, 눈의 쏠림으로 인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프리즘을 쓰면 오히려 수평 방향의 복시가 생기는 것이 우려된다고 했다. 결론은, 아직 왼쪽 눈은 좋으니 그걸로 그냥 좀 버텨봐라…

대신 오른쪽 눈 난시 도수를 좀 뺀 처방전을 써주더라. 시력검사 하는데 난시를 좀 빼니까 더 선명하게 보이더란 말임. 오늘 검사를 해보니 오른쪽 눈 난시 도수가 -4.75까지 나오는 거 같은데, 내 생각에 이건 고위수차 때문에 과하게 잡히는 것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가 없다. 의사가 써준 처방전은 -2.50이다. 현재 안경의 난시 도수는 -3.00인 걸로 보인다. 그니까 이게 지난 번에 안경점에서 그렇게 된 게 이유가 다 있는 거다.

하여간 결국 해결책은 없고 그냥 버티게 됐네…

Posted in: 신변잡기, 잡감 Tagged: 고위수차, 안과

안경 이야기

2025년 2월 22일 by 이상한 모자

어제 새로운 안경 렌즈를 받아 안경테에 장착을 하여 테스트를 계속 진행하는 중이다. 그렇게 드라마틱하게 나아진 건 없고 문제의 오른쪽 눈이 아닌 왼쪽 눈의 난시 도수를 올렸으므로 그 부분의 개선이 있는 정도이다. 어제 유튜브 방송에서는 그냥 설명만 했지만, 난 역시 상당한 불신을 갖고 있는데, 왜냐면 역시 집 근처의 새롭게 찾아간 이 안경점의 해법도 해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먼저 안경점을 찾아가서 오른쪽 렌즈의 도수를 올리고 싶다 라고 했다. 나는 종합적으로 그렇게 해주리라 기대했는데 근시 도수를 올리자는 말로 알아들은 모양이다. 난시 도수를 올리고 싶다고 했어야 했는데… 그래서 노안이 오셨는데 이 안경이 멀리도 가까이도 최적화 된 안경이 아니라 흐리게 보일 수 있고 따라서 다초점 렌즈로 하셔야… 이런 설명을 한참 하더라. 그게 아니고!! 두 개로 보인다고요!! 두 개로 보인다는 설명을 계속 했는데, 뭔 말인지를 모르는 거였다. 못 알아 먹어서 심지어 그림을 그려야 했다. 이렇게 두 개로 보인다고… 오른쪽 눈으로 볼 때 이렇게 수직으로 글자가 두 개로 보인다…

그렇게 문제가 뭔지를 이해시키는 데에만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동그라미에 십자가 들어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검사를 하더라. 동그라미 안에 십자가 있어야 되는데 나는 십자가 동그라미를 벗어나 저~ 멀리 우측 상단에 보이더라. 왼쪽으로요 좀 아래로요 좀 왼쪽으로요 이렇게 자기보고를 해서 동그라미 안에 십자를 넣는 과정을 반복했다. 결론은 당신은 오른쪽 눈에 사위가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사위 -> 프리즘 렌즈, 이 논리로 가는 거였다. 하지만 프리즘을 실제 적용해 보았을 때 드라마틱한 효과는 없어 일단 프리즘은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러면 문제의 오른쪽 렌즈는 별로 크게 변한 게 없게 된다. 그렇지 않느냐고 물어보니, 축을 좀 교정했다고 하더라. 그렇게 나온 렌즈의 조합을 끼우고 망원경 같은 도구를 들여다 보라고 해서 보니 초록색 파란색 구가 있는데, 아마 하나로 보여야 하는 것 같은데 나는 두 개로 보이고 오른쪽 구가 우상단으로 치우쳐 보이더라. 확실히 양안시 문제가 있긴 있는 거 같았다.

근데, 문제는 뭐냐면, 애초에 내가 해결하고 싶은 것은 오른쪽 눈의 단안복시 아니냐. 프리즘은 양안시 교정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프리즘을 넣는다고 해서, 애초에 뭐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다초점 렌즈는 역시 가까운 곳과 먼 곳의 볼 때 초점의 문제이지 단안복시의 해결법이 아니다. 물론, 사위와 단안복시의 원인이 같은 원인일 수는 있다. 오래 전에 대상포진이 눈 근처에 온 일이 있는데, 거기서부터 뭔가 문제가 생겼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고… 이렇든 저렇든 고차방정식의 눈이 아닐 수 없다. 늙으니까 이런 설움이… 병원을 가라 이런 말씀들 많이 하시겠지만 이미 몇 차례나 갔다고요. 작은 병원의 결론: 큰 병원 가봐라. 조금 더 큰 병원의 결론: 안검하수 수술 해볼래? … 3월 말에 작년 8월부터 시도해왔던 또다른 큰 병원 안과 예약해 놓은 것이 잡혀있다. 거기서 끝장을 봐볼 예정이다. 안과, 안경점 좋은 일만 시키고 이게 다 뭐냐.

Posted in: 신변잡기, 잡감 Tagged: 눈, 안경, 안과
1 2 3 다음 »

최근 글

  • 이단이 되어야
  • 주식 투자를 10억씩 하는 사람들의 훈계
  • 행복한 사람, 오지 오스본
  • 극우와 보수 구분하기
  • 비난을 위해 남의 노동을 이용하는 사람들

분류

누적 카운터

  • 1,486,970 hits

블로그 구독

Flickr 사진

추가 사진

____________

  • 로그인
  • 입력 내용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Copyright © 2025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Omega WordPress Theme by Them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