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방송 중에 안경을 그냥 닦고 있었는데 갑자기 두동강 나버렸다. 그래서 그나마 멀쩡히 보관되어 있던, 대학생 때 쓰던 안경을 임시로 꺼내 쓰게 되었다.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그런데 안경의 상태가…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아무튼. 대학생 때 쓰던 안경이므로, 정확치는 않지만 20년 정도 됐을 것이다. 도수가 맞지 않을 수밖에 없다. 확실히 왼쪽 눈은 잘 안 맞는다. 정확히는 맞다 안 맞다 한다. 눈 조절력의 문제일 것이다. 문제는 늘 문제인 오른쪽인데, 원래 쓰던 안경보다 조절이 잘 된다. 훨씬 낫다. 복시 증상이 상당히 완화되었다. 어째서 이런 일이?
결론은 난시 과교정이다. 의심이 맞았던 거다. 이런 얘기다. 눈꺼풀이 각막을 덮고 있다. 평상시에 화면을 볼 때는 3분의 1에서 거의 절반 가까이 까지 덮이는 거 같다. 이 상태일 때와 비교해 눈을 크게 뜨면 각막이 거의 100% 노출된다. 이러면 난시가 심해진다. 하지만 눈꺼풀이 다시 각막 일부를 덮이면 난시가 완화된다. 그런데 검안을 할 때에는 눈을 크게 뜬다. 눈을 크게 뜬 상태로 검안을 하니 난시 400이 나온다. 하지만 실제 평상시 생활을 할 때에는 그것보다는 양호한 상태의 난시로 생활을 한다. 그러니까 과교정 된 난시렌즈를 끼고 일상생활을 하는 결과가 되는 거다.
지난 토요일에 안경을 수리하러 안경점에 가서 이런 얘기를 손짓 발짓을 섞어 막 했다. 처음에 “제 눈이 좀 이상해서요”라고 말을 꺼낼 때는 “노안 온 것 때문에 그러시죠?”라며 좀 지겹다는 표정을 짓던 안경점 아저씨의 눈빛이 갑자기 빛났다. 한국남자 안경의 도수를 측정해보고 난시 도수가 낮게 들어가있는 걸 확인하더니 실제 시력검사를 해보잔다. 평소에 눈 크게 뜨고 하라던 시력검사를 이번에는 그냥 평상시처럼 뜨고 해봤다. 수치를 확인한 안경점 아저씨는 놀라워했다. 숫자가 낮게 나온 거지. 안경점 아저씨가 마치 드라마 같은 대사를 날렸다. “제가 이런 걸, 그러니까 쌍꺼풀 수술을 했는데 시력이 변했다든가 하는 사례를 이론적으로는 알고 있는데, 실제로는 처음 봅니다. 손님 덕분에 제가 오늘 또 하나 배우네요.” 그래서 눈 작게 뜬 버전의 안경을 하나 더 맞추고 집에 왔다.
오늘 저녁 때 찾으러 오라고 그랬는데, 약간 기대하고 있다. 근데 또 똑같으면 어떡하지…. 아직 11월달에 병원 예약한 거는 유효하다….
Comments are closed, but trackbacks and pingbacks are o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