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안내
  • 이상한 모자
  • 야채인간
  • 김민하 공화국
  • 신간 안내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잡감

부자연스러운 불출마

2023년 1월 25일 by 이상한 모자

나선생이 불출마선언을 했는데, 구중궁궐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성 밖에 있는 나그네가 알턱이 없다. 기자들이 취재한 내용을 기사에 쓴 행간을 보면서 머리를 굴려볼 따름이다.

오늘 아침만 해도 다들 출마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분위기였다. 아침 라디오에 출연한 대부분의 국힘 인사들이 나경원 출마를 전제로 발언했다. 그렇다고 하면 어제 보도는 반반이라고 났어도 실제 나캠프 분위기가 불출마는 아니었던 게 아닌가 하는 추측이 가능하다. 이런 종류의 보도는 한 템포 지나고 나서야 실마리가 나오는 법이어서 지금 기사만 보고 추측하는 건 무리지만, 일단 기사들 검색하다 보면 이런 뉘앙스가 전달되는 것들이 분명히 있다.

가령 시사저널…

보수 원로들도 나 전 의원에게 출마를 권유한 것으로 전해진다. 나 전 의원은 설 연휴 동안 본인을 정치에 입문시킨 이회창 전 총재 등 당 안팎의 원로들을 만났다. 당시 상황에 능통한 나 전 의원 측근은 “보수 원로들은 한결같이 (나 전 의원에게) 출마해야 한다고 조언했다”며 “원로들이 ‘당선이 힘들더라도 정치는 길게 보고 크게 봐야 한다’고 조언했고, 나 전 의원도 감사하다고 화답했다”고 전했다.

이에 24일 정오까지도 나 전 의원의 측근들은 출마를 염두에 두고 차주 일정 등을 조율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24일 오후 회의를 거친 후 나 전 의원이 독단(獨斷)으로 ‘불출마’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들과 친윤계 의원들의 직‧간접적인 압박, 당원들의 ‘폭탄 문자’ 등에 나 전 의원이 부담을 느낀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나 전 의원 측 한 관계자는 “캠프에서 불출마를 권한 사람은 극소수고 (나 전 의원) 측근 대부분이 강력하게 출마를 권유했었다. 결국 나 전 의원 스스로 불출마를 결정한 셈”이라며 “아무래도 심리적 부담이 컸을 것이다. 주변에서 조언이라면서 협박 같은 압박을 가해왔다. ‘제2 유승민’, ‘제2 이준석’이 되지 말라는 식의 폭탄문자도 쏟아졌다”고 전했다.

나 전 의원의 강력한 우군(友軍)이던 가족들의 만류가 있었다는 후문도 나온다. 나 전 의원을 도왔던 박종희 전 국민의힘 의원은 “(나 전 의원의) 남편은 (출마를) 반대하지 않았지만, 아버님이 ‘왜 사서 고생하냐’고 (전당대회에) 나가지 말라고 했다”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최근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하락한 탓에 나 전 의원이 결심을 바꾼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라는 게 나 전 의원 측의 공통된 주장이다. 실제 나 전 의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지율 여부는 저한테 중요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지지율은 캠페인과 토론 등을 통해 얼마든지 뒤집을 자신이 있었기에 고려 대상이 아니었단 얘기다.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54767

그리고 뉴스1…

나 전 의원은 전날부터 관계자들과 여러 차례 논의를 한 끝에 이날 오전 이런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 전 의원은 출마와 불출마 선언문 두 가지를 써놓고 전날까지 막판 고심을 거듭했다고 한다.

전날 4시간 넘게 이어진 회의에선 나 전 의원 출마 여부를 두고 참모들 간에 격론을 벌인 것으로도 전해졌다. 일부 참모들은 낮아진 지지율과 대통령실과 관계 회복을 근거로 불출마를 주장했다고 한다. 내년 총선 공천을 받아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왔다고 한다.

전날 회의에서 그는 출마를 만류하는 측근들에게 출마 의지를 에둘러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참모들 간에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나 전 의원은 회의 막판 “내가 고민해 결정하겠다. 내일 어느 쪽으로든 발표할 테니 중앙당사를 대관해달라”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전날 오후 서울 용산구 자택 앞에서 출마 여부에 대해 “결심은 섰고, 내일 말씀드리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출마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지만, 장고 끝에 불출마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https://www.news1.kr/articles/4933320

두 기사 내용을 종합을 하면, 나캠프 회의에서는 일부 참모들이 불출마를 주장하긴 했지만 출마 분위기에 기운 건 사실이라는 거다. 마지막에 나선생이 결단하겠다며 집에 간 후에 판단을 바꿀만한 무슨 일이 있었고, 그게 불출마 결단으로 나온 거라고 보는 게 알맞을 것 같다. 나는 아침 라디오에서 마지막까지 당 주류가 회유하고 압박할 거라고 얘기했는데, 아침 라디오 출연자들 반응이나 앞서 시사저널 기사의 윤핵관 4천왕 중 1명 이철규씨 반응을 보면 그게 먹힌 분위기는 아닌거 같다.

설 연휴 전 나 전 의원과 회동했던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은 시사저널과의 통화에서 “(나 전 의원의 불출마 이유를) 제가 어떻게 알겠는가”라고 반문한 뒤 “(나 전 의원이) 여러 가지를 판단하고 고려해 (불출마 결정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 전 의원이 윤 대통령과의 관계를 고려해 불출마를 결정했다고 보나’라는 질문에 “그럴 수도 있겠지만 그 이상 드릴 말씀드리긴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그럼 상식적으로 봐서 윤핵관 4천왕 정도의 레벨도 알 수 없는 어떤 라인이 작동한 거 아닌가 하는 상상을 해볼 수 있겠지요. 가가멜 김기현 씨가 다이렉트로 뭔가를 약속했거나, 그게 아니면 그보다도 윗선인 용산의 뭔가가 작동했거나… 이 부자연스러운 미스터리에 구미가 당긴다. 여의도에 영원한 비밀은 없으니 결국은 촉새들이 다 털어놓을 일이다.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나경원, 전당대회

In my time of dying

2023년 1월 24일 by 이상한 모자

기타리스트 얘길 잠깐 썼는데, 지미 페이지 얘기를 하다 보니… 레드제플린의 모든 노래가 다 멋지고 대단하지만 그 중에서도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곡을 몇 개 꼽으라면 나는 achilles last stand와 in my time of dying을 선택할 거다. achilles last stand를 처음 들었을 때는 정말 충격이었다. 대학생이고 기타를 배운지 1년이 좀 넘었을 때였는데 어설프게 따라치려고 했을 정도다.

https://youtu.be/YWOuzYvksRw

그런데 지미 페이지는, 앞의 글에서는 작곡 능력이라고 대충 적었지만, 기타리스트로서의 능력보다는 프로듀서로서의 재능을 더 인정받았던 사람으로 알고 있다. 그러한 면모가 십분 발휘된 곡이 in my time of dying이 아닌가 한다. 이 곡은 원래는 가스펠로 알고 있는데 밥 딜런이 부른 버전이 잘 알려져 있다.

https://youtu.be/dc0konC8Kn8

레드제플린의 버전을 들어보면 다른 가수들 버전의 기타 멜로디가 일부 변용돼서 전반부 메인 테마로 활용된다. 인상 깊은 대목은 후반부 박자가 달라지면서 등장하는 기타 리프다. 앞부분과 자연스럽게 연결이 되면서도 완전히 별개인 이 리프가 등장하면서 가스펠이었던 이 곡은 완전히 레드제플린 그 자체가 되는 것이다. 최근에 무슨 방송 프로그램을 보는데 이 부분이 배경음악으로 나와 모처럼 떠올랐다.

https://youtu.be/xTrQ7vUZsIo?t=199

물론 오늘날의 기준이었다면 지미 페이지와 그 일당들은 마치 유희열처럼 가루가 되도록 까였을 것이다. 그러나 그 시절은…… 뭐 하여간 지금 그걸 논하자는 건 아니고, 그니까 제프 벡이 최고라고 하는 것이기도 합니다만, 하여간 지금은 어떤 센스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니까 이 논란은 잠시 젖혀두고.

영상을 보면 댄일렉트로 기타를 쓰고 있는데, 저 모습(사진)에 감명을 받아 댄일렉트로 기타를… 살 순 없었고, 처음 산 페달이 댄일렉트로사의 블랙커피였다. 물론 쓰임새와 맞지 않았다. 지금은 어디에 있는지도 모른다. 고향 집의 이사와 함께 소멸했을 것이다… 흠… 아깝네… 초보 시절에는 그런 시행착오도 있는 것이다.

Posted in: 잡감, 정치 사회 현안 Tagged: 레드제플린, 지미 페이지

Going Down

2023년 1월 24일 by 이상한 모자

오늘 아침 라디오에선 제프 벡 선생이 기타를 친 goin’ down을 틀었다. 명절이고 해서… 노래를 추천하라 했는데 평소 일본 노래만 듣고 있어서 좀 그랬다. 그러다가 제프 벡 선생의 생각이 났다. 민기자님은 oasis의 whatever를 신청했더라. 흥이 나서 뻔한 오아시스 대 블러 얘기를 잠깐 했다. 우리 스쿨밴드 시절 레파토리 중에 morning glory, don’t look back in anger

추모하고 싶은 마음에 제프 벡 곡을 신청하긴 해야겠고 한데, 마땅한 게 생각나지 않았다. 일단 연주곡에는 청취자들이 적응하지 못할 거 같고, 또 난해하거나 너무 우울한 곡은 아침부터 좀 그렇고… people get ready 같은 너무 정박자인 곡은 싫고… 마침 떠오른 게 goin’ down이다. 가사는 좀 아니어도 분위기가 흥겹긴 하니까…

제프 벡은… 위대했다. 한국인들이 3대 기타리스트 어쩌구 하는데, 에릭 클랩튼은 영 마음으로부터 가까워지지 않는다. 그냥 느낌적 느낌이 좀 안정지향적이지 않나 하는 게 있지. 내가 가장 좋아했던 것은 지미 페이지였다. 기타는 좀 멋대로 쳐도 지미 페이지는 의심할 여지가 없는 위대한 음악가이다. 지미 페이지의 작곡 센스는 최고다(이거 사실 또 오타쿠들이 이런 저런 여러가지 얘기를 하는데, 그냥 그런가보다 합시다).

하지만 기타리스트로서는? 역시 제프 벡이다. 기타에 가장 충실하면서도, 기타의 영역을 넘는 어떤 서커스나 장난으로 가지는 않으면서도, 그 본질적인 한계 내에서 한계 자체에 끝없이 도전하는… 기타 그 자체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시도하는 기타의 수도자랄까. 사실 고전적인 의미의 기타리스트로서 제프 벡은 같이 비교되는 다른 이들처럼 이미 70년대에 완성돼있었다. 그런데 순전히 연주라는 측면에서 보면, 거기서 끝나지 않았던 거다. 이런 자세를 통해서 완성된 후기 제프 벡의 연주는 몇 개 음만 들어도 그게 제프 벡의 것이란 걸 알 수 있다.

어느 영역에서든… 그러한 사람이 되고 싶었고, 되고 싶다.

https://youtu.be/YiFcxilb30A

Posted in: 신변잡기, 잡감 Tagged: 제프 벡
« 이전 1 … 185 186 187 … 460 다음 »

최근 글

  • 하이퍼 능력주의와 공정 담론
  • 민주당에 화가 나면 뭐든지 해도 되나
  • 영포티 생일 대모험
  • 생일
  • 영포티다운 자유 연상

분류

누적 카운터

  • 1,512,388 hits

블로그 구독

Flickr 사진

추가 사진

____________

  • 로그인
  • 입력 내용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Copyright © 2025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Omega WordPress Theme by Them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