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안내
  • 이상한 모자
  • 야채인간
  • 김민하 공화국
  • 신간 안내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신변잡기

홋카이도 먹부림 기록

2024년 9월 19일 by 이상한 모자

여러분은 다른 여러 얘기 보다도 먹을 것 얘기를 좋아하니까, 홋카이도에서 먹은 얘기를 한다.

1) 조잔케이

슈마이 하야마데 타베루모노(シウマイハヤマデタベルモノ)

구글 지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목욕을 할 목적은 전혀 없었고, 가다가 들러본 곳이다. 라멘집에 갈까 했는데 문을 닫았기에 근처에 있는 슈마이 가게에 갔다. 점내에 나무 조각상 같은 것들을 전시해 놓고 있다. 마늘 슈마이, 후추 슈마이 등의 세트를 팔고 있고 단품으로 양고기, 소고기, 사슴고기 슈마이를 주문할 수 있다. 하나씩 먹어봤는데, 소고기는 양념의 맛이다. 사슴고기는 아무래도 지방이 많지 않은 고기 특유의, 어떤 야생의 맛이 강하게 난다. 양고기는 여러 설명할 것 없이 맛있었다. 고소하고 쥬시한 느낌이 좋았다. 모두 맛의 밸런스가 좋다. 정성껏 열심히 만들었다는 느낌을 받았다. 가격도 그렇게 비싸지 않다. 상당히 만족했다.

2) 아사히카와

후쿠요시 카페(Fukuyoshi Cafe)

구글 지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리뷰를 보면 100년이 넘은 건물에 있다고 한다. 여러가지를 팔고 있다. 드라이 카레 비슷한 것을 시켜 먹어보았는데, 좀 달았다. 음식의 맛으로 승부라기 보다는, 내부의 아기자기한 분위기가 좋다. 잡지 사진 찍으면 잘 나올 인테리어다. 카페이기 때문에 주력은 차와 디저트인데, 들어가는 입구에 보란 듯이 ‘토키와 야끼’라는 걸 굽는 장소가 있다. 말차 라떼를 먹어봤는데 역시 홋카이도이기 때문에 우유가 맛있다. 이 카페는 홈페이지도 운영하고 있는데, 접속해서 정보를 찾아보면 아사히카와시와의 여러 연결점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꾸며져 있다.

https://www.fukuyoshicafe.com/story

이 카페 맞은편에는 ‘쇼가 라멘 미즈노’라는 라멘집이 있다. 생강맛이 강하게 나는 게 특징이라고 한다. 개점 20분 전부터 줄 서있더라. 아사히카와라고 하면 아무래도 라멘인데…. 다음에 도전해봅시다.

3) 마슈호 근방

마키바의 소프트크림(まきばのソフトクリーム)

구글지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해석을 하면 ‘목장의 아이스크림’이라는 간판을 달고 있는 곳인데, 정확히는 ‘와타나베 유미 목장(渡辺憂美牧場)의 컨테이너에서 아이스크림을 팔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목장이기 때문에, 소똥 냄새를 풍기고 있으며 파리가 날아다닌다. 그러나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이 벌판(정확히는 목장과 논밭, 숲이 어마어마한 규모로 반복된다)에 웬 아이스크림이냐 라는 느낌(그렇기 때문에 차량이 없으면 안 된다)으로 찾아가볼만 하다. 아이스크림의 맛은? 첫째, 여기는 홋카이도이다. 둘째, 이 목장에는 소가 있다. 느낌이 오지 않나?

4) 오비히로

후지모리(Fujimori)

구글 지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맛집 추천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곳은 오비히로인들의 김밥천국 같은 가게이다. 그야말로 모든 것을 팔고 있다. 그런데, 모든 것을 파는 것에 비하자면 다 기본 이상은 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에 일반화 된, 테이블마다 있는 기계를 통해 주문을 하는 최첨단 방식이 도입돼있다. 가게의 전통(1960년대부터라고 한다)으로 주문 전에 메론 소다를 한 잔 준다. 손님들이 나폴리탄, 카레, 라멘, 햄버그 등 그야말로 다양한 것을 먹고 있더라. 리뷰를 보면 인디언 카레라는 것을 다들 먹고 있다. 인디언 카레의 발상지라나? 나는 부타동을 먹었다. 바로 옆에 부타동 맛집으로 소문난 가게가 있었으나 시간이 늦어 이용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부타동은 의외로 본격적이었다. 세트로 나온 소바는 조금 덜 익힌 맛이었다. 이렇든 저렇든, 이 가게는 1899년에 창업했다고 되어 있고 지금도 지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걸로 된 거 아닌가? 아래는 가게에 대한 간략한 소개.

https://northsmile.net/store/885

5) 삿포로 시내

로지우라 카페

구글 지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스스키노에 있는 파르페 맛집이다. 지난 번에 파르페를 먹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식사가 좀 될만한 메뉴에 도전하고자 했다. 로스트비프를 시키려 했으나 안 된다고 하더라. 치즈가 들어간 리조또와 소고기 구이를 시켰다. 리조또는 큰 기대 안 했는데 놀랐다. 우유와 크림이 내야 할 맛의 상당분을 치즈가 대신 하는 느낌인데,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일지 꽤 조화롭다. 소고기는, 역시 일본인들은 소고기 먹을 줄 모른다. 다만 이 카페는, 다른 데도 마찬가지지만 뭘 시켜도 열심히 해온다는 그러한 느낌이 있다. 보통 예약을 해야 하는데, 스스키노에 가실 일이 있으면 리뷰를 참고하여 파르페 등등을 드셔보시기 바란다.

투 오브 카페(TO OV Café)

구글 지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아침 식사를 목적으로 카레와 샌드위치 등을 먹었다. 음식은 기대 이상이다. 카레와 샌드위치 다 보는대로의 맛인데, 그 보는대로의 맛이 말 그대로 보는대로인 것이 중요하다. 뭔가를 전시하고 있고 분위기도 좋은데, 흡연 가능 카페이다. 이 점이 문제다. 리뷰를 보면 이외에도 다양한 음식을 먹고 차를 마신 경험을 사람들이 써놨는데, 음식과 차에 대한 불만은 없는 편이다. 다들 흡연에 대해 한 마디씩 하며 “분연해라” 라고 하는데, 갤러리를 포기하면 가능할 것도 같은데, 과연…. 흡연이 상관없는 분들은 가보는 것도 괜찮을 거 같다.

시아와세노 팬케이크 삿포로점(幸せのパンケーキ 札幌店)

구글 지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소위 말하는 수플레 팬케이크 가게이다. 처음엔 몰랐는데 나중에 보니 여기 저기 지점이 있더라. 본점은 아와지시마의 풍경 좋은 곳에 위치해있는 모양이다. 행복의 팬케이크 메뉴가 있었지만 오믈렛을 같이 주는 걸 골라봤다. 그것만 먹긴 심심할 거 같아 롤케이크도 시켰다. 롤케이크는 크림과 견과류의 조합이 그럴듯하다. 팬케이크는, 저 상태로는 좀 심심했다. 식사 용도니까 저렇게 셋팅한 거 같은데, 역시 아이스크림이나 시럽을 올리는 게 좋을 것 같았다. 오믈렛은 물론 괜찮았다. 손님의 대다수는 여성들로, 아저씨는 좀 부끄러웠다.

커리 키친 스파이스 팟(カリーキッチン スパイスポット!SPICE POT!)

구글 지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스프 카레라고 하면 여러 유명한 가게가 있지만, 도요히라강을 탐방하기로 하고 근처에 있기에 들렀다. 로스트치킨 카레가 대표 메뉴라고 해 그걸 시키려고 했는데, 마침 다 떨어졌다고 했다. 치즈 토마토 역시 떨어졌다고 하여, 삶은 닭다리가 들어간 카레를 주문했다. 맛은 흔히 생각하는 스프 카레의 바로 그 정통적인 맛. 무쇠 냄비에 나오는 게 특징인 거 같고, 맵기와 밥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가게에선 힙합 라디오라도 틀어 놓은 것인지 그런 노래가 계속 흘러 나온다. 홈페이지를 보니 삿포로 다른 지역에도 지점이 있는 거 같다. 본점인 이곳은 한적한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다. 도요히라강 옆을 걷는 재미와의 조합이 좋다.

아메와, 야사시쿠(雨は、やさしく)

구글 지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일본 인디 밴드일 것 같은 이름의 가게인데, 보시는대로 라멘집이다. 미소 라멘에 차슈를 추가했다. 닭의 간을 간 페이스트가 올라가 있다. 국물에 조금씩 개서어 먹으라는 취지다. 닭 내장의 맛이 난다. 보통 이런 맛은 걷어내려고 할텐데, 그걸로 정면대결을 하겠다는 게 특이하다. 카니미소 같은 시도라고 해야 할까? 조금씩 개어 먹으면 좀 하드한 국물이 된다. 생각해보면 원래 고깃국물에 그런 야생의 맛이 있는 것이다. 우엉과 번갈아서 먹다 보면 국물의 내장 맛은 점점 진해진다. 이게 의도한 바라면 나름대로 성공인 셈이다. 어레인지라는 점에 있어선 상당한 점수를 주고 싶었다. 젊은이들이 열심히 하고 있다. 사람은 도전을 해야 한다. 별점을 낮게 매긴 리뷰를 보면 ‘난 이건 라멘으로 인정 안 한다’는 식의 평이 많다. 면도 삿포로식이 아니다. 그러나 그래서 뭐? 그게 뭐 어떠냐? 먹어볼만한 맛이다.

6) 기타

오도리 공원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오도리 공원에 가면 이 녀석들이 음식 축제 같은 것을 벌이고 있는 일이 종종 있다. 이번에도 9월 내내 하려는 모양이다. 가리비 구이와 게 껍데기를 먹어봤다. 아주 맛이 있었다. 그냥 보시는대로다. 삿포로의 역사 덕분인지 상인 조직이 상당히 탄탄하다는 인상이다. 다들 공원에 나와서 자기 부스에서 음식을 팔고 있다. 아이스크림에서 햄버그까지, 거의 없는 게 없다. 술도 잔뜩 있다. 앉아서 먹을 자리도, 서서 먹을 자리도 있다. 즐겁다.

세이코마트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상한 모자의 사진 저장용 계정(@weird_hat_)님의 공유 게시물

어쩌구 저쩌구 썼지만 이번에 가장 많이 신세를 진 건 세이코마트였다. 홋카이도산 재료를 사용한 여러 PB상품을 판매한다. 우유를 먹는다면 세이코마트에서 사야 한다. 아이스크림? 세이코마트다. 종류에 따라 복불복이 있지만 빵도 상당하다. 소금빵을 사서 먹었는데, 굵은 소금 알갱이를 10개 정도만 올리면 당장 따로 팔아도 될 정도였다. 세이코마트 지점에는 ‘핫쉐프’라는 간판이 붙어있는 데가 있는데, 여기는 한 끼 식사를 때울만한 걸 따로 파는 데다. 오니기리는 물론 부타동, 카츠동에 스시가 있는 곳도 있다. 안쪽을 보면 직원이 열심히 도시락을 제조하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잔기(홋카이도식 가라아게) 도시락을 사먹었는데 매우 만족스러웠다. 카츠동은 놀라울 정도였다. 홋카이도는, 세이코마트가 없으면 안 된다. 뭔가 이러한 모델을 잘 살펴봐야 한다.

아래 기사에서 세이코마트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asahi.com/articles/ASRD15RD2RCKULFA00H.html

Posted in: 신변잡기, 잡감 Tagged: 라멘, 리조또, 삿포로, 슈마이, 스프카레, 아사히카와, 아이스크림, 오비히로, 조잔케이, 카레, 팬케이크, 홋카이도

세금폭탄

2024년 9월 6일 by 이상한 모자

세금 신고를 다시 해야 할 기간은 2023년이 아니라 2020년과 2021년이었다. 기타소득 사업소득…. 단순하게 구분하면 1회성 출연은 기타소득이다. 반복적으로 주기적으로 출연하면 사업소득이다. 그걸 구분해서 신고해야 하는데 다 기타소득으로 신고한 게 잘못됐다는 것이 요지다.

1차적으로 사업소득인지 기타소득인지 구분하는 것은 원천징수의무자가 한다. 3.3%를 떼냐, 8.8%를 떼냐 그 얘기. 세금 신고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원천징수의무자가 구분한대로 돈을 받고 그런가보다 하고 신고한다. 나의 경우는 방송국이다. 대개의 방송국은 그냥 기타소득으로 준다. 추측컨대 돈을 주는 부서에서 출연자가 1회성으로 나오는 건지 주기적으로 나오는 건지 구분하기 싫은 상황이 아니었을까 한다. 아무튼 방송국에서 이렇게 줬더라도 자기가 알아서 사업소득이 맞으면 사업소득으로 바꿔서 신고하라는 게 세법의 취지다. 하지만 대개는 이렇게 두들겨 맞기 전까진 방송국에서 처리해준대로 신고한다. 세무사한테 물어봐도 두들겨 맞기 전까진 일단 돼있는 대로 하라고 한다. 이번에 여기저기 알아보는 과정에 어떤 세무사는 “우리가 정의의 사도는 아니잖아요”라고 했다.

하여간 그래서 2020년과 2021년은 수입의 상당분이 기타소득으로 돼있다. 더군다나 이 해는 코로나의 해였다. 나는 거의 코로나 평론가였다. 남들이 힘들 때 돈을 좀 더 벌었다. 기타소득은 소득금액별로 필요경비 비율이 임의로 잡힌다. 그래서 과표가 상당히 줄어든다. 반면 사업소득은 필요경비를 자기가 쓴 돈에서 알아서 골라내 신고해야 한다. 필요경비를 많이 신고하지 않으면 과표가 줄지 않는다. 평소 경비를 지출하지 않는 사람, 그러니까 나처럼 돈을 크게 쓸 일이 없는 사람은 사업소득으로 받는 게 크게 불리하다. 즉, 기타소득을 사업소득으로 바꿔서 다시 신고하라는 거는 거의 무조건 세금을 더 내야 한다는 뜻이다.

그 다음에, 세금을 늦게 내면 가산세라는 게 붙는다. 가산세는 계산하는 공식이 있는데, 늦게 내는 만큼 커지게 돼있다. 2020년과 2021년은 꽤 오래 전이다.

세무대리인이 계산을 해보니 천문학적 액수의 산출세액이 나왔다. 내가 이건희야? 물론, 원래 냈어야 할 세금이라고 한다면 불평할 거리는 아니다. 그러나 그냥 방송국이 해주는대로 헬렐레 있다가 내지 않아도 됐을 가산세+장부 작성 비용(제 때 신고하는 경우 장부 작성까지는 맡기지 않기 때문에, 이번의 경우는 돈을 더 줘야 한다)을 짊어지게 된 거다. 구체적으로 숫자를 쓸 수는 없지만, 한 두푼이 아니다. 어지럽다. 세무사 측이 이런 저런 ‘절세’ 수단을 강구할 것을 권했으나 나로서는 아예 할 수 없거나, 차마 할 수 없거나 하는 일이었다. 그냥 어떻게든 내가 다 안고 가야지 별 수 없다.

오다가다 만나는 평론가라는 분들에게 하소연을 하니 다들 비슷한 경험이 있다. 언젠가는 한 번씩 다 겪은 일이라고 한다. 내가 액수를 얘기하자 어느 변호사는 “축하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몇 년 전에 자기도 똑같은 경험을 했다며 낸 세금 액수를 말해줬는데, 정확히 내가 내야 할 세액의 10배였다. 어떤 평론가님은 연달아 두 번 이런 일을 당해 가산세를 내려고 집을 담보로 잡히고 대출을 받았다고 한다. 이 평론가는 심지어 불안해서 국세청에 물어봤는데 “뭐 별일이야 있겠어요?”라고 했었는데 이렇게 되었다고 한다. 이 분들이 주변의 다른 평론가들 얘기도 했는데, 이번에 똑같은 일로 누구는 몇 천만원을 낸다고 하고 누구는 1억 얼마를 낸다고 한다. 어떤 분은 사업자등록을 하겠다고도 한다(근데 그럼 뭐 달라지나?)… 이 분들이 내게 된 돈에 비하면 내가 내야 할 돈은 푼돈에 불과해서 이상한 위안이 되었다.

아니 가만있어. 그럼 다들 도대체 얼마를 벌고 있는거야? 갑자기 왜 이렇게 아등바등 살고 있는가 회의가 느껴졌다. 어쨌든 내 경제 규모에서는 이건 핵폭탄급 재앙이기 때문에 앞으로 뭐라도 해서 좀 더 벌충해야 한다…. 지금보다 더 나쁜 최악의 인간이 되어야 하는 것인가…. 그래도 어떻게든 감당 할 수 있는 액수라는 게 어디냐… 다른 평론가만큼 나왔으면 그냥 저승으로 갔어야 했을 것이다.

오늘의 교훈: 1) 방송국을 믿지 말자, 2) 세금은 내야 할 때 많이 내자.

Posted in: 신변잡기, 잡감 Tagged: 기타소득, 사업소득, 세금, 평론가

인텔은 어디로…

2024년 9월 2일 by 이상한 모자

우리 좌파는 주식 같은 거 하지 않는다. 그래서 엔비디아? 관심없다. 사실 관심이 있지. 지대한 관심이…. 하지만 가격이 오르고 내리고가 관심이 아니라는 거다. 그래픽카드의 성능이라든지 이런 게 관심이지. 블랙웰이 뭐 어쨌다 이런 거는, 살다 보면 그런 일도 있는 거예요 정도로 생각하면 그만이다.

근데 인텔 얘기는 다르다. 여기까지 왔으면 이거는 더 이상 주식 얘기가 아니다. 이거는 컴퓨터 얘기다. 컴퓨터 얘기라면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어디로 가는가 인텔….

인텔이 여기까지 커온 건 CPU를 자기들이 설계하고 찍는데, 전세계 PC가 다 인텔 CPU를 쓰던 시절이 있었기 때문이다. 근데 모바일에서 ARM에 밀린 걸 시작으로 PC에서도 AMD에 최근 맥의 실리콘까지, 절대 강자가 아니게 되었다. 그래서 서버 제품을 주력으로 해서 어떻게 반격을 해볼까 이러던 시국에 구조조정이나 하고 그래서 혁신이 잘 안 됐다. 그게 야금야금 밀려 여기까지 왔다. AI는 이미 뭐 전망이 없고…. 엔비디아….

CPU를 잘 만들려면 반도체 제조 공정을 고도화 시켜야 하는데, 10나노니 7나노니 하는 게 그 얘기다. 근데 이건 순전히 칩을 대량으로 많이 찍을 수 있어야 한다. 연구개발과 설비에 들어간 비용을 회수해야 되고, 제조효율성을 높여서 수율을 높여야 하고, 비용을 절감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고 등등…. 그런데 앞서의 사정 때문에 인텔은 TSMC 등에 밀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그래서 지난 번에 하기로 한 게, 우리 CPU도 남더러 생산하라고 하고, 우리도 남의 CPU 위탁 생산(파운드리 재진출) 하는 걸로 하겠슴다! 이런 거고, 반도체로 재역전을 노리는 미국 정부가 그래 우리 인텔 어디 한 번 잘해봐 이래서 보조금을 주기로 하고 대충 그렇게 된 거였다.

근데 무슨 일이 있었냐? 그간 인텔이 맨든 CPU가 갑자기 고장이 나는 거였다. 이게, 무슨 소프트웨어적 문제(그러니까 마이크로코드)에 그치는 거면 그나마 그랬구나 하는데, 제조 공정의 문제 아니냐 하는 의심이 있다. 그게 사실이면 10나노 공정이 제대로 안 되는 상태인 거다. 10나노를 제대로 못하는데 뭔 파운드리 사업으로 TSMC와 어깨를 나란히 하냐.

이러한 생각을 하는 가운데 지난 주부터 슬슬 파운드리를 분사를 하네 매각을 하네 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면 인텔은 앞으로 어떡함? 설계만 해? 네가 퀄컴이야 뭐야? 물론 부자는 망해도 3대는 가는데다가 미국 정부가 받쳐주는 게 있으니 골골대면서 계속 붙들고 가기야 하겠지만….

그래서, 하여간 컴퓨터 얘기니까 컴퓨터로 끝내야지. 늘 좀 무리여도 인텔 외길로 달려왔는데…. 업그레이드를 한다면 AMD로 가야 하는가?

Posted in: 신변잡기, 잡감 Tagged: AMD, 인텔
« 이전 1 … 25 26 27 … 100 다음 »

최근 글

  • 하이퍼 능력주의와 공정 담론
  • 민주당에 화가 나면 뭐든지 해도 되나
  • 영포티 생일 대모험
  • 생일
  • 영포티다운 자유 연상

분류

누적 카운터

  • 1,510,337 hits

블로그 구독

Flickr 사진

추가 사진

____________

  • 로그인
  • 입력 내용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Copyright © 2025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Omega WordPress Theme by Them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