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안내
  • 이상한 모자
  • 야채인간
  • 김민하 공화국
  • 신간 안내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정치 사회 현안

민주당만 아니면 된다던 사람들이 만든 세계

2024년 7월 10일 by 이상한 모자

증궈니횽은 도대체 뭐길래 윤석열 한동훈 사이를 중재를 하려고 들고 이제와서 배신감을 느끼고 그러는가요?

진중권 교수는 김건희 여사가 지난 4월 총선 직후 약 2년 만에 전화를 걸어왔다고 밝혔습니다.

(…)

“김 여사가 ‘오히려 한동훈 당시 비대위원장이 대통령에게 화를 냈다’는 발언을 했다”고 JTBC와의 통화에서 밝혔습니다. 진 교수는 당시 ‘이상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윤 대통령과 한 후보 사이의 중재에 실제 나섰다고도 했습니다. 한 후보에게 반년 만에 연락이 와서 성사된 5월 초 식사 자리에서 “이제는 앙금을 털고 화해하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고 이야기를 꺼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 후보는 아무런 답을 하지 않은 채 다른 이야기로 화제를 돌렸다는 게 진 교수의 주장입니다. 진 교수는 그럼에도 본격적으로 전대 국면이 펼쳐진 이후 한 후보에게 ‘김 여사 측에서 강력한 요청이 왔다’면서 다시 중재에 나섰지만, 이 역시 불발에 그쳤다고 합니다.

그 뒤 계속 이어지고 있는 “총선 당시 한 후보 때문에 김 여사가 사과하지 못 했다”는 친윤계를 중심으로 한 공격. 진 교수는 “지금 상황을 보니 김 여사는 사과할 생각이 없었던 것 같다”며 “배신감을 느낀다”고 JTBC에 토로했습니다.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204897

우리가 흔히 아는, 검찰총장 윤석열이라고 하는 표상은 삼위일체이다. 리더로서의 윤석열, 제갈공명으로서의 거니, 실무를 도맡아 하는 참모로서의 후니… 검찰 밖의 일은 거니에게 묻고 검찰 안의 일은 후니에게 묻거라…! 대선을 전후해 중궈니횽은 이 삼위일체의 모든 주체와 어떤 식으로든 관계를 맺었던 것이다. 그렇게 밖에 이해할 수 없다. 그리고 그럴 수 있었던 정치적 맥락은 ‘민주당만 아니면 된다’는 식의 정견이다. 그러니 뒤에서는 뭔 전화를 하고 저녁식사를 하고 중재를 하고 이러면서 방송에 나와서는 준엄하게 모두를 비판하고 막 이럴 수 있는 거다.

아직도 이런 정견을 버리지 못하는 분들이 있다. 이 꼴을 보고도 그런다. ‘국힘만 아니면 된다’는 세계관이 우리에게 독인 것과 마찬가지다. 똥맛 카레가 잘못됐으니 카레맛 똥을 먹자는 이런 얘기가 애초에 틀려먹었다는 걸 그렇게 얘기를 해도 알아먹질 못한다. 좀 봐바라, 이게 뭐냐.

이 씨는 지금도 김건희 여사와 연락이 되는 것처럼 말해왔다고 하는데요. 이 씨가 다른 사람들을 언급할 때는 인맥을 과시하듯이 말을 했는데 특히 김건희 여사에 대해서 말할 때는 여사의 수행원 이름까지 구체적으로 거론하면서 말을 했다고 하고요. 예를 들어 어떤 일을 부탁하려면 누구누구에게 해야 한다고 실명으로 말하면서 설명했다고 합니다. 또 김 여사를 어릴 때부터 알았는데, 어느새 영부인이 됐다는 식의 얘기도 했다고 합니다.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204922

내가 저번에 이렇게 썼다. 6월 27일에 쓴 글이다.

임성근 전 사단장이 이 모 씨를 통해 로비를 시도했다 치자. 그 로비가 성공하려면 김건희 여사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된 이 모 씨와 여전히 모종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은 과거의 사건이다. 아직까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면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을 거다. 그게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과 관계가 있든 없든 말이다.

일반인의 상식으로 보면 이해하기 어렵다. 그렇잖아도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의 로비라면 정무적 판단으로만 봐도 거부하는 게 상식 아닐까? 그런데 결과를 보면 어디까지나 로비가 있었다고 가정할 때, 로비는 성공한 것 같은 모양새다. 김건희 여사와 이 모 씨는 어떤 관계인가? 어떤 종류의 ‘비즈니스’를 아직까지 함께하는 사이인가, 아니면 이 모 씨의 요청을 들어주지 않으면 안 되는 다른 특별한 이유가 있는 사이인가?

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170

유튜브 등에서 계속 떠들어 댔던 바, 로비가 먹혔다면 그건 둘 중의 하나일 수밖에 없다. 1) 여사님과 블랙펄 이모씨의 관계가 비즈니스적으로 ‘현재진행형’인 사이이거나. 2) 과거 사건에 대한 약점을 잡힌 게 있든지 해서 청탁을 들어주지 않으면 안 되는 사유가 있거나. 앞의 글은 이 얘길 젠틀하게 쓴 거다. 근데 위에 JTBC 보도를 보니까 어떠냐?

에이그…….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김건희, 진중권, 한동훈

중궈니 ♡ 거니

2024년 7월 10일 by 이상한 모자

자, 지난 번에 여기다가 뭐라고 썼는가? 아래의 메모. 아래와 같은 대목으로 끝맺었다.

말이 나온 김에, 그 전부터 확인하고 싶었던 게 여러가지다. 첫째, 그러면 대통령하고는 사회적 의제가 있을 때 텔레그램으로 논쟁하는 사이인가요, 아닌가요? 그런 사이였는데 아니게 되었다면 그건 언제였으며 무엇 때문이었나요? 둘째, 여사님하고는 어떻게 되시나요? 그냥 궁금.

http://weirdhat.net/blog/archives/8237

여기서 여사님 얘기를 한 건 그냥 밑도 끝도 없는 그런 게 아니다. 저 메모에서도 적었듯, 다 밝힐 수 없는, 돌아다니면서 들을 수밖에 없는 얘기가 있는 거야. 중궈니횽의 독특한 점은, 순진하다고 그래야 되나 그런 거를 막 얘기를 하고 다닌다니까. 결국 그러다 이번에 동후니 편들다보니 결국 이것도 깔 수밖에 없게 된 거지. 아래의 기사.

진 교수는 10일 페이스북에 “‘내가 직접 확인했다’고 하니 원희룡, 이철규에 이어 댓글 부대들이 문제의 문자를 흘린 게 한동훈 측이라고 같지도 않은 거짓말을 퍼뜨리고 다니나 보다”며 “‘직접 확인했다’고 한 것은 사건 당사자인 김건희 여사에게 직접 들었다는 말”이라고 했다.

진 교수에 따르면 지난 총선 직후 김 여사로부터 조언을 구하는 연락이 왔다고 한다. 그는 “기록을 보니 57분 통화한 것으로 되어 있다”며 “지금 친윤 측에서 주장하는 내용은 당시 내가 여사께 직접 들은 것과는 180도 다르다”고 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62451

먼저 생각해봐야 할 점. 여사님과의 통화는 이날 처음일까? 그럴리 없지. 여사님이 총선 지고 대뜸 일면식도 없는 중궈니횽한테 전화해서 ”저기… 진중권 교수님이시죠? 저 건희예요. 저 때문에 총선 진 것 같아서 연락드렸어요…” 이랬것니? 이전부터의 무슨 라포가 있으니까 이게 전화가 연결이 되는 거지… 다른 고민 상담도 종종 했으니까 이렇게 나오는 거 아닌가? 그렇지 않고서야 현직인 영부인과의 이런 통화가 어떻게 연결이 되나.

봐라. 그럼 이게 어떻게 되냐. 법무부 장관인 동후니와는 사회적 의제가 있을 때 텔레그램으로 논쟁을 하며, 영부인인 여사님이 고민이 있을 때는 1시간 가까이 통화를 하시는 분… 그러면서 방송에는 ‘모두까기’로 출연하여 여러 말씀을 하시는 분… 그런 분을 우리는 과거에 핵관이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지금 시간이 없어서 일단 여기까지만 한다.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김건희, 진중권, 한동훈

한겨레 유튜브 방송에서 언급한 이태원 참사 관련 얘기

2024년 7월 1일 by 이상한 모자

말이 길면 오해의 소지가 많아진다. 같이 나온 분이 당시 야당의 마약 수사설에 대해 언급하면서 마치 내가 그 당시 야당의 주장이 옳았다는 듯이 말한 것처럼 오해를 살 여지가 생기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어 집에 와서 쓴다. 아마 다른 사람들도 제가 무슨 얘기를 하는지 잘 몰랐을 건데, 당시 야당 일부가 주장한 마약 수사설이 역시 옳았다거나 그런 주장을 잘했다는 게 아니다. 오늘 한 얘기는 아침에 쓴 글에도 써놨다. 아래의 대목이다.

아이러니한 것은 김진표 전 의장의 회고 덕에 많은 의문이 풀렸다는 거다. 가령 이태원 참사 초기 야당은 “검경이 마약 수사에만 집중하다 군중 관리에 실패했다”고 주장했는데, 제대로 된 근거가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나온 이런 주장은 음모론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런데 이후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경찰이 수사 과정에서 희생자들에 대한 마약 검사에 불필요하게 몰두했다고 했다. 야당의 음모론적 의혹 제기가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찰이 오히려 스스로 논란을 키우는 행보를 거듭하는 걸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런데 권력 핵심부가 이러한 ‘마약 의혹’을 “좌파가 마약을 현장에 살포해 사고를 조장해놓고 정권에 뒤집어 씌우고 있다”는 식으로 이해했다면? 경찰이 왜 그랬는지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찾은 듯한 느낌이다.

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196

물론 이건 근거가 없는 얘기지만 대통령이 음모론적 세계관을 얘기했다고 하고, 그게 상당히 신빙성이 있어 보이니, 당시 경찰이 한 이해할 수 없는 조치에 대해서도 이런 저런 의심을 해보지 않을 수 없다는 얘기다. 오해할까봐 다시 강조하지만, 당시 ‘마약 수사설’이 옳았다는 게 아니라, 고발사주를 제보사주로 엎어치기 하는 윤통 스타일로 볼 때, 오히려 그런 주장을 ‘좌파의 공작’으로 보고 이를 반격하기 위해서 경찰의 희생자들에 대한 마약 검사를 하도록 한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들었다는 거다.

하여간 이 난국을 헤쳐 나오고 싶으면 적어도 이태원 참사 관련 진정성을 뒤늦게라도 보여달라는 게 이 글의 결론이다. 아래의 대목.

이를 만회하려면 이태원 참사에 대해 지금이라도 진정성을 갖고 대하는 모습을 보이며 스스로를 증명하는 수밖에 없다. 그런데 보도에 의하면 여전히 여당은 특별법에 의거해 구성되는 특조위에 대해서도 ‘침대 축구’로 일관하고 있다. 여기에 과연 희망이 있겠는가?

특조위 구성에 대한 침대축구 얘기는 아래 경향신문의 오늘 사설 참고.

이태원 참사 특별법은 2022년 10월29일 159명이 목숨을 잃은 참사를 재조사하기 위해 특별조사위를 구성하고, 피해자를 구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9명으로 구성되는 특조위는 국회의장이 여야 협의를 통해 위원장을 정하고, 여야가 상임위원 1명씩을 포함해 4명씩 추천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야당 몫 위원으로 위은진 변호사, 김문영 성균관대 의대 교수, 양성우 변호사, 정문자 전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을 내정했다고 한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구성 시한을 열흘 넘긴 30일까지도 특조위원 명단을 제출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특조위 활동은 시작조차 못하고 있다.

이태원 참사 진상 규명은 국민적 요구였지만, 정부·여당은 줄곧 부정적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월 ‘국민 분열을 조장한다’는 이유로 특별법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그러나 4·10 총선 참패 후 열린 윤 대통령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 회담을 계기로 법안이 여야 합의로 국회를 통과할 수 있었다. 그래놓고 여당은 아무런 설명 없이 위원 추천을 미루고 있다. 이럴 거면 여당은 왜 특별법에 합의한 건가.

https://www.khan.co.kr/opinion/editorial/article/202406301821001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윤석열, 이태원 참사, 이태원 참사 특조위
« 이전 1 … 33 34 35 … 347 다음 »

최근 글

  • 엘리트-포퓰리즘과 포퓰리즘-엘리트주의
  • 좋은 말로 하면 악플이 아니게 되나?
  • 이단이 되어야
  • 주식 투자를 10억씩 하는 사람들의 훈계
  • 행복한 사람, 오지 오스본

분류

누적 카운터

  • 1,489,730 hits

블로그 구독

Flickr 사진

추가 사진

____________

  • 로그인
  • 입력 내용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Copyright © 2025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Omega WordPress Theme by Them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