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리영희 선생님 팔순 생신잔치

조회 수 947 추천 수 0 2009.12.03 14:43:25

70년대 대학생의 아버지, 사상의 은사, 7-80년대 운동권의 의식화의 원흉이라 불렸던 리영희 선생님 팔순 기념 생신잔치에 어제 다녀왔다. 사계절 출판사에서 나오는 리영희 선생님 80회 생일을 기념하는 헌정도서의 한 꼭지를 쓰게 되었던 터라 사계절 출판사에서 주최한 모임에 초청받았던 것이다. (선생님 가족들끼리는 음력 날짜 맞춰서 한번 다시 하신다고.) 내가 잘 모르는, 그리고 나를 잘 모르는 '어른들'이 즐비한 자리에서 최연소 참가자는 묵묵히 음식과 술을 먹느라 위장을 혹사했다. '필자'들은 많이 나오지 않았다. 노동연구원 은수미 박사님과 수유의 고병권 선생님 정도가 이름을 들어본 사람들이었는데, 이 분들도 조심을 하는 자리였다. 사계절 출판사와 인권연대 분들이 있었고, 국회의원 정범구 님이 리영희 선생님 옆자리에 앉았다.


헌정도서는 원래 생일날짜에 맞춰 2009년 12월에 출간되는 것이 목표였으나, 원고들이 늦어져 내년으로 미뤄질 것 같다고 한다. 나는 '리영희와 청년세대'라는 주제로 청탁을 받아 이미 원고를 넘겼는데, "냉소주의 시대의 우상과 이성"이란 제목을 붙였다. 리영희 선생님은 1929년 생으로 내가 태어나기도 훨씬 전에 돌아가신 내 할아버지보다도 한 살이 많다. 아버지뻘인 70년대 대학생들에게 '선생님'이었던 리영희와 현재의 청년세대 사이의 '접점'을 찾기 위해, 내 원고는 70년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대학생 문화의 변천을 언급하고 냉전시대의 정치평론과 냉전시대 이후의 정치평론의 차이를 되짚어야 했다.


한겨레21 이번 호에서도 리영희 선생님 팔순을 맞이하여 기사가 나왔고, 내게도 전화 인터뷰로 코멘트를 따갔는데, 나는 아직 기사를 보지 못했다. 인터넷 판으로 올라오려면 며칠 걸릴 것 같다.
 

 


zeno

2009.12.03 17:21:05
*.10.23.208

앗 벌써 팔순이시군요.
윤형씨 글이 기대가 되네요 ㅋ
사계절에서 당시 대학생이 아니라 윤형씨에게 의뢰를 했다니 의외라능 ㅎㅎ

하뉴녕

2009.12.03 17:24:30
*.49.65.16

당시 대학생은 아버지 세대 또래라니까 ㅡ.ㅜ;; 청년세대라는 의도 자체가 요즘 젊은이들에게 물어보자...뭐 이런 컨셉이었던듯요. ㅎ

zeno

2009.12.03 23:47:32
*.10.23.208

아니..
당시 대학생이 아버지 세대라는 건 저도 알아요 ㅋㅋ
요즘 젊은이들과 리영희는 사실 넘사벽인듯;;

음...

2009.12.03 22:07:01
*.252.46.11

리영희 선생님과임헌영 선생님의 대담집인 "대화"가 지금도 바로 제 오른쪽 책장에 꽂혀 있군요..
본문 내용을 보며 리영희선생님이 살아오신 역사와 그 속에서 그 역사를 살아가는 자세가 참 인상깊었어요. 몇가지 에피소드도 많으시고 은근 자기 자신에 대한 자랑도 많으신 데..ㅋㅋ 무엇보다도 기생과 얽힌 에피소드는 굉장히 감동적이었지요.. 오래 오래 우리 곁을 지키고 계셨으면 좋겠군요^^

asianote

2009.12.04 01:22:27
*.170.212.186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는 글을 본게 벌써 10년 전 일이네요.

ㅂㅈㄷㄱ

2009.12.07 13:44:32
*.107.96.248

리영희는 한국현대사를 부정적으로 깎아내리는 원조이며 지금도 그렇죠.

원래 한국진보들이 군사정권이 이룩해낸 성취를 인정하지 않고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작자들이 많은데, 그게 바로 리영희의 역사관이 후대에도 영향을 미친것입니다.

게다가 저양반이 한국의 군사정권을 폄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공산진영에 대한 환상을 조성한 것

도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냉전이 무너지면서 공산주의의 실체가 드러나고 말았죠

익명희망

2009.12.20 22:28:03
*.150.47.128

"8억인과의 대화"나 문혁 옹호 드립은 분명한 과오지만 "군사 정권이 이뤄낸 성취를 인정하지 않고 부정적으로 묘사했다"고 하는 건 어폐가 상당하지 않습니까?

리영희 선생이 군사정권 때 경제가 발전하지 않았다거나, 그런 게 전혀 가치가 없다고 주장한 것도 아니고, 그 "군사정권의 과오"란 것이 완전히 허언도 아닐진댄, 꼭 긍정적인 면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부정적인 면만을 주로 말한다고 그걸 "근현대사를 부정적으로 깎아 내린다"고 말하기는 좀. -_-

그런 식으로 따지자면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는 그림자라고는 한점 보이지 않는 찬란한 경제발전의 연속이었다고 천편일률적으로 외우고 다녀야 하는 겁니까? 리영희 선생을 싫어하시니 선생의 말을 끌어다 대는 것이 싫으시겠지만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날지 않나요? 허무맹랑한 주장이 아닌 나름의 근거를 가진 주장이라면 님이 싫다고 무조건 부정해서는 안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361 본격 은영전 비평 : 양 웬리와 탈정치성 [22] [1] 하뉴녕 2010-07-29 384995
1360 드라마 사조영웅전, 황용의 계보 file [2] 하뉴녕 2007-07-09 47057
1359 이거시 황장군 님의 위력이죠!!!!!!! [6] 하뉴녕 2009-06-23 43210
1358 [딴지일보] 스타리그의 진정한 본좌는 누구인가? (4) - 잊지 마라, 0대 본좌 기욤 패트리를! [8] 하뉴녕 2009-07-13 42821
1357 한화의 가르시아 헌정 짤방 file [5] 하뉴녕 2011-06-30 38584
1356 [기획회의]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기를 - 키워드로 살펴보는 저자 "20대 멘토" 편 [126] [1] 하뉴녕 2011-08-19 30973
1355 현실론과 정치공학 -Sophist와 RVD에 대한 반론 포함 하뉴녕 2004-06-30 28989
1354 어떤 민주당 지지자들에게 : 윤리적 판단을 위한 역지사지 [118] 하뉴녕 2011-08-03 27525
1353 [작가세계] 이건희는 생각하지마. [5] 하뉴녕 2011-07-13 26910
1352 우리편 전문가, 비평의 방법론, 그리고 현실의 재구성 [13] 하뉴녕 2011-09-13 26608
1351 [작가세계] 장하준의 ‘더 나은 자본주의’, 그리고 한국 사회 [14] 하뉴녕 2011-07-23 26052
1350 어떤 민주당 지지자들 [85] 하뉴녕 2011-07-28 25344
1349 [고황] 야권연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24] 하뉴녕 2011-06-21 25083
1348 피해자중심주의와 냉소주의 [7] 하뉴녕 2011-08-18 24576
1347 죄책감의 정치의 두 부류, 그리고 도덕성의 강박 [9] 하뉴녕 2011-09-15 24393
1346 [황해문화] 루저는 ‘세상 속의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22] 하뉴녕 2011-07-15 24059
1345 SNS의 진보성? [14] 하뉴녕 2011-07-10 23844
1344 안운사 해설강의 2,3강 업로드 [2] 하뉴녕 2011-04-04 23643
1343 왜 좌익은 희망버스를 곤혹스러워 하지 않는가? [21] [1] 하뉴녕 2011-07-14 23634
1342 슬럿워크와 잠재적 성범죄자의 문제 [10] [1] 하뉴녕 2011-07-26 23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