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3주 전쯤에 한국에서 가장 주목받아야 할 드라마는 무엇이었을까? 물론 <커피프린스 1호점>이었을 게다. 그러면 지금 이 순간 한국에서 가장 주목받아야 할 드라마는 무엇일까? 한국 드라마 시장에 좀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개와 늑대의 시간>이라고 대답할 것 같다. 하지만 <커프>는 순정만화 틀로 분석해야 하는 지라 나같은 사람이 쓸 말이 없고, <개늑시>는 드라마틱에 9월호에 리뷰를 쓴데다가 -개인적으로 만족스러운 리뷰는 아니었다.- 며칠 전 <필름 2.0>에 넘긴 작가 인터뷰까지 하고 왔으니 블로그에 역시 더 쓸 말은 없다. 그저 이 엄청난 장르물에 매주 경탄하면서 시청하는 일만 남았을 뿐. 그러니까 나는 동시간대 <커프>의 잔혹한 통치 속에서도 15% 정도의 시청률로 소리소문없이 종영된 <강남엄마 따라잡기>에 대해 코멘트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드라마틱 8월호에 이미 나는 <강남엄마 따라잡기>에 대해 스코프 형식의 리뷰를 남겼는데, 그 내용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대개의 드라마에서 황금은 어떤 정신적 가치와 대립한다. 그리고 우리의 선량한 드라마들은 후자를 추구하는 사람들을 옹호하려고 한다. 그러나 <강남엄마 따라잡기>에선 문제가 그리 간단하지 않다. 강남엄마들의 지위를 결정짓는 건 집안의 재력, 자식의 학력, 부모의 학력 등 다층적인 요소다. 다른 사람들(가령 교사들)에게도 이 상황은 마찬가지라, 어떤 종류의 명분이라는 것도 사실 황금과 교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 드라마가 ‘거대한 욕망의 환율중계소’를 보여주고 있다고 표현했다. (이 리뷰의 제목은 벤야민을 기념하며 “황금 vs 아우라”이다.)


이 리뷰를 썼을 때 나는 드라마를 6회쯤 보고 있었을 텐데, 다행히도 18화로 종영될 때까지 이런 기조가 유지가 되었다. 가령 이 드라마의 주인공이라 볼 수 있는 서상원 선생님(유준상)을 생각해 보자. 그는 서울대 출신에 대학시절 신춘문예에 시인으로 등단했으나 그후 30여세가 될 때까지 빌빌 거리다가 촌지받고 엉터리 시집에 추천사나 써주는 인간으로 전락했는데 (이 전락의 시점부터 드라마가 시작된다.) 그래도 논술강사하라는 선배의 요구는 거절한다. 이런 건 일반적인 드라마에서 보여지는 정신 vs 물질 구도와는 다르다. 촌지시인도 시인은 시인이기 때문에, 그리고 시인은 가오가 있기 때문에 그는 그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것뿐이다. 그래서 시인협회에서 제명당하자 다시 논술학원 원장하는 선배를 찾아가는 것이고. 하지만 재미있게도 그의 선택은 언제나 어긋난다. 가만히 있을 때는 학원에서 모셔가려고 찾아오지만, 그때 잠시 학교선생을 계속할까 고민하다 학교에서 여의치 않아 논술강사로 가려고 하면 또 그쪽에서 못 받아들일 사정이 생긴다.


이런 에피소드는 굉장히 현실적이다. 가령 <메리대구 공방전>의 말미에서 메리는 마치 자신들이 잘 나가지 못하는 것이 현실과 타협하지 못한 탓이며, 언제든지 그 자리에 복귀할 수 있는 것처럼 말해서 나를 화나게 했다. 물론 꿈을 버리고 현실과 타협하여 이득을 얻는 순간이 있기는 할 게다. 하지만 영혼을 팔아버리는 것도 언제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악마는 당신 옆에 붙어사는 24시간 대기조가 아니다. 어떤 때는 정말로 영혼을 팔아버리고 싶어 미칠 지경인데도 악마가 다른 데로 가 있어서 못 파는 경우가 있다. 영혼을 안정적으로 팔려고 해도 여유돈이 좀 있어야 한다. “영혼팔자!”는 결정을 내리고 그 결정을 실행에 옮기려면, 악마가 다른 사람 둘러보고 다시 당신에게 관심을 가질 때까지 최소한 몇 달간은 먹고 살 돈이 있어야 한다. 그런 돈 없어서 영혼 못 팔고 다시 꿈의 세계로 나가는 사람도 있다. 서상원은 이렇게 오락가락하면서도 한걸음 한걸음씩 윤리적 선택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데, 이러한 주인공의 모습을 보는 건 꽤나 감동적이다. ‘윤리적 영웅’들에 비해 훨씬 감정이입이 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서상원 얘기만 했지만 전반적으로 이 드라마는 강남엄마들에 대한 르포적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현실을 풍자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시나리오도 굉장히 세심하고 탄탄한 편이다. 가령 인물들의 갈등을 보더라도 1) 교사들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갈등 2) 엄마들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갈등 3) 아이들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갈등 4) 몇몇 중요한 캐릭터들의 경우, 각 가정에서 일어나는 갈등이 골고루 섞여 있으며 이것들이 서로 영향을 맺으면서 새로운 갈등을 창출하기도 한다. 저기서 가능한 조합의 숫자는 장난이 아니다. 생각해보면 굵직굵직한 사건이 없었던 이 드라마가 언제나 긴장감을 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멜로 라인 역시 삼각관계 냄새를 약간은 풍기지만 결론은 내어주지 않으면서 ‘이 드라마는 멜로가 아닙니다.’는 메시지를 충분히 전달하고 있다. 


하지만 풍자에서 대안을 제시하려는 순간 이 드라마는 한계에 부닥치고 만다. ‘올바른 교육’에 대한 이 드라마의 관점은 ‘강남엄마’의 시대가 도래하기 전의 것에 불과하다. 18화의 전면적인 해피앤딩 구조가 어색한 건 해피앤딩 자체가 나쁘기 때문이 아니다. 그 해피앤딩에 깔려있는 ‘교훈’이 너무 낡은 것이고 그래서 그것의 실현 안에서 저 등장인물들이 그토록 해맑게 웃을 수 있을까 의심이 되기 때문이다. 교사의 양심을 대변하는 김선생님의 목소리는 추상적인 언어로 가득차 있다. 전인교육이라든지, 아이들의 가능성을 실현하게 하라든지. 이런 명제는 반박할 수도 없지만, 그렇다고 현실에 적용할 무언가를 끌어낼 수도 없다.


그러나 그것이 어찌 드라마의 한계이겠는가. 현실이 이토록 꼬여 있다면 그건 마땅히 ‘정답’이 무엇인지를 아직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뻔히 성립할 수 있는 ‘정답’을 눈앞에 두고 ‘오답’에 열을 올리는 사회는 없다. 그러니까 우리에겐 아직 정답은 커녕 그 비슷한 것도 없는 것이다. 아직 한국 사회는 교육문제에 대해서 총체적인 고민은커녕 무엇이 문제인지에 대한 합의도 도출해 본 적이 없다. 단순히 삼불정책의 고수는 개혁이며 평준화를 깨는 건 보수라는 이분법 안에선, 하나의 정책에 대한 찬반이 그것의 (작은 틀에서, 그리고 큰 틀에서의) 효용성에 대한 평가에서 이루어지지 못하고 단지 (유사)이데올로기적인 대립으로 소비되기 마련이다.


그래서 17화 중반까지만 두고 볼 때, 이 드라마는 꽤나 훌륭했고 나름대로 공적인 문제제기를 했다고 평가하고 싶다. 특정한 사회문제를 단순히 선정적인 설정으로 떨어뜨리지 않고 이 정도까지 풀어낸 드라마를 보는 것도 자주 있는 일은 아니다.


노정태

2007.08.26 20:24:46
*.124.55.33

검색만 하다가 지치는 드라마사이트 때려잡기!
디씨눈팅에서 욕구충족이 불가능한 남성분 대환영!
눈화들도 대환영!
만나서 바로 서핑 하는곳!Dⓡamatⓘque.co.kr

하뉴녕

2007.08.26 21:39:10
*.176.49.134

..님하...;; 삭제할 뻔 했3...;;;

hyun

2007.08.26 20:38:15
*.99.83.104

위에서 언급한 드라마들을 보진 않았지만, 고작 복학생인 입장에서(아이 엠 쏘리~) 어찌 그리 내맘대로 현실이 아닌 것을 온전히 알 수 있는가요 님께서는. 확실히 세상은 공평치가 않군요.

개강에 대해선 뭐... 잘 버티시길 바라구요. 그럼 포스팅이 좀 뜸할라나요?

안나괭이

2007.08.26 21:36:10
*.49.80.134

아- 종영했군요 이 드라마-
드라마 거의 안보는데 이상하게 이거는 좀 챙겨봤는데...ㅎ
여행다니다 보니 종영해버렸네요;
아 어떻게 됐는지 궁금하지만 그렇다고 다운받아보기는 귀찮은..ㅋ

plath

2007.08.26 23:43:36
*.111.220.31

어 나도 이 드라마, 엄마 때문에 가끔 넘겨봤는데 의외로 굉장히 재밌잖아요. 한국에서 교육보다 더 스펙터클한 건 정치밖에 없을라나...하여튼 누구나 겪었고 누구나 알고 누구나 감정이입할 수 있는 이 굉장한 대상을 이만큼 매끄럽게 풀어냈다는 데 칭찬 백번. 그리고 무엇보다 하희라를 압도하는 유준상의 연기력에...이 드라마에서 유준상은, 누나들의 로망이랄까 *-_-* 시청 도중 슬쩍 옆을 보니 - 유준상이 클로즈업되는 장면이었는데 - 엄마와 (나보다 5살 위인) 언니 모두 입가에서 미소를 떨쳐내지 못하고 보고 있더라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 드라마틱 소사이어티 : 중산층의 복수 [5] 하뉴녕 2008-02-27 1098
30 내 인생 최고의 음주 : 막걸리는 힘이 세다 [4] 하뉴녕 2008-02-27 866
29 문어체 소년의 인용구 노트 업데이트 하뉴녕 2008-02-21 965
28 문어체 소년의 인용구 노트 - 8 언젠가는? [1] 하뉴녕 2008-02-21 867
27 문어체 소년의 인용구 노트 - 7 어떤 고아의식 하뉴녕 2008-01-21 1060
26 문어체 소년의 인용구 노트 6 - 예쁜 여자 하뉴녕 2007-12-21 827
25 왕과 나 : 거세의 두 가지 방식 하뉴녕 2007-11-27 1208
24 독선적 취향 : 청소년기에 세계명작소설을 읽는 방법은? 하뉴녕 2007-11-27 1187
23 문어체 소년의 인용구 노트 5 - 저자의 탄생 하뉴녕 2007-11-21 880
22 태왕사신기 : ‘판타지’도 아니고 ‘민족’도 아닌 하뉴녕 2007-10-27 1411
21 죽음과 그녀와 나 : 옴니버스 심령-연애물의 재미 하뉴녕 2007-10-27 1141
20 캐스팅 가이드 : 이태성과 박은빈 하뉴녕 2007-10-27 1016
19 문어체 소년의 인용구 노트 4 - 쾌락, 그리고 취향 하뉴녕 2007-10-21 1069
18 고독한 계보학 : 판타지 소설을 쓰기 위해 필요한 것은? 하뉴녕 2007-09-27 1167
17 개와 늑대의 시간 : 개와 늑대, 혹은 폭력의 분별성 하뉴녕 2007-09-27 1121
16 문어체 소년의 인용구 노트 3 : 자유와 도덕법칙 하뉴녕 2007-09-21 832
15 강남엄마 따라잡기 : 황금 vs 아우라 하뉴녕 2007-08-27 1021
» <강남엄마 따라잡기> : 풍자의 성공과 교훈의 실패 [5] 하뉴녕 2007-08-26 906
13 판타스틱 & 드라마틱 & 기타 준비하는 것들 [5] [1] 하뉴녕 2007-08-24 1028
12 문어체 소년의 인용구 노트 2 : 고통과 삶 하뉴녕 2007-08-21 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