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그제 등등 젊은 세대의 보수화 이런 거를 얘기하는 데 정말 답답해 환장한다. 기준과 팩트를 뒤섞어서 얘기하면 안 된다. 그런데 정치적 이해관계 때문에 다 뒤섞어서 되는대로 얘기한다. 이러면 아무것도 얘기를 안 하는 거나 마찬가지다. 적어도 두 가지를 부정하면 대화가 불가능하다고 본다. 1) 젊은 세대 중 상대적으로 여성은 진보적, 남성은 보수적 경향을 띈다는 것은 전세계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다. 2) 그 중에서도 한국은 젊은 세대 남성의 보수화 경향은 특별히 강조할만한 정도로 관찰된다.
근데 이제 이런 얘기를 시작하면 과연 보수란 무엇인가 수준으로 간단 말이지… 예를 들면 기성세대가 잘못해서 거기에 반발하는 것 뿐이지, 그걸 보수화라고 부를 수가 있느냐 등등… 아니 그러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진보 보수 이렇게 부를 때, 그게 다들 진보적으로 또는 보수적으로 사상적 트레이닝이 아주 잘 된 사람들만 그렇게 부르는 거요? 상대적으로 진보화됐다, 보수화됐다 라고 할 때는 이유가 뭐에 대한 반발이든 반대이든 경향적으로 그렇게 된 결과를 갖고 말하는 것이지. 물론 진보가 진보가 아니고 보수가 보수가 아니어서 생긴 여러 왜곡에 대해 비판할 수는 있어. 그래서 제가 책에다가 썼잖습니까? 오늘날 진보는 보수를 반대하는 것, 보수란 진보를 반대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 되어 버렸다, 라고! 근데 이것과 이거는 다른 문제다 이거다.
또, 다른 나라 극우를 판별하는 기준을 갖다 대면 또렷하게 차별화되지 않는다 라는 얘기도 종종 하는데, 가령 기후변화나 이민자에 대한 태도 등등이 기준이어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그 정도까지는 보수화 된 태도가 나타나지 않으니, 보수화라고 부르면 안 된다는 식이지. 그런데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로 기후변화나 이민자에 대한 태도는 보수화의 결과이지 그 자체가 보수화가 아니다. 보수화의 지표를 뭘로 판단할 거냐라는 건 그 시기의 정치와 조응한 결과인 것이지, 애초에 국내 정치적 맥락에서 기후변화와 이민자 문제가 쟁점화가 안 되어 있는데 그걸 갖고 보수화를 판단하자고 하면 그게 말이 되겠는가?
그럼 뭘 갖고 판단해야 하느냐? 그러니까 종합적인 분석과 비평이 필요한 거지. 가령 최근에 강원택류 얘기를 중앙일보가 계속 쓰고 있는데, 오늘은 뭘 쓴 거냐. 이 얘기 아니냐.
동아시아연구원(EAI)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2~23일 성인 1514명을 대상으로 웹서베이(web survey)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한국 민주주의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는가’(0~10점)라는 질문에 20대(18~29세)는 5.08점으로 전 연령대에서 60대(5.07점) 다음으로 낮은 점수를 줬다. 전체 평균(5.36점)에도 미치지 못한다.
특히 20대 남성은 4.89점으로 가장 낮았다. 반면 이들의 부모 세대라 할 수 있는 50대 남성은 5.81점으로 가장 높았다. 2017년 조사에선 20대 남성(만족 48.6%)이 40·50대 남성(37.3%, 43.6%)보다 우호적이었다.
‘민주주의가 다른 제도보다 더 낫다’는 데 대해서도 20대 남성의 62.6%만 동의했을 뿐이다. 30대 남성(64.3%), 60대 여성(71.5%)이 뒤를 이었다.
다른 때 같으면 더 많은 분석을 할 수도 있겠지만, 윤석열이가 계엄을 선포하고 그게 정당했다는 근거로 야당이 국회 권한을 남용했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젊은 세대 남성만 이런 반응을 보인다? 그게 의미하는 바가 뭐겠나?
그니까… 이런 결과에 자꾸 눈을 감으면 안 된다는 거다. 항상 문제는 해법이지 현상이 아니다. 여기서 해법을, 해법이랍시고 말려 죽이자 이런 얘기나 하면 안 된다는 거지…
Comments are closed, but trackbacks and pingbacks are o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