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어제 2010/04/01 - [문화/생활] - ‘나는 다르다’고 믿는 자의식에 대해 라는 글을 올렸고, 이에 대해 여러 독자들의 반응이 있었다. 자의식에 관한 논의라는 게, 사실 논리적으로 엄밀하기는 힘들고, (글에 대해 변명하려고 하는 말은 아니다.) 비슷한 종류의 체험에 접속하지 않은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할 글이 되기가 쉽다. 특히 예전에 쓴 2010/01/04 - [문화/생활] - [아주문화] 우리 시대에도 ‘교양’은 가능할까 라는 글과 논지가 다르지 않느냐는 지적이 가능할 법도 한데, (나는 그렇게 생각하진 않지만) 그 점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않은 것 같기도 하여 (사실 한 편의 글에서 모든 것을 설명할 수는 없다.) 나중에 보강하는 글을 한 편 더 올려볼까 하는 생각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그 문제와는 별개로, 어제 달린 한 분의 '악플'은 좀 짱이었다능. (굵은 글씨는 내가 강조한 부분)


한윤형 비판  수정/삭제  댓글쓰기


사실 한윤형의 '자의식 과잉'에 대한 비판은 결국 자기 자신에게로 회귀하는 비판이다.
한윤형은 자신의 소박한 경험으로부터 글을 시작하고 있다.
자기는 뭐 자신의 한계를 깨달았다네?
자기가 다른 사람보다 '조금 더' 안다고 잘난 체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것 까지는 칭찬해줄만 하다.
여기에서 글을 끝맺었다면 이 글은 훌륭한 글이었을 것이다.
훌륭한 반성문으로써.

그러나 문제는 자신의 병적인 문제를 타인에게 투영시켜, 타인을 중 2병 환자로 몰아가는 데 있다. 자신의 병을 타인에게 전가시키고자 하는 오류. 그리고 상대방이 왜 '쓸모 없는 공부'를 하느냐고 비방하기도 한다. 쓸모가 있는 지 없는 지는 궁극적으로는 저자와 그 글을 읽는 독자 사이에 결정 될 문제이지, 한윤형이 결정할 문제는 아니다.

이 글에서 한윤형은 환자이자 의사이며, 무의미와 의미를 결정하는 절대적 주권자이고,
자신이 잘 났다고 생각하지 않는 척하면서, 타인과 그 사람을 제외한 세계의 동일성을 보증하는 하나의 신이다.
'자의식 과잉'이나 '유아론'이나 '독아론'은 한윤형 자신에게 돌아가야 할 말인 것이다.




그리고 논리적 모순이 있음  수정/삭제  댓글쓰기

그리고 한윤형은 궁극적으로, 큰 오류를 범하고 있는 데, 한윤형 자신이 비판하는 대상과 다르고, 비판하는 대상과 세계가 동일성을 가지고 있다면, 한윤형 자신이 이 세상 전체와 다르게 된다. 이렇게 되서 '자의식 과잉'은 꼬리를 물고 자신에게 돌아온다.




웃기시네  수정/삭제  댓글쓰기

여기서도 모순이 있는 데 만약 한윤형과 비판대상이 동일하다면 이 글은 무의미해 질 것이다.
한윤형이 비판대상을 비판하기 위해서는 비판대상과의 '완전 다름'을 강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내 반응은 해당 포스트의 덧글을 확인하면 볼 수 있으니 생략하고, 왠지 무언가 찔리는 듯한 이분의 말씀으로 어떤 글이 쓸모가 있는 지 없는 지는 궁극적으로는 저자와 그 글을 읽는 독자 사이에 결정 될 문제라니까 그의 글이 좀 더 많은 독자들에게서 평가받도록 하는 것은 내가 그에게 베풀 수 있는 하나의 은총(!)이 될 것 같다.

(그리고 노파심에서 한마디 하는데, 내 글 읽어보신 분은 알겠지만, 나는 '쓸모가 없는' 이란 말로 누군가를 비방하고 있지 않다. 그  평가는 사회의 시선을 말하는 것이며, 그 평가대상에는 나 자신이 포함된다. 나는 본문에 이 점이 명쾌하게 드러나 있다고 생각했는데...아닌가? ;; 중심적인 논점을 말하자면, 물론 나는 사회적 시선에 대항해서 손쉽게 '나는 다르다'는 자의식을 가지는 것이 좋지 않은 일이라고는 말하고 있다. '교양'에 대한 이전의 논의와 연결지어 말하자면, 나는 우리가 하는 일이 어째서 쓸모가 있는지를 - 자의식의 문제와는 상관없이- 계속 고민해 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하고 있는 거다. '교양'에 관한 글에서 나는 '솔직히 쓸모가 어딨어? 그냥 공부하는 거지.'라고 일갈하는 조류도 비판하는데, 그 이유는 그런 관점이 성찰을 포기하고 '나'를 뭔가 다른 짓을 하는 존재로 포장하여 방구석에 틀어박히는 데에나 '쓸모'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당연히 쓸모가 있다고 말하는 태도나, 당연히 쓸모가 없다고 말하는 태도나, 불성실하기는 마찬가지다. 그런 불성실을 채우는 것이 바로 '나는 다르다'는 자의식이라고 볼 수 있다. 내가 그 자의식에 대해 비판하는 건 그래서이기도 하다.)


일단 어렵지 않게 찾아낸 이 분의 보금자리 주소는
http://blog.hani.co.kr/differ1a1nce/ 이다. 글 제목과 내용이 워낙에 주옥 같아서 뭘 퍼와야 하는지는 감이 안 잡히지만, 본인이 자랑스러워 하는 것 같은 글 중에서 몇개를 추려 보자. 나는 이 글들에 대해서 뭐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겠다. 그리고 설명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보여주는 것밖에 방법이 없다. 그러니 직접 보고 판단들을 하시길.



<요새젊은 것들>과 거대서사의 종언
낙서장 2010/02/19 17:46   http://blog.hani.co.kr/differ1a1nce/29002
<요새젊은것들>은  '어른들'의 말에 무의식적으로 고분고분 따르면서, 거대서사의 종언이라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기만에 놀아나고 있다.


이번 사태를 종결지으며-미시 권력과 혐오의 문제
낙서장 2010/01/04 01:08   http://blog.hani.co.kr/differ1a1nce/28024
이번 사태는 기본적으로 혐오스러움을 규정하는 미시-권력의 문제이다.
그들은 거대-권력이 시키지도 않았는 데 미시-권력의 역할을 한다.
그들은 동성애를 자발적으로 혐오한다.
사실 이성애자라고 해서 동성애자를 필연적으로 혐오해야 할 '자연적 본성' 따위는 없다.
다만 동성애자를 한 사회가 taboo로 여겼기 때문에 그들을 혐오하도록 만든 것이다.
 
그들은 이런 생체권력이 작동시키는 미시-파시즘을 너무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나머지, 그것을 문제 삼는 사람(=노정태)을 공격한다.
이게 진짜 무서운 거다.
 

초월성에 반대하며
낙서장 2009/12/31 11:39   http://blog.hani.co.kr/differ1a1nce/27955
사실 '해체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무의식의 존재는 '초월적 기의'의 존재와 같다.
나는 이러한 초월성에 반대한다.



내가 정신분석학에 대해서 한 일
낙서장 2009/12/31 01:46   http://blog.hani.co.kr/differ1a1nce/27949
내가 정신분석학에 한 일은 말하자면 정신분석에 대한 해체, 혹은 탈구축이다.


보드리야르를 엄밀하게 반박하며(다시 수정함)
낙서장 2010/03/27 23:58   http://blog.hani.co.kr/differ1a1nce/29813

1.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이론은 사실은 구조주의 자체의 필연적 결과인데,  구조주의에 의하면 언어는 기호와 지시대상의 '자의성'에 기반을 둔 체계로서,

기호는 지시대상의 그림자가 아니고, 기호는 지시대상을 재현하거나 복제해야 할 의무로부터 벗어나 스스로 자의적인 규약에 의해 뛰어노는 하나의 '시뮬라크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이론은 들뢰즈와는 달리 '기호'가 중요하게 된다.


2.그러나  현실이 어떤 모델에 의해 재현한다면? 그렇게 되면 그 사회는 하나의 '이데아'의 사회일 것이다.  현대 사회는 이미지가 현실을 닮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모델에 따라 현실이 복제되는 '이데아'의 사회이다.
 '부유함', '섹시함','아름다움','세련됨'은 사람들에게 있어 하나의 욕망의 대상이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재현하고, 닮고자 열망하는 '이데아'(이상적인 모델)가 된다. 이런 측면에서 현대사회는 '이데아'의 사회이다.

 



그러니까 인문학을 비판하는 공대생의 시선으로는 ('인문학 비판'이 언제나 그릇되었다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런 친구의 잠언(?)이 포스트모던 철학자들의 텍스트나 비슷한 진리치를 가진다고 보는 것일 게다. 좀 끔찍하다. 컴퓨터 프로그램과 동문서답을 하면서도 자신이 인간과 얘기를 나누었다고 믿는 수준의 '완전체'가 되어 버리면 뭐라고 말을 할 수가 없지 않겠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361 본격 은영전 비평 : 양 웬리와 탈정치성 [22] [1] 하뉴녕 2010-07-29 384884
1360 드라마 사조영웅전, 황용의 계보 file [2] 하뉴녕 2007-07-09 46752
1359 이거시 황장군 님의 위력이죠!!!!!!! [6] 하뉴녕 2009-06-23 42892
1358 [딴지일보] 스타리그의 진정한 본좌는 누구인가? (4) - 잊지 마라, 0대 본좌 기욤 패트리를! [8] 하뉴녕 2009-07-13 42492
1357 한화의 가르시아 헌정 짤방 file [5] 하뉴녕 2011-06-30 38323
1356 [기획회의]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기를 - 키워드로 살펴보는 저자 "20대 멘토" 편 [126] [1] 하뉴녕 2011-08-19 30860
1355 현실론과 정치공학 -Sophist와 RVD에 대한 반론 포함 하뉴녕 2004-06-30 28986
1354 어떤 민주당 지지자들에게 : 윤리적 판단을 위한 역지사지 [118] 하뉴녕 2011-08-03 27444
1353 [작가세계] 이건희는 생각하지마. [5] 하뉴녕 2011-07-13 26817
1352 우리편 전문가, 비평의 방법론, 그리고 현실의 재구성 [13] 하뉴녕 2011-09-13 26529
1351 [작가세계] 장하준의 ‘더 나은 자본주의’, 그리고 한국 사회 [14] 하뉴녕 2011-07-23 25966
1350 어떤 민주당 지지자들 [85] 하뉴녕 2011-07-28 25244
1349 [고황] 야권연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24] 하뉴녕 2011-06-21 25003
1348 피해자중심주의와 냉소주의 [7] 하뉴녕 2011-08-18 24498
1347 죄책감의 정치의 두 부류, 그리고 도덕성의 강박 [9] 하뉴녕 2011-09-15 24310
1346 [황해문화] 루저는 ‘세상 속의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22] 하뉴녕 2011-07-15 23979
1345 SNS의 진보성? [14] 하뉴녕 2011-07-10 23764
1344 안운사 해설강의 2,3강 업로드 [2] 하뉴녕 2011-04-04 23548
1343 왜 좌익은 희망버스를 곤혹스러워 하지 않는가? [21] [1] 하뉴녕 2011-07-14 23523
1342 슬럿워크와 잠재적 성범죄자의 문제 [10] [1] 하뉴녕 2011-07-26 23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