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알라딘에 올렸던 서평이다.


라캉과 정신의학
브루스 핑크 지음, 맹정현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이 책은 다들 알다시피 임상의학의 관점에서 서술한 라캉 이론의 친절한 개설서이다. 슬라보예 지젝의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과 더불어 현재 한국어로 접할 수 있는 라캉 관련 도서 중 최고임이 틀림없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정신질환에 대한 라캉의 분류가 매우 구조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숙지해야 할 것도 각 증상의 특성이 아니라 그 구조다. 아니, 이 말은 잘못된 면이 있는 것이, 라캉의 이론에서는 발병의 구조를 숙지하고 있으면 그 증상의 특성을 어렵지 않게 추론할 수 있다.


처음부터 주욱 통독해야 이해를 할 수 있겠지만, 9장 도착증 p310에선 라캉의 구조적 분류에 대한 핑크의 도식화가 나온다. 이 도식화는 라캉 이론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내 경험으로는 라캉의 언술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유효했다. 한마디로 그 도식은 소외alienation도 분리separation도 이루지 못한이는 정신병이며, 소외는 이루었지만 분리는 이루지 못한 이는 도착증이 되며, 소외와 분리를 모두 이룬 이는 신경증자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도식에는 나오지 않지만, '신경증-너머'로 가기 위해선 '환상을 횡단하기'라는 절차가 추가되어야 한다.


정신질환이 없다고 믿는 우리 일반인(?)들은 라캉의 분류에 의하면 모두 신경증자이므로, 신경증의 다양한 증세에 신경이 쓰이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8장 신경증에서 특히 강박증자와 히스테리자의 대립은 우리 자신의 정신을 반추하는 데에 매우 유효하다. 이 책을 통독하고 두번째로 읽는다면 마땅히 8장 신경증과 9장 도착증에 주의를 집중하며 읽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7 "그냥 압니다"와 '방법적 신뢰'의 문제 [9] 하뉴녕 2011-06-06 4578
16 슈리/박가분 재비판 (3) - 글의 논지가 안 보이는게 내 책임인가? file [15] [1] 하뉴녕 2011-06-04 5531
15 박가분에게 답함 [15] [1] 하뉴녕 2011-02-15 6099
14 박가분의 최장집주의 비판과 진보정당 운동론에 대한 논평 [15] [1] 하뉴녕 2011-02-11 14955
13 글쓰기의 가독성과 글쟁이의 밥그릇 [25] [2] 하뉴녕 2010-12-16 6198
12 [기획회의] 책도둑의 욕망 [18] 하뉴녕 2010-11-15 4597
11 한국 자본가 계급의 탄생과 국가의 역할 - 노정태/홍명교 논쟁에 부쳐 [10] [3] 하뉴녕 2010-08-11 7910
10 레비나스라는 지젝주의자와의 덧글 논쟁 [18] 하뉴녕 2008-02-05 1119
9 어떤 포스트 구조주의자에게 [37] [1] 하뉴녕 2007-09-21 1270
8 라캉과 현대철학 하뉴녕 2005-08-09 1440
7 "일본은 없다"와 한류열풍 하뉴녕 2005-02-12 1766
» 라캉과 정신의학 : 임상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라캉 하뉴녕 2005-01-08 3243
5 진보담론과 개혁담론의 화해를 위해 하뉴녕 2005-01-05 2311
4 박경순과 '국보법 올인론자'들에게 하뉴녕 2004-12-28 3418
3 선택과 복종 하뉴녕 2003-11-27 891
2 '왕당파'와 '파시스트' 하뉴녕 2003-10-16 1105
1 유토피아, 그리고 좌파의 유토피아. 하뉴녕 2003-06-20 1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