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노동을 할 거냐 말 거냐
SNS에서 새벽배송 논쟁을 했다는 얘기를 전해 듣기는 했다. 그러나 굳이 찾아보지 않았다. SNS 입씨름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 예를 보지 못했다. 논쟁의 당사자들은 자기들끼리 뭘 배웠다는 둥 진도를 나가자는 둥 하지만, 다 자기만족적 서사에 그칠 뿐이다. SNS 논쟁이라는 걸 한지 15년도 넘었을 텐데, 아직도 담론 수준이 이 모양 이 꼴이라는 걸 보면 알 수 있다. SNS는 공론장도 뭐도 아니고, 술자리에서 떠들다 사라졌을 옹알이들이 온라인에 그럴듯한 얘기처럼 나열되어 있는, 노이즈의 집합체일 뿐이다.
그러니 그냥 SNS에는 일기나 적고 만족하는 것이 좋다. 자기 생각 정리용으로는 괜찮다. 그러나 남의 일기에 관심을 가질 필연은 없다. 이게 내가 SNS 논쟁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이유이다.
유일하게 SNS 논쟁이 효용이 있는 분야라고 한다면, 메타-SNS적 분석을 해야 할 때라고 말할 수 있다. 사람들이 SNS에서 떠드는 양상 자체를 분석하는 것은 유의미하다는 거다. 가령 필터버블이니 뭐 그런 얘기 있잖나.
하여간, 그런 와중에 이 얘기를 소재로 조선일보가 토요일자 칼럼에 떡하니 써놨기에, 여기다가 생각 정리용 메모를 남기는 것이다.
https://www.chosun.com/opinion/2025/11/21/5JUEK4CTHNCCRDZRPCERBLNEKA/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저 글의 등장인물들이 실제 어떤 주장을 했는지 난 정확히 모른다. 지금 쓰는 것도 저 사람들 주장에 대한 얘기가 아니고, 그간 언론에 등장한 새벽배송을 둘러싼 여러 얘기에 대한 거다. 그러나 나한테 와서 저 글에 등장하는 사람들 얘기는 하지 마시길 바라고.
새벽배송에 대한 토론이니 주장이니 보고 느낀 바는, 그래서 할 것인가 말 것인가 라는 점, 어떤 의미에서는 우선순위의 문제라는 것이다. 가령 여러 우려를 할 수 있다. 심야노동을 금지하면 노동자의 임금 손해가 우려되지 않는가? 그렇다. 심야노동을 금지하더라도 노동자는 임금 보전을 위해 투잡을 뛰지 않겠는가? 그럴 수 있다. 그 외 여러 부작용이 있지 않겠는가? 그럴 수도 있다. 그렇다면 심야노동을 금지하는 것은 오히려 퇴행이 아닌가? 그렇지 않다.
이런 논쟁, 처음하는 게 아니다. 2000년대 초반에 나온 노래를 보면, 이런 가사가 있다. “어느 새 탕뛰기의 노예가 되어 힘겨운 하루가 덧없이 저무네” … 이건 일전에 여기다가 기록을 남겨놓은 바 있으니 궁금하면 찾아보시고… (클릭). 아무튼 이 가사에 나오는 ‘탕뛰기’가 뭐냐면 돈을 일당으로 주는 게 아니고 건당으로 주는 거다. 한 번 왔다갔다 하는 걸 단위로 돈을 주기 때문에 건설기계를 다루는 노동자들이 잠을 줄여서 일을 한다. 한 탕이라도 더 뛰어야 기대수익을 채울 수 있으므로…
이때 노조 등의 주장은 탕뛰기를 거부하고 일당으로 받자는 거였다. 저 노래도 그런 바탕에서 나왔기 때문에 ‘탕뛰기의 노예가 되어’라는 대목이 있는 거다. 현장에서 당연히 볼멘소리들이 있지 않았겠나? 열심히 일한만큼 능력대로 가져가는 게 낫고 그게 더 이익이다 라는 식인데, 그게 사실인 부분도 있을 거다. 그럼에도 일당으로 받자고 한 이유가 뭐겠나? 대개의 사람은 돈이 걸리면 자기 몸을 제대로 챙기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운전을 하는 분야는 자기 혼자 불행해지는 게 아니라 남까지 불행하게 할 수 있다. 사고라도 내봐라. 실제 그런 불행이 있으니까 이런 결론으로 간 거다.
갑자기 탕뛰기가 왜 나오냐 할 수 있는데, 노동조건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가 반드시 노동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라는 얘길 갖고 입씨름 하는 이 구도 자체가 이미 고전이고 클리셰라는 거다. 때마다 나오는 거다. 주52시간 얘기 할 때도 똑같이 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그래서 그 결론이 대안을 말하는 것이냐 아니면 결국 아무것도 하지 말자는 거냐로 가느냐에 있다. 가령 위의 조선일보 글에 나온 표현을 쓰자면, 쿠팡만큼 중소기업의 임금이 인상되어야 한다… 그런 얘기 할 수 있다. 그런데 ‘심야노동 제한 또는 금지를 추진할 수 있지만, 전반적인 노동조건 개선을 함께 이룰 수 있는 대안도 제시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과, ‘전반적인 임금 인상이 어렵기 때문에 심야노동 제한 또는 금지는 말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가령 주5일제든, 주52시간제든, 아니면 심야노동 제한 또는 금지이든 그걸 하기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이 있다고 하면, 우리는 영원히 아무것도 못하는 상태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업계의 전반적 임금 인상은 언제 달성되는가? 그것에는 전제가 없는가? 이런 저런 전제를 얼마든지 달 수 있다. 심지어 어떤 의미에서는 그게 진보의 목표가 아니었던 적도 없다. 늘 모색하지만 잘 안 되는 여러 주제 중 하나일 뿐이다. 그래서 이런 담론은 보통 조선일보가 썼듯 ‘현실을 모르는 책상머리 진보’, ‘선의의 부작용’, ‘감성에 의존하는 낭만적 진보’ 류의 정치적 프레임으로 연결된다.
누가 옳고 누가 틀렸다는 얘길 하기 위해서 이러고 있는 게 아니라고 분명히 서두에도 썼는데, 내 주요 관심사는 이런 식의 프레이밍에 있다. 진보가 뭘 하자고 주장을 하면 보수 이데올로그들이 보통 이런 구도를 형성한다. 주52시간제도 마찬가지였다. 심지어 문통이 영화 판도라를 보고 탈원전을 결심했다는, 사실이 아닌 핵발전주의자들의 주장도 거의 사실처럼 보도하고 주장했는데, 이것도 같은 프레임(감성과 선의에만 기댄, 현실을 모르는 책상머리 낭만적 진보)에 속해 있다. 조선일보가 이번 일을 소재로 칼럼을 쓴 것도 정확히 여기에 들어간다. 이런 태도는 결국 ‘고통스러운 오늘이 최선’이라는 것으로, 애초에 진보의 주장과 행동을 무력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심야노동의 제한 또는 금지를 주장하는 쪽에서는 오히려 여러 절충안을 얘기하고 있다. 금지는 아니더라도 업무를 줄여 시간을 조정해보자, 정 어려우면 2교대를 해라, 일단 논의에 참여해라 등등… 이런 논의가 담긴 언론 보도와 칼럼을 유튜브에서 소개했는데, 내 나름대로의 노력이다.
상대편에서는 쿠팡 새벽배송이 무슨 택배기사의 축복인 것처럼 떠들기도 했는데, 실제 그렇지 않다는 주장과 보도도 꽤 있었다. 새벽배송 기사들을 대상으로 과거 조사한 결과가 그랬고, 사망한 기사의 유족이 밝힌 것처럼 남의 아이디를 빌려서라도 연속 근무를 대리점이 강요했다는 정황도 있다.
왜 쿠팡은 침묵하고 노동자와 노동자, 노동자와 소비자 간의 대립구도만 남았느냐에 대한 탄식도 있었는데, 당연하지 않나? 다들 이렇게 자본이 가려는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알아서 싸워주고 있는데 기업이 뭐하러 나서겠나?
계획을 최대한 신중하게 세워야 하는 문제가 많지만, 일단 행동에 나선 이후에 고쳐나갈 문제도 있을 것이다. 여러 대안을 통해 심야노동 제한 또는 금지의 조건을 만드는 방법도 있겠지만, 심야노동 제한 또는 금지로부터 시작해야 나머지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가령 여러 반대와 이런 저런 전제 조건을 거론하는 목소리에도 불구, 주52시간을 도입했기 때문에 생긴 긍정적 변화들이 있지 않는가. 물론 상대쪽에선 이런 저런 부작용을 열거하겠지만, 그건 주52시간의 토대 위에서 해결하면 되는 것이다.
마지막에 가면, 이게 뭐 그리 긴박한 문제냐 라는 공격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쿠팡이든 SPC든 심야노동을 제한하는 것은 긴박한 과제이다. 심야노동이 발암물질이라면 고등어는 왜 먹느냐 라는 비아냥도 보수언론에 많이 등장하지만, 고등어에는 적어도 선택권이 있다. 그 외 그럴거면 이것도 금지해라, 저것도 금지해라 이딴 소리도 하는데, 할 수 있으면 해야지. 하시죠 그럼? 아무튼, 이건 노동이 밤을 자본에게 속절없이 내주고 있는, 전선의 문제라는 게 본질이다. 많이들 보셨겠으나, 경향신문의 김승섭 교수 인터뷰가 이 문제를 잘 설명하고 있다고 본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11192122005
앞에서 쓴 내용 다 관련 기사다 칼럼을 링크할 수 있는데, 어차피 읽지도 보지도 않을 것이므로 안 한다. 심야노동에 대한 얘기를 우리만 하는 게 아니고 서구권도 다 한다. 다만 노동이 상대적으로 강력하게 조직되어 있는 쪽과 아닌 쪽의 상황이 다른 거다. 이런 상황을 조망하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무관심하면서 메신저에 대해서만 떠드는 일은 이제 피곤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