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중에서도 조선일보만 유독 윤석열 국민의힘과 같이 헌법재판소를 흔들어 온지가 꽤 됐다. 용서할 수 없는 녀석들이다. 왜 이러나 싶었는데, 엊그제부터 슬슬 조선일보의 계산법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게 하야론이다. 양상훈 씨가 윤석열 하야하면 어때? 이걸 쓴 건 다들 아실 거고…
하야를 주장하는 계산법이야 뻔하다. 탄핵은 100% 될 건데, 그러면 보수는 분열된 상태로 대선을 치러야 한다. 탄핵-찬성 보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건 최근 강원택류 보도를 열심히 한 중앙일보 기사 내용 참조
이번 연구는 지난 대선에서 윤 대통령을 뽑았던 투표층의 이념 성향을 강성·온건·중도 보수로 나눈 뒤 각 문항에 대해 스스로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윤 대통령 호감도를 0~100점으로 봤을 때 자신이 강성 보수층이라고 답한 응답자의 평균 호감도는 78.49점이었다. 반면에 온건 보수층은 54.42점, 중도 보수층 34.87점으로 차이가 컸다. 강성 보수층은 여전히 윤 대통령에게 지지를 보내는 수준의 점수였지만, 중도 보수는 낙제점에 가까웠다.
윤 대통령이 주장하는 계엄 선포 명분에 대한 평가도 크게 엇갈렸다. 보고서는 계엄 선포의 원인이 ‘야당의 비협조 때문’이라는 물음에 대해 공감 정도에 따라 1~10점의 점수를 매기도록 했다. 그 결과 강성 보수층은 8.64점으로 윤 대통령의 인식처럼 야당의 국정 발목 잡기로 인해 계엄이 불가피했다는 인식이 강했다. 반면 온건 보수층은 6.89점을, 중도 보수층은 5.12점을 각각 줬다. 계엄 선포가 ‘국가의 안보와 질서 때문’이라는 물음에도 강성 보수층 7.87점, 온건 보수층 5.79점, 중도 보수층 3.84점으로 강성 보수층과 중도 보수층의 시각차가 컸다.
최근 여권 일각에서 퍼지고 있는 부정선거론에 대한 인식차도 비슷했다. 윤 대통령이 당선됐던 2022년 대선의 공정성에 대한 점수를 1~4점(점수가 높을수록 불공정)으로 매기게 한 결과 강성 보수층은 3.06점으로 불공한 선거라는 인식이 강했다. 반면 온건 보수층은 2.59점이었고, 중도 보수층에서는 2.35점이었다.
연구 보고서는 이런 결과에 대해 “현 상황에 대한 관점·평가·인식이 강성 보수와는 뚜렷이 다른 중도 보수 집단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난 주말 동대구역 탄핵 반대 집회나 여론조사 등을 통해 윤 대통령을 지지하는 강성 보수층의 목소리가 부각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조용한 중도 보수층에서는 반대로 지지를 거두는 이탈 현상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탄핵 인용 상태에서는 탄핵이 정당했냐 아니냐를 갖고 대선후보도, 지지층도 대립할 수밖에 없고, 그러면 대선은 저조한 성적일 수밖에 없고, 그러면 또 대선 이후에도 주도권 다툼이 이상한 상태로 지속될 수밖에 없고, 여러모로 안 된다 이거다. 하지만 윤석열이, 예! 제가 잘못했습니다! 그냥 그만두겠습니다! 이러면? 탄핵 갖고 싸울 일이 없어지지. 그러면 마음 놓고 평온한 상태에서 이재명 반대만 갖고 싸울 수가 있는데 이보다 더 좋은 수가 있겠는가? 그래서 하야 얘기를 하는 것이다.
근데 이렇게 설명하면 너무 속 보이잖아. 그러니까 하야 얘기를 정당화 하기 위해서 헌법재판소를 못 믿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은데 탄핵 하면 나라가 결딴난다!!! 그걸 막기 위해서라도 하야를 받아줘야 하지 않겠니?? 이 얘기를 하고 있는 것. 그러면 나 같은 놈은 이제 이렇게 호통을 치는 거지. 헌법재판소 못 믿는 놈들 만들어 놓은 게 너네들이잖아!!! 이 미친놈들아!!!
오늘도 봐라. 조선일보 1면 기사 제목이 <증인 채택 번복, 갈팡질팡 헌재>이다. 미친새끼들… 염병떨고 있네. 근데 뒤로 가면, 강천석씨라고 있어요. 논설고문. 강천석씨가 칼럼을 썼는데 제목이 이거야. <改憲으로 ‘탄핵’과 ‘기각’ 국민 정면충돌 위험 낮춰야> … 이대로 탄핵 찬반으로 나뉘어 싸우면 나라가 결딴나게 되니 개헌으로 마음을 모아 여야가 합의를 해서 테이블에 앉아야 되지 않겠는가, 이거거든? 이 미친놈들아 너네가 나라가 결딴이 나는 조건을 만드는 데 일조를 해놓구선 지금 뭔 소리를 하는 거야!
그러면 하야니 개헌이니 해서 누구를 밀어주려고 하는 것일까? 그건 요즘에 개헌을 누가 얘기하는 거를 1차적으로 보면 되고… 뭐 개헌 토론회를 했는데 구름처럼 현역 의원들이 몰려 들었다 이런 거… 그 다음에 나중에 나오실 분이 어떤 의제를 들고 나와서 여기에 올라타는 가를 2차적으로 보면 되지. 하여간 가증스럽다 이런 말씀.
Comments are closed, but trackbacks and pingbacks are o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