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씨네21/유토디토] 위대한 유산

조회 수 1240 추천 수 0 2008.10.17 12:39:32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는 문화적 취향에 있어서의 계급적 차이에 주목한다. 계급적 차이들은 문화적 차이들을 생산하지만, 이러한 문화적 차이들이 재능이나 성취 같은 개인적 특성에 따른 것이라고 잘못 인식되기 때문에 결국 계급체계를 정당화하게 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말하자면 ‘문화자본’도 세습된다는 것인데, 한국에서 그의 말이 어떻게 적용될지를 떠올려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
 

일단 학벌. 세습되는 것 맞다. 강남 8학군 출신 학생들과 전문직 자녀들의 명문대 합격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뉴스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그리고 영어. 이것도 계급문제 맞다. 수능점수가 엇비슷한 같은 대학 같은 학과 학생들을 비교해보면, 집안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는 능력은 영어 구사 능력 정도라고 한다. 영어몰입교육이라는 에피소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 나라는 영어를 잘하는 이들이 영어를 못하는 이들을 착취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목하 노력 중이다. 그런데 다른 것들은? 사실 부르디외가 말하는 문화자본이 이렇게 즉각적으로 사람을 차별할 수 있는 잣대를 의미한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보다는 부르주아들이 자기들이 가졌다고 주장하는 세련되고 고상한 것들이 제 잘난 탓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그 계급적 특성 때문에 나오는 것이라는 단언이었을 것이다. 클래식 음악이든, 미술적 안목이든, 고전에 대한 독서든, 뭔가 비물질적인 부분에서 내세울 게 있지만 그것도 기원은 물질적인 것에 있다는 말일 것이다.


그런 차이가 있을까? 그야 있는 집 자식들이 루브르 박물관이라도 한번 더 가봤을 테고 집에 영어로 된 미술책이 있을 확률이 높으니 ‘없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가령 이건희 회장 일가를 생각해보라. 비록 세금납부를 피해가려는 의도에서이기는 하나 방대한 미술품을 소유하고 있지 않았던가. 하지만 그런 방면의 차이가 도드라져 보이지는 않는 것도 현실이다. 부르주아들이 ‘문화자본’을 구축하게 되는 것은 돈을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돈과 상관이 없어 보이는 가치 또한 소유하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것을 ‘허영’이라고 부른다면, 그건 그렇다고 치자. 문제의 핵심은 우리 사회의 부르주아들이 그런 ‘허영’에 쉬이 휩쓸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은 없는 이들에게 문화자본을 자랑하는 법이 없고 돈과 상관이 없는 일에 일절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광고한다. 말하자면 자신이 성공한 이유는 남들을 철두철미하게 잘 쥐어짰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그것을 ‘재능’이나 ‘능력’이라는 수사로 포장하는 것이다. 모종의 천박함이 재능이란 이름의 가치로 전도되고, 없는 이들은 이 재능이 없어서 성공하지 못했다고 판단된다. “결국 계급체계를 정당화하게 되는 문화적 차이”라는 부르디외의 논의는 한국적 실정에서 고급문화에 대한 감수성이 아니라 이런 유의 천박함을 지칭한다. 그러니 슬프고 우스꽝스럽게도 남는 건 학벌과 영어밖에 없는 것이다.


최근 한국 부르주아들이 남긴 ‘위대한 유산’을 증명하는 위대한 사례를 또 한번 접했다. 기아자동차 모닝을 위탁생산하는 동희오토라는 기업인데, 기업 안에 10여개의 하청기업이 있고 노동자는 100% 비정규직이다. 해마다 10여개 하청업체 중 한두개를 폐업하고 새로운 사장과 재계약하면서 근속, 임금 등을 승계하지 않고 마음에 안 드는 노동자들을 손쉽게 갈아치운다. 이런 ‘편법’을 통해 그해의 최저임금에 해당하는 임금으로 제조업 생산라인을 돌리고 있는데, 부르주아들은 이를 최고의 경영혁신 사례로 자랑한다. 정말 징글징글한 ‘문화적 습속’이 아닐 수 없다.



M.

2008.11.02 10:20:24
*.39.186.72

한참 지났는데 지금 보네요.

윤형님이 말한 문화 자본 습속의 과정 두 가지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저로서는 뼈아픈 글입니다.

skylar

2009.01.22 02:57:22
*.235.117.59

저도 지금에서야 이 글을 봤는데요. 부르디외가 프랑스나 유럽사회에서 문화자본을 소유한 그룹을 부르주아로 엮었던 반면, 한국사회에서는 아무래도 이 그룹이 주로 중간계급과 신중간계급에 몰려있지 않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전통적인 중간계급인 의사나 변호사, 교수(이른바 전문직)들(1970년대 말 80년대 초, 학력을 통한 사회이동의 가능성이 있었던 한국사회에서 대학을 다녔고 현재 자녀가 20대 초중반인 사람들)의 자식들, 또한 고학력의 화이트칼라 자식들은 제가 보기에는 어느 정도 문화자본을 소유한 사람들이라고 볼수도 있다고 봅니다만. 아시겠지만 노동자계급의 자녀와, 문화자본을 소유한 계급의 자녀는 어렸을 때부터 사용하는 약호(언어, 세계관, 지능의 형성 등등)가 다릅니다. 실제로 비싼 미술품이나 향유하는 문화보다 더 파괴력이 있는 것은 이런부분이 아닐까 하는데요. 물론 흔히 말하는 복부인 혹은 졸부의 자식들이 돈쳐발라서 명문대에 들어가는 사례도 종종 있겠지만, 서울대 연고대에 대부분 전문직 및 관리직, 자본가 계급의 자녀가 갈수록 많이 입학하는 현상은 이부분이 가장 큰 것 같아요. 아 그리고 또 한가지 포인트는 말씀하신 미술품에 대한 식견같은 고급스러운 취향(?)이 한국에 뿌리박지 못했던 건 어떤 의미에서 그게 천박함보다는 문화적 차이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유럽 사회는 오랜 시간동안 '미술품'에 대한 향유가 귀족들의 취향이었고, 새로운 지배계급이었던 부르주아가 이런 특성들을 물려받았던 역사적 특성이 있고, 한국 사회에서는 음..-_-;; 글쎄 생각해 보니 한국 귀족의 전통적 특성은 근대화 과정에서 많은 부분 부정되었으니, 역사적으로 신흥 부르주아가 전통적인 양반의 특성들을 물려받았다고보기는 어렵겠네요. 그래도 앞서 말씀드린 신중간계급과, 중간계급의 자녀들에게 독서라든가 고급취미는 어느정도 향유가 되고 있는 것 같긴 합니다.

하뉴녕

2009.01.22 04:28:16
*.108.31.59

계급문제를 한국에서 적용하기가 참 힘들죠 ^^;;

말씀하신 부분엔 동의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361 본격 은영전 비평 : 양 웬리와 탈정치성 [22] [1] 하뉴녕 2010-07-29 384898
1360 드라마 사조영웅전, 황용의 계보 file [2] 하뉴녕 2007-07-09 46781
1359 이거시 황장군 님의 위력이죠!!!!!!! [6] 하뉴녕 2009-06-23 42921
1358 [딴지일보] 스타리그의 진정한 본좌는 누구인가? (4) - 잊지 마라, 0대 본좌 기욤 패트리를! [8] 하뉴녕 2009-07-13 42527
1357 한화의 가르시아 헌정 짤방 file [5] 하뉴녕 2011-06-30 38352
1356 [기획회의]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기를 - 키워드로 살펴보는 저자 "20대 멘토" 편 [126] [1] 하뉴녕 2011-08-19 30866
1355 현실론과 정치공학 -Sophist와 RVD에 대한 반론 포함 하뉴녕 2004-06-30 28986
1354 어떤 민주당 지지자들에게 : 윤리적 판단을 위한 역지사지 [118] 하뉴녕 2011-08-03 27448
1353 [작가세계] 이건희는 생각하지마. [5] 하뉴녕 2011-07-13 26823
1352 우리편 전문가, 비평의 방법론, 그리고 현실의 재구성 [13] 하뉴녕 2011-09-13 26532
1351 [작가세계] 장하준의 ‘더 나은 자본주의’, 그리고 한국 사회 [14] 하뉴녕 2011-07-23 25970
1350 어떤 민주당 지지자들 [85] 하뉴녕 2011-07-28 25248
1349 [고황] 야권연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24] 하뉴녕 2011-06-21 25007
1348 피해자중심주의와 냉소주의 [7] 하뉴녕 2011-08-18 24502
1347 죄책감의 정치의 두 부류, 그리고 도덕성의 강박 [9] 하뉴녕 2011-09-15 24314
1346 [황해문화] 루저는 ‘세상 속의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22] 하뉴녕 2011-07-15 23983
1345 SNS의 진보성? [14] 하뉴녕 2011-07-10 23768
1344 안운사 해설강의 2,3강 업로드 [2] 하뉴녕 2011-04-04 23557
1343 왜 좌익은 희망버스를 곤혹스러워 하지 않는가? [21] [1] 하뉴녕 2011-07-14 23529
1342 슬럿워크와 잠재적 성범죄자의 문제 [10] [1] 하뉴녕 2011-07-26 23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