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당공직 분리

조회 수 4416 추천 수 0 2008.03.25 13:59:47



민주노동당에서 시도했었던 당공직분리의 장단에 대해.

한미FTA 국면에서 민주노동당 외의 의원들(특히 농촌에 지역구를 가지고 있는)이 한미FTA에 관해 공부하고 함께 반대하자는 민주노동당 국회의원들의 회유에 넘어온 일이 있었다. 몇 차례 모임을 가졌던 것으로 아는데, 흐지부지 된 것 같다. 그런데 이 사례는 당공직분리의 장단에 관한 아주 명확한 예가 될 듯 하여.. 추론을 해보기로 한다.

1) 당공직분리 상황

의원들이 남의 당에서 의원을 빼오거나 회유하거나 하여 의회에서의 세를 불리려는 시도를 한다 해도 당내에서의 다른 구조들 때문에 이것이 이슈화 되거나 중심 사업으로 기능하지는 않는다. 덕분에 국회에서의 반-한미FTA 기류는 여론이 증발함에 따라 점점 하강하였고 흐지부지 되었다.

2) 겸직 가능 상황

권영길, 노회찬, 단병호, 심상정이 당 지도부의 역할을 맡았을 것이며 이들이 추진하는 한미FTA 반대 테이블은 이슈화에 성공했을 것이다. 한미FTA에 대한 전선은 더욱 명확해졌을 것이며 좌파들이 그토록 목을 놓아 외치는 '투쟁' 또한 불이 막 붙었을 것이다. 여론은 부글부글 끓었을 것이고 보수 정치인 몇 명은 민주노동당에 입당을 하는 상황까지 갈 수도 있었을 것이다.

대선도 지지 않았을 것이고, 총선의 전망도 밝았을 것이며, 최소한 지금 같지는 않았을 것이다.

... 단지, 한미FTA 국면 이후 민주노동당은 급속하게 원내정당화 되었을 것이며 당원들은 지도부인 의원들의 행보에 일희일비하며, 과연 유능한 의원 지도부가 얼마나 많은 보수 정치인을 굴복시키는 지에 대해 내기를 하느라 진보적 상상력(특히 지역운동적 대안에 대한)을 완전히 상실했을 것이다. 의원실의 권력은 보다 강화될 수 밖에 없었을 것이고 당이 하는 거의 모든 일들은 의원실이 알아서 결정하고 당원들은 이를 항상 추인하기만 하는 역할에 머무를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 시기에 지금과 같이 분당을 결의할 만한 동력이 가능했을까? 그것은 또 아닐 것이다.


노회찬의 선전 기사를 보며, 기쁨 반, 근심 반에 해보는 소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2 예상 [2] 이상한 모자 2008-04-09 5253
51 탕웨이가 귀엽지? 나도 좋아해.. file 이상한 모자 2009-11-06 5254
50 구토 file [3] 이상한 모자 2008-06-30 5270
49 이미 각오했던 길. [2] 이상한 모자 2008-04-10 5294
48 맥주 file [3] 이상한 모자 2008-06-22 5302
47 모던영재의 탄생!! file 이상한 모자 2008-03-03 5308
46 나루의 데뷔음반에 대한 각계(?)각층(?)의 반응들 [4] 이상한 모자 2008-03-05 5315
45 서울 동작 을 지역에 출마한 정몽준이 file 이상한 모자 2008-03-27 5326
44 왜 니들이 지랄이세요.. file [6] 이상한 모자 2011-07-07 5348
43 노회찬, 심상정 이상한 모자 2008-04-06 5425
42 [보다] 샘플링과 리메이크가 두려운 이유 [1] 이상한 모자 2008-08-08 5513
41 070823, 080725, 080726, 080727 [4] ssy 2008-07-28 5514
40 100키로 file [6] 이상한 모자 2008-06-16 5541
39 안한숙 밴드 2005년 라이브 실황 대 공개 [2] 이상한 모자 2008-05-21 5550
38 [강추]나루1집 천재기타 2008-02-29 5679
37 서세영에게 보내는 노래 노정태 2008-06-11 5735
36 [출마의 변] 진보신당 광주광역시 서구갑 김남희 후보 이상한 모자 2008-03-27 5786
35 080617 ssy 2008-06-19 5897
34 여행기 (080702~04) [4] ssy 2008-07-06 5898
33 Weezer, 새로운 싱글 file [1] 이상한 모자 2008-05-04 5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