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당 총재선 야매 표분석
두 사진을 보면서…. 1차 투표와 2차 투표의 후보별 득표수를 정리해보면, 이렇게 된다.
- 1차 투표
다카이치 사나에: 181표 (의원 72표, 당원 109표)
고바야시 타카유키: 60표 (의원 41표, 당원 19표)
하야시 요시마사: 65표 (의원 38표, 당원 27표)
고이즈미 신지로: 136표 (의원 75표, 당원 61표)
가미카와 요코: 40표 (의원 23표, 당원 17표)
가토 가쓰노부: 22표 (의원 16표, 당원 6표)
고노 다로: 30표 (의원 22표, 당원 8표)
이시바 시게루: 154표 (의원 46표, 당원 108표)
모테기 도시미쓰: 47표 (의원 34표, 당원 13표)
- 2차 투표
다카이치 사나에: 194표 (의원 173표, 당원 21표)
이시바 시게루: 215표 (의원 189표, 당원 26표)
1차 투표에선 의원 투표에서 저조했던 이시바 시게루가 당원표로 2위, 원래 저조해야 할 의원 투표에서 선전한 다카이치 사나에가 1위를 하는 이변이 일어났다. 의원표에서 강세였던 고이즈미 신지로는 당원표에서 크게 밀리며 3위. 이유는 지난 번에 여기다가 써놨다. 역시 보수정당 내 선거이기 때문에 요미우리와 닛테레가 정확했다. 다카이치 사나에가 의원표에서 선전한 건 당연히 아소 다로의 영향이라고 봐야겠지. 이렇게 1차 투표는 정리.
문제가 2차 투표인데, 이제부터는 의원표가 어디로 가느냐의 게임이다. 의원표에서 부진했던 이시바가 뒤집었다. 1차보다 더 얻어간 표 수는 다카이치의 경우 101표, 이시바의 경우 무려 143표. 그리고 1차에만 참여하고 2차에 참여 안 한 사람이 5명 정도 있는 거 같다. 일단 다소 부정확할 수 있지만 큰 덩어리를 나눠보자.
기시다파는 2차 투표에서 이시바를 지지한 걸로 확인된다. 그러면 하야시 38표와 가미카와 23표는 대부분 이시바로 갔을 거다(꼭 그렇진 않은데, 가미카와를 지지한 의원 중에는 다른 파벌 소속 가령 아소파도 있다. 그러나 대충 계산을 해보자는 거다). 모테기 34표도 이시바를 지지했겠지. 합치면 95표. 48표 정도가 모자란다. 이게 고이즈미에서 왔다고 가정해야 할 거 같고. 다카이치의 경우 강경파인 고바야시 41표, 모테기파지만 역시 강경파인 가토 16표에 더해 아소파인 고노의 22표도 갔다고 가정. 합치면 79표. 22표가 모자란다. 그러면 역시 이게 고이즈미에서 왔다고 가정. 그러면 고이즈미 표는 대략 7대 3 정도로 이시바 대 다카이치로 나눠진 거 아닐까 하는 건데, 이게 고이즈미표에 들어있는 스가 파워-기시다 보험과 아소-아베파 보험의 비율이겠지. 정확하진 않겠지만 이 정도로 추측한다.
넷우익들은 주식시장 반응 안 좋은 거(확장재정을 중시하는 아베노믹스 추종자가 낙선했으니…) 등을 들어 ‘자민당은 끝났다’며 한탄하는 중이다. 기시다를 향해 원망을 보내는 녀석도 있다. 넷우익은 넷우익이고, 좀 감상적이 되는 부분이 있다면 드디어 아소 다로가 주류에서 밀려났다는 것이다. 나이를 감안할 때 더 이상은 어렵고 이걸로 아마 끝이겠지? 아소가 계속 영향력을 유지한다면 아슬아슬 패배한 다카이치 지지 진영을 갖고 뭘 해볼 수도 있겠지만, 어렵지 않을까?
아소 다로는 아베 신조 시절 공동정권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강했다. 아베-아소-니카이가 2차 아베 내각 때의 주류였다면 기시다 내각에선 기시다-아소-모테기다. 기시다가 굉지회 소속이라는 점에서 리버럴이네 온건파네 하는 기대가 있었으나, 아베와 아소가 건재했기 때문에 그런 기대는 하기 어려웠다. 아베 사망 이후에도 그런 구도는 마찬가지다.
그러니까, 명실상부한 포스트 아베 시대가 열린 거라고 해야 할까? 이시바는 어차피 세력이 없다. 아소파는 옛날 나카소네파가 그랬듯, 아소가 힘을 잃으면 파벌 성격이 바뀔 가능성이 크다. 스가는 지분을 상당히 늘리겠지만 킹메이커는 자처할 수 있어도 역시 세력을 움직이는 인물은 아니다. 뿌리가 있는 세력은 기시다의 굉지회와 모테기의 헤이세이회다. 굉지회 녀석들이 좀 더 자기 색깔을 낼 수 있을까?
다만 이시바가 오래 갈 것이냐, 그건 아닐 거 같다. 비주류로 살면서 넷우익류들이 감당 못할 얘기를 너무 많이 해놨다. 여계천황, 부부별성, 아베노믹스 부정 등등…. 윤손뇨루 다이토료와는 정책적 조합이 좋다. 외교적으로는 비둘기인데 안보적으로는 매파다. 일본에 다 양보하고 한미일 군사협력을 강화한다는 윤손뇨루 정권의 방향과 정확히 일치한다. 어차피 한미일 군사 협력이 목표라면, 차라리 지금까지 뻐팅기다 이 자와 협상 테이블을 여는 게 더 나았을 거다. 이미 다 양보해서… 다시 내놓으라고 할 수도 없고…
다만 캐릭터적으로는 안 맞을 수 있다. 보스 기질은 아니다. 말을 중얼중얼 길게 늘이는 스타일이다. “아침식사로 연어면 되겠습니까” 라는 질문에 다카이치의 답이 “일본인이라면 아침은 늘 연어라고 생각합니다. 중국인은 그렇지 않겠지요.”라면 고이즈미는 “아침은 항상 챙겨 먹고 있습니다. 저희 집의 전통입니다.”, 이시바는 “일단 아침식사를 할지 말지부터 논의해봅시다. 아침식사를 한다면 와식으로 할지 양식으로 할지, 반찬과 조합을 하는 국은 어떻게 할지, 거기서부터(시간초과)” … 라는 식의 개그가 있을 정도로…. 그래서 이시바 정권에서 윤손뇨루 다이토료가 방일을 한다면 반드시 기시다를 만난다고 본다.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