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안내
  • 이상한 모자
  • 야채인간
  • 김민하 공화국
  • 신간 안내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노동

비난을 위해 남의 노동을 이용하는 사람들

2025년 7월 7일 by 이상한 모자

유튜브 세계에 살다 보니 부쩍 그런 느낌의 사람들이 많이 보인다. 원래 그런 사람들이 많은 건지, 아니면 많아진 건지, 그동안 그냥 내가 무시하고 살아왔던 건지 모르겠다. 그건 오로지 자기가 올바로 살고 식견이 있고 고민이 깊다는 걸 나타내기 위해서만 남의 처지를 이용하는 사람들이다.

건설노조에 있을 때에도 그런 생각을 하는 때가 많았다. 협상이나 교섭을 위해서야 ‘우리가 이렇게 힘들다’라고 하는 것은 얼마든지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저 일상에서 마치 ‘힘들게 사는 사람’의 전형처럼 건설노동자가 다뤄지는 것은 좋은 일인가? 물론 그럴만한 맥락이면 괜찮다. 기획기사를 쓴다든지… 근데 그게 아니라 그냥 일상적인 인식과 대화의 과정에서 말이다. 어떤 녀석이 “땡볕에서 땀 흘리는 건설노동자도 있는데, 이 정도로 불평하면 안 되겠다!” 같은 생각을 하는 게 좋은 일이냐는 거다.

하물며 비난을 하는 맥락에 동원한다면 어떨까? 오늘은 ‘유튜브 방송도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는데, 어떤 분이 ’30도 넘는 바깥에서 일하는 사람에 비하면 에어컨 바람 쐬면서 입 터는 것 정도는 꿀 빠는 일 아니냐’라고 하는 거였다. 내가 말한 ‘쉬운 일이 아니다’라는 건 기계의 조작 등 신경쓸 게 많아 정신이 없어 속보를 놓칠 수도 있다는 의미로, 혼자서 방송과 내용 준비, 조작을 다 하다 보니 시청자가 화면에서 보는 것보다 실제로 많은 일을 동시에 처리하고 있다는 점을 가리키는 거였다. 여기다가 ‘꿀 빠는 일’이라고 하는 것은 맥락이 맞지 않는 것으로, 즉 이 말 하신 분은 남의 말을 못 알아 듣는 사람이다. 근데 이런 분이 많다. 그냥 자기 혼자 생각한 바를 화면에 나오는 사람에 적용을 해가지고 멋대로 생각하고 멋대로 결론내고 하는 분들이 천지다.

그냥 못 알아 먹고 마는 거면 크게 상관이 없는데, 거기서 30도 넘는 바깥 운운 하니까 성질이 나는 거다. 이게 처음 보는 지랄이 아니다. 지금도 현장에서 노동자들이 투쟁하고 있는데 너희들은 입으로만 싸우고 어쩌고 하는 것과 겹쳐 보이기도 했다. 그래서 이런 두 가지 맥락. 첫째로 건설노동자와 같이 ’30도 넘는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신성시하는 듯한 태도를 취하면서, 둘째로 이러한 태도를 남을 도착적으로 깎아내리는데 동원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노동에 대한 혐오로 이어진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태도의 결과가 진보(학출 노출의 대립이나 학출의 기만적 자기연민)나 보수(계급연대 해체)를 가리지 않고 각자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다시 연상하게 되어, 입 털어 먹고 사는 사람으로서도 전-직업적 운동권으로서도 현재진행형의 정신적 운동권으로서도 참을 수 없게 된 것이다.

다른 것 다 떠나서. 노동은 신성한 것이다. 노동이 힘들어서 신성한 게 아니다. 노동자가 자신이 세상의 주인임을 선언하고 실현하며 동시에 스스로를 조직하는 수단이기에 노동은 신성한 것이다. 그래서 ‘건설노동자에게는 뉴스 해설이 필요 없겠느냐’라고 했다.

아무튼 꿀 빤다느니, 이런 현실 인식에도 작용하는 구조라는 게 있어 보이는데… 그런 건 나중에 또 논해보자.

Posted in: 신변잡기, 잡감 Tagged: 노동

기후와 노동이 구호에 머무르지 않으려면

2023년 12월 13일 by 이상한 모자

김비대위원장님의 인터뷰를 봤는데, 운동권들이 할 말 없어지면 기후와 노동 두 개를 하겠다고 말한 지가 좀 됐다. 그게 전세계적인 츄렌드이기도 하고… 근데 그냥 그 두 개에 해당하는 이슈를 열심히 한다 그것뿐이지, 그걸 담론의 수준에서 어떻게 밀어 붙이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다. 오해하지 마시고. 없지는 않겠지. 그린뉴딜 뭐 이런 거, 미국 사람들이 하는 거 따라서 얘기한 거는 있어. 근데 당 뭐 혹은 세력의 차원에서, 사상-강령-구체적 사업계획-실천 이런 수준으로 그림을 그려 본 일이 있느냐 이것임.

제가 그래서 정의로운 전환 뭐 그런 거나 기후적응 얘기가 중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는 것. 기후나 노동이라는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개별 과제들을 각각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 두 가지가 별개이거나 대립적이지 않고 현실 문제 해결을 위해 반드시 통합적으로 필요한 얘기라는 걸 주장하고 증명해낼 책임이 있지 않느냐는 얘기.

근데 이런 얘기를 하면 정의로운 전환, 기후적응 이런 말을 구호처럼 외치게 된단 말이지. 제가 여러차례 느낀 바는, 기후위기 어쩌구 하는 바닥은 첫째, 운동권들 늘 그렇듯 사투리가 너무 심함. 이게 심지어는 글로벌화 돼갖고 막 번역하고 이러다 보니까 더 이상 단어들만 갖고는 뭔 소린지 못 알아 듣겠다. 둘째, 또 운동권들 늘 그렇듯 자기들끼리 싸움… 기후적응 얘기했더니 어떤 기후위기 운동 관심 많은 분이 약간 화내더라. 적응은 뭔 적응이냐 1.5도 막는게 중요한데 하시면서… 김선생님도 말씀하셨듯 1.5도 못 막으면 그럼 다 끝장 나는 겁니까? 집에 가는 겁니까? 변화에 취약한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는 사회의 적응을 말하면서도 싸움을 계속할 준비를 해야지…

그러니까 이런 거는 말로 외친다고 되는 게 아니라 계획과 실제 사업을 통해서 보여주고 증명하고 그걸로 설득하고 이걸 해야 한다는 것임. 그거를 혼자서는 할 수가 없으니 집단지성이라는 걸 발휘하라는 거고, 그럴려고들 모여있는 거 아닙니까. 그런 얘기를 뭐 이런 저런 기회에 하고 그러는데, 이러고 있으면 또 다음에 다른 기후위기 관심 많으신 분 만나면 넌 뭔 소리냐 한다는 것임… 진보정당이 확실히 아젠다를 틀어쥐고 있으면 이런 일이 없음. 진보정당 틀 안에서 대략적으로 이해를 하니까. 옛날에는…

몰르것다. 이것도 ‘라떼는’인가 이제? 요즘 제가 옛날얘기 하면 라떼는… 이라고 합디다. 근데 요즘처럼 또 라떼는이 필요한 때가 없지 않나 싶기도 하고…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기후, 기후적응, 노동, 정의로운 전환

최근 글

  • 이단이 되어야
  • 주식 투자를 10억씩 하는 사람들의 훈계
  • 행복한 사람, 오지 오스본
  • 극우와 보수 구분하기
  • 비난을 위해 남의 노동을 이용하는 사람들

분류

누적 카운터

  • 1,486,872 hits

블로그 구독

Flickr 사진

추가 사진

____________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Copyright © 2025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Omega WordPress Theme by Them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