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경향신문 이준호 기자의 기사는 기자실 출입 기자가 공무원들과 접촉하면서 어떻게 정보를 캐내왔는지에 대한 생생한 증언이다. 클릭  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은 대개 “당신은 잘 머물지도 않는 기자실 폐쇄에 왜 흥분하느냐! 오히려 정부가 잘했다고 칭찬해야 하는게 아니냐!” 정도에 머물러 있다. 


이 허무개그 수준의 응답에 이 논쟁을 둘러싼 혼선이 드러난다. 이준호 기자의 경우 기자실에 죽치고 앉아 있는 일은 없다. 그가 기자실에 죽치고 앉아 있기를 바라는 건 공무원들이다. 그런데 그는 왜 기자실 폐쇄에 반대하는가? 기자실이 있어야 정부 부처 안으로 출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가 기자실에 앉아 있는 일은 없지만, 일단 기자실이 있어야, 부처 안으로 출입하고, 공무원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네티즌들은 전현직 기자들과 자신들의 모든 경험을 동원하여 기자실이 1) 기자단 기자들만을 위한 특권의 공간이며, 2) 부당한 기사 담합의 공간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3) 언제부터 기사를 기자실에서 썼냐, 기사는 발로 뛰면서 쓰는게 아니냐. 고 충고하고 있다.


이 문제 그렇게 쉽지 않다. 먼저 1)에 대해 말해보자. 부처 출입이 특정 기자들의 부당한 특권이라면, 그건 어떠한 의미에서 부당한가? a) 모든 기자들에게 허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부당하다는 견해가 있을 수 있고, b) 어떤 기자에게도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부당하다는 견해가 있을 수 있다. 지금 참여정부의 기자실 통폐합은 공무원과 기자가 만나는 루트를 차단하겠다는 점에서 b)의 입장이다. 그런데 네티즌들은 자신의 견해가 a)인지 b)인지 정립도 안 한 채 ‘특권’이라고 비판한다. 정부의 안은 기자실 출입기자와 네티즌이 동등한 수준의 정보를 공급받게 하자는 것이다. 그리고 공급받게 되는 정보의 양은, 현재 개편안을 보건대, 현재의 기자실 출입기자의 것보다는 현재의 네티즌의 것에 가깝다. 이것은 긍정적인 일일까? aa) 정보민주주의의 관점에서 긍정적이라는 견해가 있을 수 있고, bb) 행정부에 대한 정보공개의 하향평준화를 초래하는 부정적인 제도라는 견해가 있을 수 있다. 나는 가령 한미 FTA를 통해 보여준 한국 정부와 개별 공무원들의 불성실한 정보공개 의지를 보건대 bb) 쪽에 더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독재세력에게 힘을 싣는 견해인가?


국정홍보처는 선진국에서도 브리핑룸 정도만 운영하고 있고, 공무원과 기자가 개별적으로 만나는 일은 금지하고 있다고 말한다. a)와 aa)의 견해를 통해 이어지는 이 입장은 aaa) 기자는 정부가 공개한 문건을 해석하는 사람이다로 정리될 수 있을 법하다. 그리고 이 입장에 대한 의문은 방금 말한 것처럼, “과연 한국 정부가 선진국만큼 풍부한 문건을 공개하고 있는가?”가 될 것이다. 한편 b)와 bb)의 견해를 통해 이어지는 시각은 bbb) 기자는 현장에서, 공무원들과 직접 부딪히며, 공무원들의 실수를 유도해 가며 취재하는 사람이다가 될 것이다. 정부가 충분한 문건을 공개하고 있는지 여부와는 별도로 두 개의 언론관은 충분히 토론의 대상이 될 만하다. 이에 대한 성찰의 시각을 던져주는 현직 기자의 글로는 중앙일보 강혜란 기자의 글을 추천한다.  클릭


문제는 3) 언제부터 기사를 기자실에서 썼냐, 기사는 발로 뛰면서 쓰는게 아니냐. 는 네티즌들의 항변이다. 그들의 항변은 b) 라인의 주장을 공박하면서도, b) 라인의 언론관을 계승한다. 한마디로 자승자박이다. 발로 뛰는 기사를 원한다면 기자실이 있어야 한다는게 방금의 정리를 통해 알 수 있는 결론이다. a) 라인의 언론관은 기자는 발로 뛰는 사람이 아니라 문건 해석의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도 하나의 성립할 수 있는 입장이긴 한데, 하나의 정책의 옹호자들이 그 정책이 지향하는 가치를 모르고 있다는 사실은 우스우면서도 서글픈 일이다. 더 우습고 서글픈 것은, "기자실에서 죽치고 앉아 있는 기자"를 공박하는 대통령의 사태 이해 수준도 이들과 별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논리적인 부분들을 정리했으니 이제 한국 사회의 경험적 현실에 맞춰 내 나름대로 논점을 정리해 보겠다.


첫째, 기자실 폐쇄를 논하려면 행정부의 정부가 좀 더 많이 공개되어야 한다. 현재 정부가 내세운 공개 안은 매우 미흡하다. 그러므로 행정부가 기자 및 국민들에게 어느 정도까지 정부를 공개해야 하는지가 논의되어야 한다.


둘째, 기자실은 그 안에서 중요한 일이 일어나지는 않을지라도, 기자가 공무원을 접촉할 수 있는 하나의 발판이다. 그리고 그 접촉은 보도자료롤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공무원들에게서 다소나마 새로운 정보를 얻어내기 위한 것이다. 우리는 어떤 경우 언론이 그 접촉의 기회를 정부 정책을 왜곡하고 말꼬리를 잡기 위해 사용했음을 잘 알고 있다. 또한 우리는 어떤 경우 언론이 정부가 감추고 싶어하는 정책의 맹점을 폭로하는데 그 접촉의 기회를 사용했음을 알고 있다. 이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의 크기에 대한 판단이, 기자실로 대변되는 어떤 취재문화의 존폐 여부를 결정하는 근거가 되어야 한다.


셋째, 기자실 통폐합 논란은 기자의 특권 문제로 치환되어서는 안 된다. 반대론자 입장에서는, “기자의 특권을 줄인다는 것이, 결국 (행정부와) 공무원의 특권을 강화하는게 아닌가?”라고 물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두 개의 언론관 사이의 문제다. 즉, 기자를 누구나 공유할 수 있는 문건해석의 전문가로 볼 것이냐, 아니면 남들이 가지 못하는 곳에 진입하여 새로운 정보를 알아내어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집단으로 볼 것이냐, 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 사회의 수준과 필요에 맞춰 판단해 보건대, 나는 현재 시점에서는 기자실 통폐합이 바람직하지 못한 정책이라 본다. 만일 당신이 참여정부에 대해 (대통령을 비롯한 행정부 관료들과 마찬가지로) 무한한 신뢰를 가지고 있다면, 강준만 교수의 말대로 이 정책이 한나라당 정권에까지 계승될 경우 어떤 효과를 발휘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기를 권고한다.


이스트라

2007.05.25 10:27:01
*.202.210.147

이 글에 적극적으로 찬성합니다. 트랙백 보냅니다.

필로미디어

2007.05.25 11:06:02
*.132.38.147

이제 드디어 균형잡힌 시각의 포스트가 나오기 시작했군요..글 적느라 수고하셨습니다.

민노씨

2007.05.25 14:39:39
*.142.115.33

역시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
우선 깊이 감사드립니다.

그렇다면 언론에서 '언론 탄압' 혹은 '국민의 알권리' 축소라는 이슈보다는 '정보공개법'을 좀더 전향적인 수준에서 개정하라는 목소리를 강하게 냈더라면 어땠을까 싶은 아쉬움이 남는군요.

언론이 이번 사건을 보도하는 행태를 보건대, 기자실 존치의 이익과 기자실 통폐합의 이익을 가정적으로 비교형량한다고 할 때 (존치한다고해서) 그 이익의 잠재적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되지도 않을 만큼 기존 언론에 대한 불신은 그 한계에 도달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거의 모든 언론에서 이번 사건을 바라보는 태도는, 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밥그릇/특권의식 수호'를 위한 것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한 언론의 겸허한 자기반성과 보다 나은 시스템에 대한 자기고민, 모색과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그래서 현재 시스템을 그저 막연히 고수하자는 쪽으로 나아간다면, 최소한 블로거들의 반대여론은 조금도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기자 vs 공무원'의 대립적 구도에서 사안을 바라보기 보다는 그동안 '기자와 공무원'이 담합하고, 서로 '짝짜궁'했던 관행과 역사에 대한 통렬한 자기반성적 관점에서 사안을 풀어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좋은 글을 읽으니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아지는군요.
그런데 제 능력이 일천해서.. 일단은 이렇게나마 부족한 의견을 남깁니다.

가급적 빠른 시일 안에 윤형님의 글에 대해 간략하나마 검토의견을 글로 작성하고 싶군요.

다시금 좋은 글과 문제의식, 그리고 냉정한 접근에 독자로서 , 그리고 같은 블로거로서 고마움을 전합니다. : )

p.s.
이 글의 설득력에 감복한 독자들을 위해 이하의 글도 그 문제의식의 균형감을 위해 추천하고 싶습니다. 물론 제 글 아닙니다. ^ ^;

1. 국민의 알권리, 기자들이 침해하고 있다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412138

2. 기자실 통폐합 = 언론자유위협?
http://janice.kaist.ac.kr/~gomeisa/blog/?p=260

3. 어슬렁 어슬렁 저널리즘
http://gatorlog.com/?p=755

4. 노무현은 과연 고삐풀린 망아지들에 재갈을 채울 수 있는가?
http://gatorlog.com/?p=756

moon

2007.05.25 14:38:53
*.148.64.24

기자일에서 '발로 뛴다'는 걸 영화 '롤라 런'처럼 정말 달리는 걸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죠. 서프라이즈에 전직 기자란 사람이 쓴 글을 읽었는데, 부지런히 취재하러 돌아다니지 않은 사람이 쓴 게 분명하고(적어도 조중동 기자는 아니라는 게 분명 - 그렇게 놀다간 타지에게 물먹고 데스크에게서 엄청 욕먹을테니까).
취재 경로를 그렇게 틀어막으면, 이미 각 분야에서 고위급의 정보 경로를 확보하고 있는 메이저 언론의 위상을 강화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은 노통과 청와대가 왜 못하는지 궁금하기도 한데...
사실 이번 조치는 바보 노무현 이미지를 활용한, 정치꾼 노통의 마지막 정치적 몸부림이라고밖에 보여지지 않습니다.
언론개혁의 순수한 의도가 정말이라도 있다면, 인간적인 연민이라도 좀 느껴야 할 거 같고.

블락

2007.05.25 15:32:10
*.220.160.151

경향신문 이준호 기자라...과연 그가 자기 회사 선배나 메이저 언론계의 선배들에게 칼을 들이댈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보게 되네요. 무슨 내부 고발자가 나올 것도 아니고, 이준호 기자의 글은 그냥 자기 일기장에나 쓸 내용이지 저걸 또 신문에 그대로 싫어 줬나 보군요. 아마 전략적으로 실었겠죠. 역시 언론플레이라는 생각밖에는. 모든 기자가 마치 저런 듯..
역시 그들의 같은 직업인으로서의 연대감은 참 공고하고 대단해요.

한윤형 님.. 메이저 언론인 중에서 기자실의 문제를 정말 심도 있게 적나라하게 솔직하게 기사를 쓴 적이 있는지 한번 알아 보세요. 균형감이란 그런 거겠죠. 메이저 언론인 중에서라야 합니다. 과연 얼마나 찾을 수 있을까요? 그들은 과연 기자실에 아무런 문제점이 없어서 그런 글을 쓰지 않을까요?

그리고 발로 뛰는 기사를 원한다면 기자실이 있어야 한다라니..
또 현재 한국사회의 수준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정책이라는 표현을 하셨고. 그럼 한국 사회의 수준이 높으면 당연히 해야되는 정책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정말 어이상실스러운 표현이네요.
마지막에 참여정부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보내는 노빠들에게 젊잖은 충고까지..

하뉴녕

2007.05.25 16:30:37
*.46.33.161

메이저 언론은 메이저 언론이고, 마이너 언론은 마이너 언론인데, 님은 무조건 메이저 언론에서 기자실 문제를 지적한 기사를 찾아내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게 없으면 마이너 언론의 기자실 통폐합 비판마저도, 메이저 언론에 투항한 결과가 되나보지요? 정말이지 팔을 떼다가 궁둥이에 쑤셔넣는 것 같은 논변 전개네요.

왜 님이 메이저 언론에게 기대하지 않는 균형감각을, 저는 메이저 언론에게 기대해야 하는 걸까요? 저도 그런 것 기대하지 않아요. 그리고 저는 님에게도 균형감각 같은 것 기대하지 않습니다.

쟁가

2007.05.25 16:27:40
*.50.69.85

글의 표현을 빌려서 굳이 표현하자면, 기자는

1)정부공식문건을 해석하는 사람, 임과 동시에
2)비공개정보를 개인적/조직적 루트를 통해 추적해 들어가는 사람

입니다. 억지로 빈도를 따져본다면 1)은 70%의 일상적 업무이며 2)는 30%의 특수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일반기업의 업무처럼 명확히 구분한다는 건 불가능합니다. 혼재되어 있지요. 기자들의 업무란 일단 그런 것이라고 가정해야 하구요.
기자실이 존재하는 건 일본과 그 일본을 베낀 한국이 거의 '유이'한데, 제 경험으로는 기자실이 '존재'하는 데서 문제가 발생하는 게 아니라 기자실의 '운영'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대다수 출입처에서 중앙일간지(11대일간지)-방송국 위주로 자리를 지정하거나 시스템을 운영하기 때문입니다. 오마이뉴스의 사례는 기자실 문제에서 반드시 짚어 보아야합니다. 초창기에 오마이뉴스 기자들은 마이너매체의 진입장벽인 기자실 시스템에 격렬하게 항의했습니다. 정당한 주장이었지요. 그러나 얼마후 본인들이 기득권세력이 되자 그동안의 대의명분은 한순간에 사라졌습니다. 다른 신생매체들이 새로이 진입하려할 때 침묵하거나 오히려 더 강경한 반대세력이 되었지요. 이런 걸 현장에서 직접 지켜보았기 때문에, 솔직히 지금 일간지 기자들이 옳은 말을 하고 있는데도 온전히 동의해주기 어렵습니다. 노무현과 다른 이유에서-즉, 기자실에 죽치고 있는 등이 아닌-메이저의 이너서클이 되어버린 기자실 제도를 좋게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메이저 언론사 기자들의 항의-"언론탄압이다"-가 정당하려면 '반성(뭐, 진짜 반성하느냐는 상관없습니다)'이 먼저이고, 그다음에 즉각 '대안'을 제시해야합니다. 기자실을 존치시킨다면 운영을 어떤 식으로든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해야 합니다. 공무원들과 브리핑룸 밖에서 비공식적으로 접촉하는 창구가 필요하다면 기자실을 폐쇄하는 대신 점심식사를 같이 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하면 됩니다. 술먹는 것은 엄격히 금지해도 런치타임 때 얼굴 보는 정도는 선진국에서도 다 하는 일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노무현과 명분싸움에서 필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사람들이 무조건 기자가 싫어서 기자실 폐쇄하라고 하는 것도 있겠지만, 제가 보기엔 그동안 기자들이 해온 게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쉽게 납득하려 하지 않는 겁니다. 기자들의 반성과 대안이 먼저입니다. 그게 노무현의 이 다분히 '정치적'인 공세에 정치적으로 올바르게 대응하는 방식이지요. 기자들은 노무현을 늘 지켜보면서도 이 인간이 얼마나 정치적으로 탁월하게 패를 던지는지 아직 감도 못잡는 것 같아요. 그러나 기자들이 과연 자존심 구겨지는 일을 할지는 의문입니다.

하뉴녕

2007.05.25 16:33:02
*.46.33.161

확실히 기자실 존폐 여부보다 공무원 접촉 창구의 문제로 흘러가야 얘기가 맞지요. 언론의 대응도 그 본질을 짚고 있지는 못하기 때문에, 외려 국정홍보원의 논리에 당하고 있는 듯 합니다.

논거를 따지기보다는 어느 깃발에 따라오느냐에 따라 편을 가르는 일이 이번에도 일어나고 있는 건데, 저의 경우는 참여정부가 그런 행태를 너무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찬동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너무 쉽게 인터넷 여론이 그들의 손을 들어주는 것에 대해서도요.

P.S 아, 그리고 모든 언론을 '올드 미디어'라 칭하면서 블로그를 '뉴 미디어'라 칭하는 블로거들의 '자뻑'에 대해서도 좀 비웃어줄 필요가 있겠지요. 이분들 광의의 미디어와 협의의 미디어를 혼동하시는군요.

쟁가

2007.05.25 16:51:34
*.50.69.85

한윤형/ ㅎㅎ 그놈의 '뉴미디어'가 사람 여럿 망가뜨리는군요.

한국 사람들은 그 분야 최고의 전문가의 말조차 지들 입맛에 안맞다고 거지발싸개 취급하는데, 이런사람들이 기자들을 전문인력으로 본다는 건 현재로선 무리예요, 무리..-_-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21 안티조선-단계적 현실타개, 내적 일관성 하뉴녕 2001-11-16 1255
820 노정태의 최장집 비판에 대해 [6] [1] 하뉴녕 2008-09-13 1254
819 아스트랄 코택용 하뉴녕 2009-12-16 1253
818 유시민 씨의 서커스 정치. 하뉴녕 2003-04-16 1252
817 [펌] 김택용의 대 저그전 수비력 / FELIX 하뉴녕 2008-01-06 1250
» 기자실 통폐합 문제를 둘러싼 논의의 혼선 정리 [9] [4] 하뉴녕 2007-05-25 1250
815 진보신당 왜 생겨났나? [16] 하뉴녕 2008-03-29 1249
814 쿵푸허슬 : 종교와 어긋난 미학 하뉴녕 2005-02-03 1244
813 김구는 테러리스트 맞다. [27] [1] 하뉴녕 2007-08-11 1243
812 [씨네21/유토디토] 위대한 유산 [3] 하뉴녕 2008-10-17 1240
811 [씨네21/유토디토] 노빠를 경계함 [18] 하뉴녕 2008-11-28 1236
810 장쯔이 광고 논란 [5] 하뉴녕 2007-03-24 1235
809 [펌] 사랑했던 우리들의 당, 민주노동당을 떠납니다. [3] 하뉴녕 2008-02-18 1233
808 메리대구공방전과 20대 백수들 [15] 하뉴녕 2007-06-21 1232
807 뉴라이트 역사교과서 출간, 나쁜 일이기만 할까? [43] [3] 하뉴녕 2008-03-24 1230
806 성공하지 못한 라캉 토벌 작전 [22] [1] 하뉴녕 2008-03-25 1229
805 시사in 사진 나머지 것들 file [23] 하뉴녕 2008-02-13 1229
804 기륭을 위해 시리우스에 메일을 보냅시다. [2] [1] 하뉴녕 2008-10-23 1228
803 술자리 사담 [1] [2] 하뉴녕 2007-03-30 1226
802 데일리서프 김석수씨 글들에 대한 비평 (1) 하뉴녕 2004-12-10 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