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아이센가드

조회 수 1028 추천 수 0 2007.11.22 19:16:43


아이센가드는 견고하고 경이로운 땅으로 오랫동안 아름다움을 간직한 곳이었다. 위대한 영주들과 서쪽 곤도르의 섭정들, 그리고 별을 관측하는 현자들이 살고 있었다. 그런데 사루만은 자신의 변덕스러운 목적에 맞게끔 천천히 변형시켰으며, 또 더욱 견고하게 조성했다고 스스로 자부했다. 그러나 그것은 미망이었다. 왜냐하면 자신의 옛 지혜를 버리고 대신 선택한 것이었으며, 또 경솔하게도 자신이 고안했다고 여긴 모든 책략과 간계는 사실 모르도르에서 온 것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그가 만들어낸 것은 아무것도 없었고, 암흑의 성채 바랏두르의 거대한 요새와 병기고, 감옥과 화덕을 조그맣게 모방한 어린애 장난에다, 노예의 아첨에 지나지 않았다. 암흑의 성채는 실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면서, 사루만의 이런 아첨을 비웃으며 자부심과 한량없는 힘을 간직한 채 때가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 <반지의 제왕 2> "두개의 탑" 중에서 )


언젠가 후라이빵님이 반지의 제왕과 한국 정치를 비교하면서 노무현을 사루만에 대입했는데, 그 순간엔 확 와닿지가 않았지만 나중에 생각해 보면 꽤 그럴듯한 구석이 있었다. 위 인용문은 정말로 참여정부 말기의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를 보여주는 것 같다. 현자 대통령과 그를 섬기는 386 참모들이 한국의 자유주의 우파 진영을 통째로 한나라당 노선에 헌납한 풍경말이다. 그러고도 그들은 잘했다고 짹짹거리고 있으며, 이명박이 대통령 자격이 없는 것이 자신들의 정당성의 근거인양 뻐기고 있다. 그들이 얼마나 민심을 잃었는지를 이회창이 보여주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나저나 대선이 30일도 안 남았는데, 정말이지 '미워도 권영길'이냐 '적극적 기권'이냐 두 개의 선택지 사이에서 장고해야 할 듯 싶다.

노정태

2007.11.22 22:01:33
*.45.66.11

하지만 저 어설픈 아이센가드도 분열함으로써 사우론의 대업을 망가뜨릴 정도의 영향력은 지니고 있었다는 게 더 안습이지. 반지의 제왕 시리즈에서 사우론이 이끄는 어둠의 세력이 우세를 점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는 강력한 증거 중 하나라고 봐.

볼빵

2007.11.23 09:39:07
*.46.23.58

적극적 기권이라하심은 백지투표인가요. 투표결과 과반이 기권이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낄낄.

ageresequituresee

2007.11.23 15:50:26
*.76.192.57

투표율 50% 이하로 떨어지면 곧바로 결선투표제 도입 움직임 시작될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 대학내일 [1] 하뉴녕 2007-12-04 783
520 [펌] 김택용 vs 마재윤 OSL 8강 2,3차전 하이라이트 동영상 [2] 하뉴녕 2007-12-02 8444
519 [펌] 가속하는 플저전, 쾌검 난무 / 김연우 [1] 하뉴녕 2007-11-29 1167
518 인물과 사상 하뉴녕 2007-11-29 789
517 "성공하세요." 이명박 후보님! [6] 하뉴녕 2007-11-29 843
516 [대학내일] 삼성 공화국을 벗어나는 방법은? 하뉴녕 2007-11-28 949
515 [프레시안] '코리아 연방제'? '개 풀 뜯어 먹는 소리'! [4] 하뉴녕 2007-11-27 916
514 왕과 나 : 거세의 두 가지 방식 하뉴녕 2007-11-27 1208
513 독선적 취향 : 청소년기에 세계명작소설을 읽는 방법은? 하뉴녕 2007-11-27 1187
512 운하영웅전설 file [6] 하뉴녕 2007-11-26 1483
511 희망고문과 냉소주의 사이에서 [4] 하뉴녕 2007-11-24 802
510 그래도 권영길을 찍기로 결정했다. [3] 하뉴녕 2007-11-24 859
509 OSL 8강전 오프 후기 file [2] 하뉴녕 2007-11-24 1134
508 [펌] 철학자 앙가주망 네트워크의 김용철 지지 선언문 [4] 하뉴녕 2007-11-23 1150
» 아이센가드 [3] 하뉴녕 2007-11-22 1028
506 <미녀들의 수다>와 자밀라 file [1] [1] 하뉴녕 2007-11-21 968
505 문어체 소년의 인용구 노트 5 - 저자의 탄생 하뉴녕 2007-11-21 880
504 박성균 우승과 본좌 논쟁의 미래 [5] 하뉴녕 2007-11-18 1112
503 오늘은 김택용이... file [17] 하뉴녕 2007-11-17 925
502 11월에 구입한 책 [20] 하뉴녕 2007-11-13 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