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예전에 작업했던 원고 중의 일부분인데, 작업 자체가 나가리가 나서 쓸 곳이 없는 글입니다. 최근 세대론에 관한 논쟁을 하면서 '20대 비례대표'론에 대해 비판적인 언급을 했으니 이 부분을 풀어놓아도 될 것 같습니다. 관심있는 분들만 보세요. ㅎㅎ 

-----------------------------------------------------------------

(...)‘정치인’에 대해서도 캐릭터에 대한 관심 이외의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이를테면 “어떤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정치인’이란 직업을 가지게 되는가?”라는 접근이 있을 수 있겠다. 미국의 경우엔 케네디 가문 부시 가문 등 ‘정치’의 업보를 대를 이어 세습하는 엘리트주의의 전통을 지니고 있고, 유럽의 경우 당원 중심의 기반이 탄탄한 정당에서 활동가들이 자연스럽게 정치인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무래도 ‘매개’의 관점에서 탁월한 것은 후자 쪽이다. 한국의 경우는 군부독재 시절 정부의 담당자들, 그 이후 시절의 공무원들, 변호사 등 전문직 종사자들, 그리고 운동권 출신이나 시민사회단체 간부 출신들이 정치인이 되고 있다. 이중에서 그나마 ‘매개’에 가까운 것은 후자의 사례인데, 386세대 운동권들과 그 직후세대 운동가들이 대거 정치인이 된 이후 그 매개의 문이 닫혀 버렸다는 것이 이 부분에서 큰 문제다. 다시 세대론으로 돌아와서 생각해 본다면, “지금의 20대들 중 어떤 이들이 정치인이 될 것인가?”라고 질문해 봤을 때, 보수 진영은 고위 공무원이나 기업가들, 진보진영은 진보적 생각을 지닌 변호사 등의 전문직들이 정치인을 구성할 것이라고 답변할 수 있고, 게다가 그 ‘데뷔’의 시기는 적어도 40대 이후, 그러니까 20년 후의 일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매개의 고리가 전혀 없는데다가 데뷔시기가 너무 늦는 것이다. 
 

우석훈 박사가 주창하고 일군의 20대들이 운동을 벌였던 “20대 국회의원”론은 바로 이 문제를 직시했다는 점에서 크나큰 의의가 있다. 하지만 문제를 풀어나가는 방식에서는 다소 정교하지 못했던 것 같다. 문제는 당장 ‘20대 국회의원’이 필요하다는 당위가 아니라, (그런 당위가 어떤 근거를 통해 지지받을 수 있을까?) 정치적 관심을 지닌 젊은이가 그 관심을 유지하고 적절한 경력을 쌓아나가면서 정치인이 될 방도가 있느냐는 문제다. 각 정당의 활동가로 시작한 젊은이들이 국회의원이 되기까지 20년이 걸리더라도 괜찮다. 문제는 그동안 그들이 정치를 충분히 생계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직업으로 삼을 수 있느냐는 것이다. 나는 만일 정치를 직업으로 삼는 그들이 훗날 국회의원이 되는데 성공할 경우, 그때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전문직으로서의 ‘자수성가’ 이후 느닷없이 정치권으로 합류하는 이들이 할 수 있는 일과는 뭔가 다르리라고 느낀다. 왜냐하면 그들은 정치 영역의 본질인 ‘매개’를 전문직 종사자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체험한 이들이기 때문이다.  
 

20대가 직업정치인을 꿈꿀 수 있어야 한다, 는 것이 나의 주장이라면, 각각의 정당에 요구할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금보다 훨씬 대규모의 대학생/청년 대상 정치캠프 프로그램이 시행되어야 한다. 이는 정당에게는 홍보의 수단이 될 수 있고, 젊은이들에겐 이력서에 한줄 더 써넣을 수 있는 경력이 될 수도 있으니 문제의식을 가지고 조금만 압박하면 충분히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당원 중심의 정당조직을 가지지 못한 보수정당에서는 ‘직업 정치인’ 육성 프로그램을 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각 정당의 이념에 합치하고 정치적으로 재능이 있는 젊은이들을 선발하여 그들을 각 당에서 적절한 일자리를 줘서 교육시키고, 그후 그들을 구의원, 그리고 시의원에 공천하고, 거기에서 경력을 쌓은 이들이 자연스럽게 좀더 상급단체의 정치인을 욕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낼 수 있다면 그것은 시행가능성도 거의 없는 “20대 비례대표”론보다 더욱 혁신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것이다. 당원 중심의 정당조직을 지니고 있는 진보정당의 경우라도 비슷한 종류의 프로그램은 요구된다. 386세대와 90년대 초반 학번 운동가들 중심의 좌파정당에서 지금의 20대가 스스로의 힘으로 기를 펴기는 어렵다. 의원 보좌관이나 당직자에 이후 세대 젊은이들을 배려하는 쿼터제를 실시하고 이들이 자연스럽게 당에서 책임있는 위치에 오르도록 할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 이런 지원책 속에서야 우리는 ‘정치인’을 정치적 매개의 변수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 [기획회의]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기를 - 키워드로 살펴보는 저자 "20대 멘토" 편 [126] [1] 하뉴녕 2011-08-19 30853
27 [프레시안books] 더 울퉁불퉁하게 기록하고, 더 섬세하게 요구했으면... [5] 하뉴녕 2011-07-09 22487
26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 in 진보지식인 버전 (+청년좌파 확장팩) [48] 하뉴녕 2011-01-05 11881
25 '세대론' 관련 글 정리 [9] 하뉴녕 2010-11-08 5239
24 [문화과학] 월드컵 주체와 촛불시위 사이, 불안의 세대를 말한다 [13] [1] 하뉴녕 2010-07-30 6998
23 [레디앙] 누구를 위한 진보정당 운동인가 [35] [1] 하뉴녕 2010-06-16 7810
22 [펌] 노회찬 서울시장후보 장외토론회 [6] 하뉴녕 2010-05-28 3506
21 "방 있어요?" 행사 포스터 file [9] 하뉴녕 2010-04-30 4867
20 하지만 자기계발의 영역에서도 담론투쟁이 필요하지 않을까? [20] [3] 하뉴녕 2010-01-31 4500
19 강준만 한겨레 칼럼 “이명박 비판을 넘어서”에 부쳐 [21] [1] 하뉴녕 2010-01-18 4180
18 엄기호 [12] [2] 하뉴녕 2009-10-30 1253
17 [프레시안] 20대의 자기인식이 시작 되다 - 연세대학교 개청춘 상영회 후기 [10] 하뉴녕 2009-10-05 3018
16 [미디어스] 촛불시위와 세대론 - 왜 세대론이 우리를 괴롭히는가? [13] 하뉴녕 2009-05-03 4002
15 소위 ‘20대의 목소리’란 것에 대해 [29] [4] 하뉴녕 2009-02-21 2014
» 386 이후 세대의 정치인을 육성하기 위해선? [6] 하뉴녕 2009-02-15 910
13 [프레시안] "변희재, 진중권이 아니라 '<조선> 386'과 싸워라" - [기고]'88만원 세대'가 바라보는 '<88만원 세대> 논쟁'(下) [21] [1] 하뉴녕 2009-02-11 3246
12 [프레시안] 우석훈, 말의 덫에 빠졌다 - [기고] '88만원 세대'가 바라보는 '<88만원 세대> 논쟁' 上 [13] [2] 하뉴녕 2009-02-10 2219
11 국가주의는 파시즘으로 통하는 지름길? [23] [2] 하뉴녕 2009-01-27 3213
10 이명박과 폭력시위, 그리고 주민소환제 [13] 하뉴녕 2008-06-08 1579
9 북한 문제와 중국 문제 [9] 하뉴녕 2008-03-29 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