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외국의 맥락과 작가의 창작

조회 수 886 추천 수 0 2008.01.19 12:06:00
얼마전 술자리에서 노정태와 잠깐 얘기하던 것인데, 그때 모종의 사정으로 논의를 충분히 하지 못했기 때문에 생각을 정리할겸 하나의 글을 쓴다. 우리는 아마도 장르소설 창작에 대해 얘기하면서 (어쩌면 영화 시나리오였는지도 모르겠고, 기타 다른 종류의 것이었더라도 큰 상관은 없었으리라.) 발달된 외국의 맥락을 모두 소화한 다음에 창작에 임해야 할 것이라는 노정태의 주장에 대해 검토하고 있었다. 나는 일단 그런 방법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긍정을 했으나, 가령 "그것이 한국에서 창작을 하는 길이다."라는 식의 단언이 이루어질 경우 어떤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입증하려고 애를 썼다.


일단 실천적으로 볼 때, 특정한 종류의 무지가 오히려 창작에 도움이 되는 경우는 많다. 비평하는 이들이 아무리 아 이러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신 거로군요, 라고 말해봤자 "예? 그냥 썼는데요."라는 대답이 나오는 경우가 흔하다. (그렇다고 비평적 접근이 무용하다는 얘기는 아니다. 내 입장이 그런 시각과 반대된다는 것은 이 블로그에 종종 들르는 이들이라면 충분히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맥락을 소화한 후 창작에 임해야 한다는 당위는 일단 그냥 쓰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씨알도 안 먹힐 소리다.


"그래서 그들은 잘못하고 있는 거야."라고 말한다면 거기에 대해서도 의문이 있다. 특정해서 SF라고 생각해 보자. SF라는 장르의 맥락을 충실히 탐구하고 해외의 SF 잡지에 실릴 정도의 중단편소설을 써낼 수 있다면 당연히 그 작업은 찬사받아야 한다. 하지만 그렇게까지 탐구하지 못했거나, 혹은 탐구할 의사 자체가 없었고, 그래서 그냥 자신이 할 수 있는 방식대로 창작하여 그 소설이 설령 1950년대에 나온 어느 미국 SF와 비슷한 꼴이 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그릇된(?) 일은 아니다. 그 작품은 그 작품 나름대로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를테면 그런 창작에 대한 욕망은 한국 사회의 문화사적 맥락에 기반하고 있는 것이므로, 그 발달양식이 50년전의 미국 SF와 비슷하다면, 물론 쪽팔려 할 수도 있겠지만, 양 시대의 유사성에 대해 고찰해 볼 수도 있다. 그건 그 자체로 받아들여야 할 리얼리티이지 마치 선진공업국의 기술을 따라잡는다는 식으로 극복되어야 할 오점은 아니다. 게다가 비슷한 양식의 소설도 언제나 다른 시공간에서 조금씩 다른 맥락으로 계속 생산되어야 한다. <오만과 편견> 이후에도 연애소설은 계속 나오듯이. 이 이야기는 노정태 역시 언젠가 다른 포스트에서 했던 말인 것 같다.


따라서 저 규정은 아무래도 보편적인 창작자들에게 적용하기에는 실천적인 규제력도 없고 의의도 없는 것이 될 터인데, 그러므로 나에게만 적용하겠다고 선언하는 삶의 태도가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지점도 검토해야겠다. 단적으로 말하면 나는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창작에 유능한 사람일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본다. 맥락을 파악한다는 것은 창작자에겐 지적인 탐구가 아니라 자신의 로망을 찾아가는 작업이라야 한다. 전작들에 자신의 로망을 투영하다가, 그것에 완전히 만족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창작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욕망이 펼쳐지는 과정이지 '한국에서 할 수 있는 올바른 창작'에 대한 당위적 인식이 규제할 수 있는 어떤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이 그런 당위적 인식을 피력하고 있다면, 그것은 자신이 아직까지 창작을 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알리바이일 가능성이 높다. "넌 왜 소설을 쓰지 않는데?"라는 질문에 "아직 맥락을 다 파악하지 못해서."라는 답변을 준비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걸작을 쓰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사실은 어떤 특정한 조건들이 아니라, 일단은 작품을 쓰는 것이다.


Jocelyn

2008.01.19 13:10:30
*.75.190.153

저로서는 뭘 쓴다는 것 자체가 자위적인 것에 가까워서.. 긁적긁적..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너무 안 가진다는 생각도 들곤 한답니다.

노정태

2008.01.19 14:38:14
*.52.184.216

네가 말한 나의 글은 "고전 문학의 현재성" http://basil83.blogspot.com/2007/04/blog-post_08.html 이겠구나.

반박할 내용이 많지만 지금은 이런저런 약속이 있으니, 오늘 밤 정도에 글을 써서 리플로 수동 트랙백을 걸겠음.

ssy

2008.01.20 04:10:28
*.109.160.224

써. 그러면 될 듯. (너의 경우엔 더욱더. ^,^;)

"그 날", "전반전"에도 말했던 것처럼, 지금 구라로 풀 수 있는 그 무엇을, 편지쓰듯 편하게 담아내면 그걸로 되는 거야...
-제길, 정말 전반전만 기억이 나는군하-

"발달된 외국의 맥락의 소화"는 당연한거지.
"그 날", "전반전"에 했던 얘기가 그걸 너무 소홀하게 생각하는 이들에 대한 얘기였던 거 같구.


아.. 버로우 中이었다.

hyun

2008.01.20 05:55:28
*.99.81.195

다소 거칠게 표현한 듯한 느낌이지만, 뭔 말인지 알겠고 당근 맞습니다.
허나, 그런 속성 때문에 딜레당트들이 many many many......

노정태님의 '발달된 외국의 맥락의 소화...' 운운은 한국 사회의 분야마다에서 주인 행세하는 그 많은 '동네 작가'들을 보고 관찰자로서 접근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노정태

2008.01.23 17:13:14
*.162.212.206

수동 트랙백입니다.

http://basil83.blogspot.com/2008/01/blog-post_23.html

드디어 올라왔다능...

하뉴녕

2008.01.23 18:21:27
*.180.10.143

술자리 토론이 종종 그렇듯이 논점이 정확히 잡혀 있지 않았던 것 같고 이대로라면 정도의 문제로 넘어가면 일일 것 같아. 그리고 나는 한국 문단에 별 관심이 없어서-. (이 이야기는 ssy와의 대화 도중에도 나왔지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1 [펌] 딴지일보 주대환 인터뷰 [2] 하뉴녕 2008-01-19 1106
» 외국의 맥락과 작가의 창작 [6] 하뉴녕 2008-01-19 886
559 [씨네21/유토디토] 벗어던져야 할 ‘개혁 로망스’ [3] 하뉴녕 2008-01-18 1049
558 지역주의 뒤집어보기 하뉴녕 2008-01-17 2551
557 시간을 달리고 싶은 소년 [3] 하뉴녕 2008-01-16 851
556 경제학자 이준구의 대운하 비판과 논쟁의 향방 [16] [2] 하뉴녕 2008-01-16 890
555 컴퓨터가 깔끔하다-. [6] 하뉴녕 2008-01-16 788
554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 로망이 아닌, 어떤 몸부림 file [1] 하뉴녕 2008-01-14 765
553 고민 [32] 하뉴녕 2008-01-12 939
552 정신줄을 놓고 있다-. [2] 하뉴녕 2008-01-12 784
551 오랜만의 영화 관람, 그리고 특이한 키워드 [12] 하뉴녕 2008-01-10 835
550 [펌] 정치적 소수자의 탄생, 노정태 2003/12/30 [2] [1] 하뉴녕 2008-01-10 889
549 5만원 어치 책을 어떤 것으로 사야 할까? [4] 하뉴녕 2008-01-09 872
548 손석춘의 NL 운동권에 대한 감상적 시선에 대하여 [9] 하뉴녕 2008-01-07 981
547 이번주 씨네21에... [13] [1] 하뉴녕 2008-01-07 858
546 [펌] 김택용의 대 저그전 수비력 / FELIX 하뉴녕 2008-01-06 1249
545 이윤열 vs마재윤 : 듀얼토너먼트 E조 승자전 08.01.04 [8] 하뉴녕 2008-01-05 934
544 보급병의 추억 [20] 하뉴녕 2008-01-05 2684
543 정치적 잡담 [7] 하뉴녕 2008-01-04 898
542 미유키 : 아다치 미츠루식 소년 만화의 출발점 file [10] 하뉴녕 2008-01-04 3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