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안내
  • 이상한 모자
  • 야채인간
  • 김민하 공화국
  • 신간 안내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여론조사

지지율 갖고 장난치지 마라

2023년 8월 2일 by 이상한 모자

오늘 택시를 타고 가는데 라디오에서 어떤 분이 여론조사 얘기를 하는데, 좀 답답했다. 그래서 정리를 해본다. 일단 떠들기 전에 기본부터.

1) 요즘 얘기하는 여론조사들의 방식엔 ARS와 전화면접이 있다.
2) ARS 조사는 응답률이 낮고 전화면접은 ARS보다 응답률이 더 나온다.
3) ARS 조사에는 정치고관여층이 주로 응답하고 전화면접에는 중도층 여론이 좀 더 잡힌다는 게 요즘의 해석이다.
4) ARS 조사에서는 윤통과 민주당 지지가 모두 높게 나오고 전화면접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게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

요 정도 상식으로 놓고 일단 가보자. 그러니까 예를 들어 어떤 조사에서 윤통 지지율이 40%가 넘었다! 이건 둘 중에 뭐? ARS다. 민주당 지지율이 20% 아래로 떨어졌다! 이건 뭐? 전화면접이다. 요거를 염두에 두면 된다. 다 아는 거라고? 다 아는 건데 도대체 왜 그러는 거냐.

◇ 신율> 한국갤럽 조사 기준으로 보면 7월 넷째 주, 전주 대비 2% 올랐어요. 대통령 지지율이 오른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

◆ 엄경영> 일단 윤석열 대통령은 30%대 초반에서 강력한 지지기반이 이번에 확인이 됐다.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고요. 구체적으로는 두 가지 사안 정도가 있는데요. 첫 번째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탄핵안이 기각됐지 않습니까? 이러면서 이제 민주당의 국정 발목 잡기가 부각이 됐고 그리고 두 번째는 최근에 서초 서이초 선생님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교권 확립, 이거에 대한 광범위한 사회적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는데 이런 것에 대해서 윤석열 대통령의 명확한 방향을 여러 차례 강조를 하고 밝히고 있는 거죠. 이런 것들이 합쳐져서 지지율이 올랐다. 이렇게 볼 수 있는데요.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은 말씀하신 한국갤럽 자료를 보면 실제로는 저는 한 10%포인트 정도 높다. 한 45% 정도 된다. 이렇게 보는 근거가 뭐냐 하면 정치 관심이 많다. 이런 사람들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44%거든요. 그리고 부정평가가 55%, 그래서 실제보다 10% 정도 높게 봐야 된다. 그러니까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을 정치 초짜라고 생각하고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절대 그렇지 않거든요. 그런데 문재인 대통령 퇴임 직전, 그러니까 작년 4월 지지율이 정확히 45%였어요. 그런데 문재인 대통령은 정치에 관심이 많은 사람 중에서도 45%였어요. 변화가 없거든요. 그런데 윤석열 대통령은 인기가 없고 이런 측면이 있는 것이기는 한데 의외로 지지율이 상당히 높다.

(…)

◆ 엄경영> 과거에는 임기 중반에 치러지는 선거는 대통령에 대한 찬반 투표나 마찬가지였거든요. 그래서 제가 방금 말씀드렸듯이 윤석열 대통령이 35% 정도를 유지하면 실제 지지율이 45% 정도 되기 때문에 총선에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을 하고요.

나는 이게 뭔 말인지 잘 모르겠다. 일단 엄밀하게, 2%포인트를 올랐다고 얘기하는 게 맞냐? 내가 세상을 너무 모르나? 가령 전화면접 조사에서 윤통 지지율이 전반적으로 저평가돼있다, 이런 식의 서술이라면 이해할 수 있다. 근데 그냥 정치고관여층에서 지지율이 44%정도 되니까, 그걸 믿어야 한다… 그냥 이렇게 말하고 근거가 뭔지는 얘기 안 한다. 중간에 생략된 대목은 윤석열은 리콴유이다, 뭐 이런 얘기 하는데, 그런 얘기 하는 게 우리가 또 전문이긴 하지만 이건 걍 넘어가고. 여론조사 얘기만 보자.

◇ 신율> 그런데 소장님, 민주당 지지율은 반대로 20%대로 지금 떨어지지 않았습니까? 그리고 사실은 NBS 조사 지지난주 목요일 20일 날 발표된 거는 23%까지 떨어졌단 말이에요. 그러면 이게 어떤 의미로 민주당이 받아들여야 되고, 일반 우리 같은 사람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될까요?

◆ 엄경영> 말씀하신 대로 민주당 지지율이 30% 밑으로 내려갔는데요. 민주당에게 30%는 일종의 콘크리트 지지율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까 그걸 대략 계산을 하자면 호남 유권자가 대략 한 10% 정도 됩니다. 약간 못 되긴 하는데요. 9.8% 정도 되는데, 그리고 수도권에 있는 호남 원적자가 20%가 넘습니다. 그래서 대략 합치면 30% 정도 되는 거죠. 그러니까 이 30%가 붕괴됐다는 것은 콘크리트 지지층이 지금 깨지고 있다. 그래서 굉장히 심각한 어떤 경고의 징후로 봐야 되는 거죠.

민주당 30%가 깨진 여론조사는 뭐다? 전화면접이다… ARS에선 어느 정도냐. 막 45%씩 나온다. 그니까 이게, 윤통 지지율은 ARS에서 45%니까 그걸 맞다고 봐야 되고, 민주당은 전화면접에서 30%가 깨진 거니까 심각한 상황이다… 이렇게 말하는 게 이게 뭐냐고… 그래서 사회자가 질문을 한다. ARS와 전화면접의 특징이 있지 않니? 근데 또 막 끼워 맞춘 얘기를 하는 거다.

◇ 신율> 그런데 한 가지만 더 여쭤보는 게 지금 민주당 같은 경우에는 이게 실제 지지율보다 낮게 잡혔다라고 스스로 주장을 하지 않습니까? 당 차원에서도 정기적으로 조사를 하는 여론조사도 있는데 이건 높게 나온다. 어떻게 보십니까? 사실 ARS하고 전화 면접, 응답률은 ARS가 1.9%에서 한 3% 정도 나오는데 지금 우리가 말씀드린 전화 면접은 보통 14%에서 많게는 18 %나오고 20% 나올 때도 있거든요. 어떻게 보십니까?

◆ 엄경영> 네, 그렇습니다. 간단하게 요약해서 말씀드리면 정당 지지율이 낮거나 후보 지지율이 낮을 때 보통 면피 대책으로 얘기하는 게 여론조사는 문제가 많다. 그렇게 지적을 하거든요. 그런데 사실 그렇게 지적을 하면 그날은 행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나중에 선거 때 땅을 치고 후회하게 될 거다. 이렇게 이제 말씀을 먼저 드리고요. 그리고 한국갤럽 여론조사는 대통령 지지율을 먼저 물어봅니다. 그다음에 정당 지지율을 물어보거든요. 그런데 대통령 지지율 물어보면 민주당의 논리대로라면 대통령 ‘잘 한다’가 35%, ‘못 한다’가 50%~60% 되는데 그러면 민주당한테 유리해야 해야 하죠. 그래서 민주당의 주장은 억지 또는 생떼에 가깝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고요. 그리고 이제 또 민주당 지지층이 안 잡혔다. 이렇게 주장하잖아요. 그러니까 그 근거가 뭐냐 하면 주관적 정치 성향을 물어볼 때 보수라고 얘기하는 사람이 이번 조사 보니까 31%였어요. 그리고 이제 진보라고 얘기한 사람이 25%, 그러니까 그 격차가 6% 포인트거든요. 그런데 이거는 그 당시 사회 분위기를 그대로 반영하는 거거든요. 왜냐하면 2016년, 2017년 탄핵 때는요 그때 여론조사 보면 지금 한국갤럽 홈페이지나 중앙여심위 홈페이지에 가면 다 나와 있는데 진보가 35%가 넘었어요. 그리고 보수는 20% 전후였거든요. 그러면 그때 역으로 말하면 보수 유권자가 배제됐다. 이렇게 주장하는 건 말이 안 되죠. 그리고 ARS 여론조사하고 전화 면접 조사의 특징은 말씀하신 대로 응답률의 차이입니다. 그런데 물론 응답률이 저는 높을수록 좋은 건 아니죠. 예를 들어서 응답률이 70%다. 이러면 통계가 왜곡될 수 있어요. 그렇죠? 왜냐하면 골고루 샘플을 확보를 못하기 때문에, 그런데 저는 한 15% 정도 되면 딱 적당하다. 이렇게 보는데 한국갤럽이나 NBS의 조사는 통신 3사가 제공하는 가상번호를 활용하거든요. 굉장히 정확한 샘플을 활용하고 있는 거예요. 그리고 지금 ARS의 조사들 응답률이 사실 좀 떨어지고 있어요. 대체로 말씀하신 대로 한 3% 내외가 태반이고 질문이 좀 복잡하거나 어려운 것을 물어보면 1%대까지 떨어집니다. 이렇게 응답률이 떨어지게 되면 상당히 통계의 왜곡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요. 그리고 지난번 대선 때는 대체로 보면 5% 내외였어요. 굉장히 높았거든요. 가상번호를 쓰는 경우에는 8%~9%까지 가는 경우도 있었고, 그래서 그때는 ARS나 전화면접 조사나 거의 비슷했죠. 그런데 결과가 비슷했습니다. 그래서 다만 제가 여기서 하나 더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여론조사는 조사를 실시하는 정치, 사회 여건이나 시기에 따라서. 이를테면 침묵의 나선이 강하게 작동을 해요. 그러니까 침묵의 나선이 뭐냐면 내 의견이 사회 주변의 의견과 다를 때 숨는 현상인데 대표적으로 어떤 경우가 있었냐면 탄핵 때죠. 그때 탄핵 때 대구 경북에서 여론조사를 해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대해서 찬성하냐고 하면 전화 면접 조사는 70~80% 나왔어요. 그러니까 전국에 탄핵 찬성 열기로 가득 차 있으니까, 전화 면접 조사에서 면접원이 ‘당신 탄핵 찬성하냐?’ 이러면 반대한다고 답을 못 하는 거예요. 그런데 ARS 조사를 그때 해보면 탄핵 찬성이 50%에 그쳤어요. 그런데 그때 어떤 게 더 맞았냐? 저는 탄핵 찬성 50%에 그친 게 맞았다고 봅니다. 그런데 지금도 마찬가지로.

(…)

◆ 엄경영> 네, 그런데 지금 반대로 돼 있는 거죠. 왜냐하면 지금 윤석열 대통령이나 김건희 여사 욕하는 게 국민 스포츠처럼 있으니까.

◇ 신율> 일종의 유행이죠.

◆ 엄경영> 그렇습니다. 그래서 전화 면접 조사로 물어보면 솔직히 얘기하는데 ARS로 조사하면 민주당 쪽 지지층이 과다하게 잡힐 수 있어요. 그런 측면이 조금 다르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전화면접에서는 안 잡히는 샤이-윤석열이 ARS에서 잡히고, 또 이유는 모르겠지만 ARS에 민주당 지지층이 과다하게 잡혀서 이런 일이 일어난다는 거다. 근데 이런 얘기는 아무것도 설명해주지 않는다. 윤통이 욕을 많이 먹고 있는 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이재명에 대해서도 똑같이 얘기할 수 있다. 국힘쓰들의 전략은 다 기승전-이재명 아닌가? 근데 그런 얘기하면 또 뭐 개딸이 특출나게 극성스럽고… 이런 얘기 할텐데, 그런 식의 얘기가 대체 뭘 설명해주나?

제가 무조건 전화면접이 맞고 윤통 지지율은 바닥을 기고 있다! 이렇게 말하려는 게 아니다. 그럴려면 그 동학을 제대로 설명하라는 말이다. 결국 선거 직전되면 양측 결집이 최대치가 되고 저관여층도 고관여층으로 활성화 되기 때문에 윤통과 민주당이 모두 높은 ARS 조사로 수렴될 거라고 하든지, 아니면 지금으로선 중도층 여론까지 볼 수 있는 전화면접을 중심에 놓고 봐야 하고 선거 직전 되면 어차피 ARS도 저관여층 응답이 높아지면서 전화면접 결과로 수렴될 거라고 하든지… 무슨 일관성이 있어야 될 거 아닌가?

여당 170석 얘기 던졌는데 윤통도 그게 기뻤는지 우리 목표는 170석이다 했다 하니까 그 다음에 나오는 모든 얘기를 거기다가 막 맞추는 느낌인데, 좀 진정하시는 게 어떨지…

인터뷰 전문은 아래 링크.
https://radio.ytn.co.kr/program/?f=2&id=90813&s_mcd=0263&s_hcd=01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ARS, 여론조사, 전화면접

여론조사 탓

2023년 5월 16일 by 이상한 모자

며칠째, 그리고 잊을만하면 조선일보가 불량 여론조사 얘기를 하는데 요즘 여당 일각의 분위기에 발을 맞추는 거 같다. 아무리 해도 선수가 못 뛰면 심판을 견제해라… 라디오 방송 패널 얘기, 네이버 알고리즘 얘기, 실시간 검색어 얘기 다 여기에 해당한다고 본다. 그래도 조선일보가 맞장구를 좀 쳐주는 건데…

근데 이런 방식이다. 어떤 특정 사례를 얘기한다. 여론조사 업체가 잘못된 사례다. 그걸 들어서 마치 ‘여러분이 보고 있는 그 여론조사 다 믿을 수 없습니다’ 식의 냄새를 풍긴다. 어디까지나 냄새만 풍긴다. 직접 그렇게 주장하면 문제 커지니까…

예를들면 이 글인데..

https://www.chosun.com/opinion/column/2023/05/16/YR5E6M3P6BHQFDQYYAB5C2WX3I/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이 글이 처음이 아니다. 조선일보가 계속 하고 있다. 여기서 거론하는 업체는 ‘미디어리얼리서치코리아’이다. 난 들어본적도 없다. 우리가 보통 보고 참고하는 조사가 아니다. 그런데도 이 글 읽은 사람들은 ‘역시 여론조사 믿을 수 없다’며 여론조사가 가짜뉴스의 온상이라는 듯한 주장을 막 한다. 여당은 법도 만들자고 한다. 뭐 법은 필요할 수 있다. 아무튼 마녀사냥이라는 거다.

생산적인 논의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가령 지금 주요 여론조사 수치를 믿을만한가? 이 질문을 글자 그대로 이해하고 답하면 ‘안 믿을 이유는 없다’는 답이 합리적이다. 그런데 질문을 바꿔서, ‘수치에 대한 여론조사업체의 해석은 믿을만한가’라고 한다면 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일부 업체의 경우에는 그냥 기계적으로 대충 해석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더 나아가서, ‘이 수치로 총선을 예측할 수 있는가’라고 한다면 ‘아니다’라고 해야 할 거다. 지금 여론조사 답하는 사람조차 정치에 관심이 상당한 사람일 뿐, 대다수 사람들은 관련 뉴스에조차 별 관심 없는 상태다. 총선이 목전에 다가와야 의견 갖는 사람들이 상당수고 이 사람들이 줄을 죽 서야 총선 예측이 가능하다. 다만, 지금대로면 지금 여론조사 하는 거나 그때가서 하는 거나 정치권이 이 모양 이 꼴이란 것에 대해 사람들이 느끼는 건 비슷할 것이므로 별 차이 없을 거다란 얘기가 가능한 정도이다.

오히려 일부 ARS 조사의 경우와 전화면접조사의 차이 등은 따져볼만한데, 이것은 동아일보의 칼럼을 참고해보자.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0516/119308294/1

이 칼럼에 등장하는 여론조사 굥정 아니 공정은 에스더기도운동본부라는 데하고.. 아니, 아닙니다. 가끔 대통령실이 여론조사에 문제가 있다는 언급을 직접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NBS 그 중에서도 한국리서치를 겨냥한 게 아닌가 의심이 될 때가 많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따지자면 그마저도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얘기 비슷하다는거~ 제발 좀 칼럼을 쓰면 잘 좀 읽어보시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남탓, 여론조사

출렁이는 여론조사

2022년 1월 21일 by 이상한 모자

여기다가 이번 주인지 지난 주인지에 경고성 메시지처럼 썼는데 한동안 석열왕한테 안 좋은 흐름이다가 이제는 재명대장한테 안 좋은 흐름이 쭉 온다. 재명대장의 자기 논리인 ‘흠은 있을지 몰라도 유능한 사람이예요’ 이게 한 2~3주 동안 전혀 부각이 안 됐기 때문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두 분 돌아가시고 욕설 또 나오고 하면서 ‘흠’은 엄청나게 부각됐는데 ‘유능’은 대장동 때문에 이미 기세가 꺾인데다 석열왕발 뉴스들 때문에 다 묻혀서 주목받지 못했다.

반면 석열왕은 호랑이 사냥-선대위 폭파 사건으로 일단 바닥을 찍은 후 전기차의 굴욕 사건으로 이준석과의 갈등을 마무리 짓고 여가부 폐지 필살기까지 넣으면서 일단 지지율 복구에 성공한 상태이다. 그리고 선대위 개편 후에 그게 바람직한 방향이든 아니든 어찌됐든 정비가 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거기다가 배우자 문제도 녹취록 설레발 덕에 어디까지나 단기적으로는 한 고비 넘겼다. 원래 석열왕에 대한 우려는 1) 대통령 할 준비가 안 돼있다, 2) 배우자 처가 리스크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는다… 는 게 핵심이었는데 이게 둘 다 선거조직 개편과 녹취록으로 일정정도 돌파가 돼버린 것.

이 얘길 하려던 건 아니고… 이런 얘기는 방송이나 이런 데서 하는 거고. 여론조사가 왜 이러냐 이건 한 번 생각을 잘 해봐야 한다고 생각. 두 가지를 뇌피셜로 생각하고 있는데, 첫째는 기존 여론조사 해석의 방법론이 이번 대선에는 안 맞는다는 것. 특히 세대와 성별에서 이 현상이 반복해서 나타나고 있음. 가령 ARS냐 면접조사냐, 응답률이 얼마냐 이거 가지고 말들 많이 하지만 결국 여론조사에 누가 응답하느냐의 문제거든? 지금까지는 좌우 이념별로, 각 정당별로, 세대별로, 지역별로 대체적으로 어느정도 동질한 여론분포가 있다고 보고 거기에 맞춰서 보정이나 해석이나 이런 걸 해왔단 말이지. 근데 이번 대선은 이념 정당 세대 지역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이게 잘 안 맞고 있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임. 더 정확히 말하면 이념 정당 세대 지역의 자기조직화 논리가 다 희미해진 상태임. 진보는 이재명 찍자든가, 충청도는 윤석열 찍자든가, 젊은층은 안철수 찍자든가… 이런 게 압도적이진 않더라도 뭔가 흐름이 있어야 하는데 다 지맘대로임. 그래서 뭔가 구조적으로 잘 잡히지 않는 여론이 있다는 생각.

둘째는 언론이 말하는 이대남 현상인데, 앞서 ARS냐 면접조사냐, 응답률이 얼마냐에서 핵심은 여론조사 전문가들이 흔히들 말하는 정치고관여층 비중이 얼마나 되느냐거든. 대체적으로 지금 정치고관여층이 주로 답했다고 생각되는 조사에서 석열왕이 앞서감. 정권교체 선호 그룹에서 로얄티가 상당히 쎈 것임. 근데 이걸 세대별 성별로 잘라서 보면 특히 이대남이 튈 수 있음. 왜냐하면 전통적으로 20대가 정치적으로 덜 조직화 된 상태(흔히들 하는 말로 무관심층)라 여론조사 응답에 소극적일 가능성이 높단 말야. 누구에게 투표할 거냐도 거의 투표일 돼야 결정하는 비중이 높을 가능성 크고. 그런데 지금 정치고관여층이 돼서 적극적으로 여론조사에 응답하는 젊은이가 있다? 이게 정권교체 바람에 정치적으로 조직화돼있는 소위 이대남인 거지. 그래서 이런 편향을 고려해서 봐야 한다…

이렇게 말하면 또 단순하게 아~~ 윤석열이 과대평가 돼있다는 거구나~~ 할텐데, 이 요인만 있나? 다른 요인도 있지. 난 그냥 왜 여론조사마다 이렇게 숫자가 다 지멋대로냐에 대한 가능성 일부를 언급한 것. 숫자도 숫자지만 뉴스의 흐름이라는 게 있는데, 적어도 오늘까진 재명대장한테 상당히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고 본다. 그니까 똑바로 하라고 내가 여기다가 쓴 것임.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여론조사, 윤석열, 이대남, 이재명
1 2 다음 »

최근 글

  • 극우포퓰리즘 얘기하면…
  • 엘리트-포퓰리즘과 포퓰리즘-엘리트주의
  • 좋은 말로 하면 악플이 아니게 되나?
  • 이단이 되어야
  • 주식 투자를 10억씩 하는 사람들의 훈계

분류

누적 카운터

  • 1,498,436 hits

블로그 구독

Flickr 사진

추가 사진

____________

  • 로그인
  • 입력 내용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Copyright © 2025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Omega WordPress Theme by Them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