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흙뷁요리사라는 프로그램이 유행이라는데, 안 봤다. 분명히 밝혔다, 안 봤다고. 안 봤는데 하도 여기저기서 흙뷁요리사 얘기를 하니까 안 봤는데도 본 것 같은 기분이 들 정도다. 관련한 글이 신문에도 나오는데, 죽 읽다 보면 대략 그런 말씀들 많이 하시는 것 같다. 공정한 경쟁 표방하는 것 같지만 이미 흙수저 뷁수저를 나눈 것부터가 계급 격차를 내면화 하고 있는 거고, 이모님 뭐 이렇게 부르는 것도 여성혐오 아니냐…. 이런 얘기.
좋은 말씀에 100% 동의하면서, 흙뷁요리사라는 기획 자체의 의도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흙수저 뷁수저라는 대립은 뷁종원과 안선생님의 대립 구도에서 보듯 대중과 엘리트의 대립이다. 원래 전통적으로 우리 음식-대중은 흙수저에 더 친화적이다. 맛있으면 됐지 뭘 자꾸 따지냐, 평가는 미식-평론가가 아니라 대중과 판매량이 한다, 미식-평론가가 뭘 아냐 이게 보통 하는 얘기 아닌가? 그래서 흙수저 뷁수저의 대립은 근본이 없어도 많이 파는 사람(이쪽 편에 속한 사람들이 다 그렇다는 얘기가 아니라, 양쪽을 구분하는 구도가 그렇다는 거다)과 가게가 망할지는 모르겠는데 아무튼 근본이 있는 걸로 유명한 사람의 대립구도라는 점에서 정확히 대중과 엘리트의 구도를 재현한다.
그런데 실제 양팀을 경쟁을 붙여 보면, 흙수저 심사위원도 뷁수저 만큼의 엘리트적 짬바를 갖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그니까 흙수저도, 거기 나올라면 그냥 되는 게 아니예요. 엘리트적으로 평가받지는 못하지만 ‘실력'(즉 능력…. 이 개념에 대해서는 제가 몇 안 되는 읽은 척 할 수 있는 책인 미국의 반지성주의에 등장하는 ‘자조(self-help)’와 연관지어 볼 수 있음)이 있어야 팔아먹을 수 있는 거지. 이것도 일정 이상이 쌓이면 뷁수저랑 개념과 논리로 다이다이 뜰 수 있는 것임. 기본적으로 그렇기 때문에, 뷁수저가 흙수저를 일방적으로 무시하지 않고 서로 존중하고 그러면서도 사실 조금 깔봤지만 대한민국 대표 먹짱 뷁종원이 먹으면서 다 맞춰버리니까 깜짝 놀라며 다시 보고 뭐 그런 연출이 그래서 나오는 거다. 그러니까 사실 출신은 흙수저와 뷁수저지만 이들의 경쟁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리, 그 근본을 관통하는 그런 거는 능력주의다 라는 게 기본 구도가 아닐까 하는 것.
이러한 구도를 성급하게 우리 사회의 모습에 갖다 붙여버려 본다면? 대중과 엘리트의 분열과 대립도 능력주의로 커버가 되는 거고, 그 ‘커버’의 과정에서 대중이 엘리트의 원리와 논리를 거부감 없이 학습한다는 것(가령 흙뷁요리사 보면서, 난 그냥 맛있으면 되는 건줄 알았는데 요리하는 사람들이 거기에 의도를 다 싣고 재료 크기까지 맞춰서 썬다는 걸 보고 감탄했다고 말하는 분들 있을 것임). 그걸 재현하는 쑈가 아닐까 하는 게, 제 머릿 속에 있는 뇌피셜적인 흙뷁요리사라는 프로그램이라는 생각이 들어 아무렇게나 메모를 해놓는 것.
이렇게 쓰면 이제 숏폼 콘텐츠 같은 녀석들이 와서는 ‘응^^ 다음 뇌피셜’ 이런다고 인제. 그래서 블로그에다 썼잖아. 내가 이걸 쓰고 돈이라도 달라 그랬니? 진정하시고. 안 봤다니까 글쎄.
Comments are closed, but trackbacks and pingbacks are o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