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와 보수 구분하기
최근 주욱 보니, 청년세대 논의에 대한 반응으로 몇 가지 전형적 흐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는 보수후보 지지만으로 젊은 남성 보수화 진단은 억지 운운 하는 것이다. 이런 말 하는 사람들은 상대가 무슨 말을 하는지 최소한 찾아볼 의지도 없다는 점에서 논할 가치가 없다.
둘째는 젊은 남성이 아니라 세상이 문제 아닌가요 라는 반응이다. 이 주장에는 진실이 담겨있지만 논점이탈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온정주의적이다. 젊은 남성 얘기를 굳이 하고 있는 것은 세상이 잘못됐다는 얘기를 하기 위해서이기도 한 것이 아닌가? 자본가 얘기를 하는 것은 자본가 개인을 미워하기 위해서인가, 자본주의를 얘기하기 위해서인가(이건 우스개로 하는 말이지만, 혁명의 커튼 뒤에는 언제나 혁명에 돈을 대준 고마운 자본가들이 있었다)?
셋째는 극우화와 보수화는 다른 것인데, 보수화는 인정할 수 있지만 극우화는 인정할 수 없다고 하는 거다. 이건 보수화 자체를 부정하는 것과는 다르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관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나는 어떤 경우에 대해선 보수화와 극우화를 면밀히 가르는 일이 부질없는 일일 수 있다고 본다.
가령 보수화 된 젊은 남성이 한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전망하는데에 있어서는 보수화와 극우화를 구분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그들이 왜 그런 상태에 이르렀는가를 논하기 위해서는, 즉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는 것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 것인가를 논하는 데에 있어서는 보수화와 극우화를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는 게 내 생각이다. 왜냐하면 그 둘을 추동하는 것은 적어도 현재 한국 정치에서 같은 정치-조직화 내지는 논리 구조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페미니즘을 반대한다면 ‘중국-북한-전체주의(권위주의)-더불어민주당-문재인-진보-페미니즘-차별금지법’이라는 개념 혹은 가치의 연쇄적 사슬을 전부 반대해야 한다는, 보수정치의 반대-정치의 조직화 논리다. 보수냐 극우냐를 여기서 굳이 나눈다면, 이걸 반대하기 위해 어디까지 실천할 수 있느냐의 차이에 불과한 거다(물론 그건 중요한 차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근본적 사상과 이념의 차이는 아니라는 거다).
가령 페미니즘 반대를 위해서라면 법치를 무시하고 무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답변에 얼마나 동의할 수 있는가… 에 대한 것. 과거에도 인용했던 아래의 기사.
민주주의 규범과 관련한 여러 문항에서 2030 남성은 전체 평균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또래 여성들과의 차이도 그리 크지 않다. 물론 한국갤럽 조사를 보면 20대 남성은 보수, 20대 여성은 진보 성향이 높게 나오는 건 사실이다. 그러나 보수와 극우는 다르다. ‘2030 남성 극우화’ 담론은, 적어도 아직까지는 이 집단에 존재하는 소수의 ‘계엄 옹호·탄핵 반대’ 세력이 과대 대표된 측면이 없지 않다.
다만 2030 남성들의 버튼을 누르는 요인이 있다. 페미니즘이다. ‘지나친 페미니즘의 영향을 막기 위해서라면 법규칙을 어기거나 무력을 사용하는 게 정당화될 수 있다’는 문장을 제시했다. 전체에서 14%가 동의한 반면, 20대 남자의 32%, 30대 남자의 25%가 동의했다. 이는 동세대 여자들과 16%포인트에서 27%포인트 차이 날 뿐 아니라 여타 세대 남자들에 비해서도 튀는 수치다. 즉 2030 남성 대부분은 민주주의적 규범을 대체로 존중하지만, 적어도 이 집단의 네 명 중 한 명은 페미니즘에 대한 강한 반감과 불신을 이유로 무력도 불사할 준비가 되어 있다.
나는 과거에도 이 기사 내용의 이 대목이 의아하다고 했고, 이 그래프에서 드러난 답이 의미심장 하다고 했다. 보수정치 특히 이준석류가 결합한 형태의 보수정치는 얼마든지 ‘페미니즘 반대’를 ‘민주당을 포함한 진보 일반의 반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앞서 개념 혹은 가치의 연쇄적 사슬을 전부 반대하는 정치 문법에 따라서). 그때 ‘법 규칙을 어기거나 무력을 사용하는 게 정당화될 수 있다’는 답변의 이 수치가 유지될 것인가는 장담할 수 없으나, 다른 세대 다른 성별의 그것보다는 확실히 높을 것이라는 점은 내가 장담할 수 있다.
이게 뭐 새로운 얘기가 아니다. 신념화 된 극우는 아니다… 페미니즘을 잠깐 반대할 뿐이다… 등등 얘기를 하지만, 그게 21세기의 극우 포퓰리즘이라고 지금까지 합의해 온 것이 아닌가? 가령 유럽의 진화하는 극우 포퓰리즘은 어떤가? 마린 르 펜이 난민을 거부하자고 주장하면서 동시에 여성의 권리신장을 얘기한다는 점을 들어 ‘신념적 극우는 아니고 스마트한 스윙보터’라고 얘기하는 경우는 잘 못 봤다. 어느 극우 정당이 여성-성소수자를 대표로 뽑았다고 해서 같은 평가를 하는 것을 들어본 일 없다. 아마 그들이 ‘우리는 여성이나 성소수자에 반대하는 게 아니라 정체성 정치와 좌익과 권위주의와 위선에 반대하는 것!’이라고 전형적 주장을 할 것인데도 말이다. 그들이 뭐라고 하건 그들은 여전히 ‘극우 포퓰리즘’으로 분류되고 평가된다.
시사인에 실린 아래의 글은 이런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고 생각된다(물론 아마도 위의 얘기를 하면 그래도 한국의 이대남은 유럽 극우와 다른 이념 지향의 지도를 그린다고 하겠지만 그건 그 사회의 정치적 조직화와 연관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유럽의 난민이 여기서는 페미니즘이나 중국이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007
오해를 피하기 위하여. 글 중간의 설명을 보면 알겠지만, 시사인은 위 글과 견해를 달리 하는 글도 이전에 실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