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친구의 말을 빌리자면, “안노 히데아키는 십년 전에 우리에게 빚을 졌다.” 1995년에서 1998년까지 구축된 ‘에반게리온 월드’는 그 안에서 숨쉬던 소년들에게 납득할만한 해답을 주면서 완결되지 않았다. 스스로 어지러웠던 설정과 캐릭터는 세기말의 사춘기 소년들의 현기증 나는 심사를 대변했지만, 그것을 해소해주지는 않았다. 전공투의 마지막 세대가 ‘신세기’를 기다리는 소년들에게 던진 메시지는 그 실체가 묘연했다. 단지 할 수 있는 말은 "우리는 모두 신지다.“라는 한마디 뿐이었다. ‘에반게리온 월드’에 신지의 팬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모든 소년들은 자기 자신이 바로 신지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지의 찌질거림과 부대낌 속에 무언가 심오한 것이 있을 거라고 믿은 소년들의 세월은 레이와 아스카의 사진과 함께 과거의 앨범 속에서 추억이 되었다.


난 죽어도 아스카빠다...ㅅㅂ


그리고 난해한 것은 언제나 새로운 해석을 위해서 되돌아오기 마련이다. 2007년부터 구축된 새로운 에반게리온은 자신이 소년들에게 진 부채에 대한 안노의 답변이다. 도대체 이 시리즈에 다른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에반게리온 월드의 주민이 아닌 다른 이들에게도 이 극장판이 흥미로울 거라는 얘기는 안노의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했던 상업적 조건이지, 그것의 본질은 아니다. 미사토상이 다음 편을 예고하기 전에 카오루는 달에서 지상을 향해 내려온다. “약속의 때다. 신지군, 이번에야말로 너만은 행복하게 해주겠어!” 이것이 이제 거죽만 늙어버린 십년 전의 소년들에게 안노 히데아키가 하는 말이 아니라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내가 돌아왔다고...내가!!!

‘뉴 에반게리온 월드’의 미덕은 이 시리즈가 에반게리온 자신의 얄팍함을 드러내기에 주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십 년 전에 에반게리온과 소년들은 상처받는 것을 두려워했다. 우리의 고민 속에, 절망 속에, 그 찌질거림 속에, 무언가 심오한 것이 존재할 거라고 믿었다. 따라서 그것을 파헤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고슴도치는 서로에게 접근하지 않은 채 거리를 두고 있었다. 오타쿠들은 에반게리온의 온갖 설정과 어지러운 캐릭터들 속에서 무언가 심오함을 발견하려고 애썼다.


이제 내 핑계대고 찌질대지 마라...그럴 나이 지났다...ㄷㄷㄷ

그러나 심오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라고 이 시리즈는 말하는 것 같다. 이제 안노는 신지와 겐도우, 레이와 아스카, 미사토와 리츠코와 카지의 욕망을 이해한다. 그네들의 욕망이 특별하지 않았다는 것을, 우리가 노력만하면 납득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그 무언가였다는 것을 이해한다. 자신의 고민이 특별한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될 때 사춘기는 끝난다. 돌아온 에반게리온은 소년들에게 그때는 나도 너희들만큼 얄팍했었노라고 담담하게 말한다. “대사가 낯간지럽다고? 이건 원래 그렇게 간지러운 얘기였어. 이제 알 때도 됐잖아?”라고 에반게리온이 속삭이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엄마를 욕망한다는 데 거기 무슨 심오함이 있니??


재해석되고 정리된 캐릭터 속에서 ‘서’에서 유지되던 본편의 이야기는 ‘파’에서 사정없이 무너진다. 이것은 어제 나온 에반게리온에 곧바로 이어지는 듯한 그 에반게리온이되 별도의 에반게리온인 것이다. 부채는 오로지 이런 방식으로만 상환될 수 있다. 아니 부채는 어떤 방법으로도 탕감될 수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우리의 정서가 투사되어있는 그 인물들의 다른 삶을 함께 살아가는 것뿐이다.


그곳에서 레이가 당신을 기다린다.



덧1: 아스카빠 입장에서는 아스카 첫 등장씬의 판치라가 사라진 것, (대신 본편의 -이번 극장판에도 나오는- 어느 장면을 패러디한 대체물이 있다.) 신지와의 “Shall we dance?” 에피소드가 사라진 것이 아쉬울 만도 하다. 하지만 나는 아스카빠가 결집하여 가이낙스를 테러하는데 찬성하지는 않는다. 아스카는 신지와 레이의 캐릭터와 관계를 단순화시키기 위한 훌륭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덧2: “아스카의 비중이 줄어들었다.”는 단언 역시 더러운 레이빠의 뇌내망상에 불과하다고 아스카빠는 우기고 싶다. (근데 십 년이 지났는데 우리가 또 싸울 때는 아니지 않나.) 오히려 아스카는 일종의 ‘남성 판타지’에 해당하는 부분을 신규캐릭터인 마리에 줘버리고 더 담백한 캐릭터가 되어 버린 것 같다. 무슨 캐릭터인지 납득이 된다. 일단은 다음 시리즈에서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아야겠다.

내가 뭐하는 년인지 궁금하면 계속 봐라..ㅇㅋ??


덧3: ‘서’에서도 느낀 것이지만 미사토의 비중을 높인 것은 시리즈에 매우 안정감을 부여하는 요소다. 미사토 자신의 캐릭터도 살뿐더러, 신지와 겐도우의 캐릭터나 관계 역시 매우 잘 해명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파’에서 미사토는 적어도 두 장면에서 나를 울컥하도록 만들었다.


이제 대위가 아니라 중령이랍니다...우훗! 우후훗!!

덧4: 중간에 나오는 동요 BGM 두 번의 연출, 나는 매우 좋았다. 이게 왜 안 좋다는 건지는 좀 납득이 안 감.  


덧5: 아스카의 이름이 바뀐 것은 모두 알고 있겠지? 아야나미 레이, 시키나미 아스카 랑그레이, 그리고 마키나미 마리. 여성 파일럿 이름을 대략 정리정돈(?)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101 서양 윤리학사 : 윤리학 입문 뿐 아니라 철학 입문에도 좋은 교양도서 [1] 하뉴녕 2005-01-08 2551
1100 경제학 3.0 : 우리는 김광수경제연구소를 활용할 수 있을까? [14] 하뉴녕 2010-01-02 2548
1099 [펌] 어느 진보신당 후보와 유빠 친구와의 대화 [6] 하뉴녕 2010-05-20 2536
1098 ‘20대 개새끼론’으로 살펴본 노빠들의 정신분열 [14] 하뉴녕 2009-06-16 2528
1097 [미디어스] 쇠 젓가락 들고 강간하면 무죄? [4] [1] 하뉴녕 2010-12-02 2527
1096 인디다큐페스티벌 2011 하뉴녕 2011-03-23 2517
1095 강준만, 혹은 어떤 무공비급 [1] 하뉴녕 2006-02-07 2501
1094 택신강림 [1] 하뉴녕 2010-07-11 2492
1093 이상한모자 님의 위대한 문답 [2] 하뉴녕 2008-10-23 2483
1092 위키리크스 [18] [1] 하뉴녕 2010-12-01 2468
1091 싫어하는 사람 [4] [1] 하뉴녕 2007-01-20 2467
1090 대세는 패패승승승! [3] 하뉴녕 2010-05-22 2462
1089 블로그에 예측할 걸 그랬다. [4] 하뉴녕 2010-07-08 2447
1088 무상급식 논쟁에서 진보정당이 배워야 할 것 [8] [3] 하뉴녕 2010-02-24 2445
1087 [경향신문] ‘20대 비례대표’ 찬성않는 이유 [1] [1] 하뉴녕 2008-03-12 2444
1086 과학과 과학이 아닌 것? - 아이추판다 님과 노정태 님에게 답변 [5] [1] 하뉴녕 2008-03-20 2431
1085 [경향신문] 음모론 권하는 사회 [9] [2] 하뉴녕 2010-04-17 2415
1084 [펌] 나름대로 분석해본 천안함 침몰 진상 [12] [1] 하뉴녕 2010-04-02 2383
1083 자연주의적 오류와 메타 윤리학 [7] 하뉴녕 2009-07-06 2366
1082 쇼트트랙, 그리고 '사이버 민중주의' [18] [1] 하뉴녕 2010-02-16 2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