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정기용(건축가)] 노무현 전 대통령을 보내며
2009.05.26 12:05
내가 설계한 사저가 아방궁이라니… | |
노무현 전 대통령을 보내며 정기용/건축가 “기자회견 하겠다” 간청하자 “참아라” 지붕 낮은 집을 원한 대통령 | |
![]() |
|
마지막 가시는 길을 위해 나는 두 가지를 밝힌다. 한가지는 세상 사람들이 텔레비전 카메라를 통해서 바라보는 봉하마을 사저에 관한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대통령이라기보다는 귀향한 한 농촌인으로서 ‘농부 노무현’이 꿈꾸던 소박한 세계를 알리는 것이다. 오늘의 이 비통함과 가슴 저리는 심경 속에서 우리가 갖춰야 되는 최소한의 예의는 고인에게 끈질기게 따라다녔던 왜곡된 사실들을 바로잡아 주는 것이다. 봉하마을의 사저는 내가 설계했기 때문에 내가 제일 잘 안다. 노 전 대통령의 자택은 흙과 나무로 만든 집이다. 그런데 항간에서는 ‘봉하아방궁’이라는 말로 날조해서 사저를 비하했다. 도저히 참을 수 없는 나는 대통령에게 내가 나서서 기자회견을 해야겠다고 간청했다. 그러나 대통령은 그래봐야 아무소용이 없으니 참으라고 하셨다. 노 전 대통령을 처음 만났을 때, 그는 귀향 이유로 “아름다운 자연으로 귀의하는 것이 아니라 농촌에서 농사도 짓고 마을에 자원봉사도 하고, 자연도 돌보는 일을 하고 싶다”고 하셨다. 그래서 나는 옛날 우리 조상들이 안채와 사랑채를 나누어 살았듯이, 한 방에서 다른 방으로 이동할 때는 신을 신고 밖으로 나와서 이동하는 방식을 권유했다. 대통령은 흔쾌히 동의하셨다. 그렇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 나라에서 권위주의를 물리치고 민주주의를 확장한 분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세상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있는 것은 사람들에 대한 배려이다. 건축가는 안다. 건축주가 누구이며 집을 통해 무엇을 실현하려는지. 노무현 대통령은 결국 “지붕 낮은 집”을 베이스캠프로 삼아 봉하마을 주민들의 농촌소득 증대사업을 유기농법으로 전환시키고, 봉화산과 화포천 일대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치유하며, 궁극적으로는 청소년을 위한 생태교육의 장을 만들고자 하셨다. 재임 시절 풀지 못한 숙제 중 하나인 농촌 문제를 스스로 몸을 던져 부닥치려는 대통령의 의지는 퇴임 뒤 일년 내내 쉴 새 없이 지속되었다. 마을 뒷산 기슭에 ‘장군차’도 심을 예정이었고, 마을 마당 앞뜰에는 특산물매장도 꾸리고 ‘노무현표’ 쌀도 팔 계획이었다. 특히 마을장터 지하 쪽에 작은 기념도서관 건립도 꿈꾸고 계셨다. 민주화운동 시절 당신이 가까이했던 민주주의에 관한 책들, 당시 젊은이들의 양식이었던 모든 책들을 모아 작지만 전문적인 ‘민주주의 전문도서관’을 구상하고 계셨다. 농사도 짓고, 자연과 생태를 살리고, 나아가서는 봉화산자락 부엉이바위 밑에 작은 동물농장을 만들어 청소년들과 함께 하려는 생각들이 바로 인간 노무현 대통령이 꿈꾸던 소박한 꿈들이었다. 그리고 틈틈이 폭넓은 독서에 빠져 통치시절을 정리하며 집필 작업에 임하셨다. 독서와 토론은 노무현 대통령이 봉하마을에서 즐기던 값진 삶의 한 부분이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뒤로하고 대통령은 결국 우리 곁을 떠나셨다. 그것은 내 탓이다. ‘산은 멀리 바라보고 가까운 산은 등져야한다’는 조상들의 말을 거역하고 집을 앉힌 내 탓이다. 봉화산 사자바위와 대통령이 그토록 사랑하던 부엉이바위 가까이에 지붕 낮은 집을 설계한 내 탓이다.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해보자. 그가 목숨을 던져 우리들에게 남긴 질문들을. 한국 현대사 속에 심연처럼 가로놓인 질곡, 멍에, 허위의식, 인간의 탈을 쓴 야수성들. 이 모든 것을 안고 간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나는 순교라고 밖에 달리 부를 말이 없다. 나는 부엉이바위 밑에 만들 동물농장 그림을 보여주기로 한 약속을 못 지킨 채, 지금 봉하마을로 내려간다. 대통령은 지금도 바로 거기에 계시므로. |
댓글 4
-
이상한 모자
2009.05.26 12:06
-
지나다
2009.05.26 23:03
집 짓는 데 자체만으로는 생각만큼 돈이 많이 들지는 않습니다. 더구나 시골집이라면...설계와 땅값이 제일 비중이 높고, 공사기간을 단축한다면 인건비도 별로 안 들죠. 건축자재도 그렇게 비싼 게 아니랍니다. -
이상한 모자
2009.05.27 04:53
지나다 /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루카
2009.05.31 00:22
설계비라는 게... 사실 금액을 떼어놓고 보면 건축비의 몇 퍼센트 하니까 큰 금액으로 보여서, 건축 설계비가 '많다'라고 느끼는 게 일반(건축을 잘 모르시는) 적인 견해들이신 거 같은데 그 금액 중에 구조팀에 나가고 전기설비팀에 나가고 설계인건비 나가면 뭐... 그렇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292 |
심상정 플랜
[1] ![]() | 코펜하겐 | 2011.07.08 | 5063 |
1291 | 2번 창구가 어디예요? | 이상한 모자 | 2011.07.07 | 4673 |
1290 |
왜 니들이 지랄이세요..
[6] ![]() | 이상한 모자 | 2011.07.07 | 5506 |
1289 | [펌/foog] 미국의 부동산 시장과 fed의 망가진 재무제표의 상관관계 | 이상한 모자 | 2011.07.06 | 5029 |
1288 | 계파 해체 선언한 홍준표, 그가 할 선택은? | 이상한 모자 | 2011.07.06 | 5450 |
1287 | 한 두마디면 될 글을 | 이상한 모자 | 2011.07.05 | 4237 |
1286 | 임기 한 달 남기고 김준규 검찰총장이 '전격' 사퇴한 까닭은? | 이상한 모자 | 2011.07.05 | 4092 |
1285 | 산수를 해봅시다! [4] | 이상한 모자 | 2011.07.04 | 4539 |
1284 | 나의 승리다 [4] | 이상한 모자 | 2011.07.04 | 4513 |
1283 | 간손미 간손미 신나는 노래 [5] | 이상한 모자 | 2011.07.04 | 5387 |
1282 | [펌/foog] 그리스 의회의 긴축재정안 통과의 의미와 그 앞날에 대한 단상 | 이상한 모자 | 2011.07.04 | 4275 |
1281 |
내 말을 들어라 내 말을..
[7] ![]() | 이상한 모자 | 2011.07.03 | 4493 |
1280 |
나경원 망했네...
[5] ![]() | 이상한 모자 | 2011.07.02 | 4427 |
1279 | Devotion | 이상한 모자 | 2011.07.01 | 3837 |
1278 |
서울서 살려면 답이 안 나와..
[5] ![]() | 이상한 모자 | 2011.07.01 | 4156 |
1277 | 램값이 똥값이다. | 이상한 모자 | 2011.06.30 | 4027 |
1276 | 멋진 아이템이다! | 이상한 모자 | 2011.06.30 | 3903 |
1275 | 피 튀기는 논쟁 예고하는 '나는 진보정당이다' | 이상한 모자 | 2011.06.30 | 4510 |
1274 | 내가 많은걸 바라는게 아냐.. [10] | 이상한 모자 | 2011.06.29 | 4438 |
1273 |
6.26 당대회 재밌는 사진
[8] ![]() | 이상한 모자 | 2011.06.29 | 4266 |
농촌문제 뿐만이 아니라 노무현 정권은 많은 것들을 제대로 해내지 못했다. 그것의 원인이 무엇이었든, 정권의 정책이 어떠했든, 최소한 자연인 노무현은 그런 점에 있어서는 일말의 책임을 느꼈던 것 같기는 하다.
집은.. 어쨌든 공사비는 많이 들었던거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