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와병 중 마감

조회 수 806 추천 수 0 2009.11.05 15:30:09

감기 5일차, 1일차에 깝죽대다가 2일차에 더 심해지는 것을 겪고 난 후 나흘째 두문불출이다.


신종플루였는지 아니었는지는 모르겠는데, 여하튼 타미플루 처방 안 받고도 몸이 괜찮아지는 중이다. 어제가 그제보다 나았고, 오늘은 어제보다 낫다.


먹고 약먹고 자고 하는 와중에 계간지 마감을 하나 처리했다. 70매 안팎 부탁했는데 쓰고 나니 85매가 되었다. 이 뒤로도 일이 주루룩 밀려 있다. 단행본 편집자들에겐 더 이상 독촉의 전화도 오지 않는다.


글을 쓰던 중 일부 내용이 필요하여 2008년 9월쯤 썼던 A4 35p 가량의 원고를 들춰보았다. 실패한 프로젝트 팀의 유산으로, 결코 어디에도 발표되지 않았던 원고다. 그래도 이 시기에 고민했던 것들이 후에 여기저기서 얘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앞으로도 결코 발표할리 없는 원고겠지만, 내용들은 추려내어 쓸 수 있을 것 같아 메일함에서 노트북으로 파일을 옮겨 놓았다.


사실 원고 자체는 조야하다. 당시에도 여기저기 칼럼같은 건 쓰고 있었을 텐데, 지금 쓰는 글들이 현저하게 더 나아 보인다. (지금도 많이 모자라지만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비교다.) 하긴 그 동안 단행본을 두 권 썼으니까. 지금 쓰는 글들도 일년만 지나고 보면 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지. (낸 책들도 다시 보면 부끄럽다. 근데 나는 그 부끄러움을 감내하는 것이 더 용기있는 일이라 생각하는 편이다.) 긴 글은 짧은 글과는 별도의 수련이 필요한 것 같다, 출판사가 필자 기근이라고 아우성을 치면서도 반짝반짝하는 글을 쓰는 블로거들을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는 것 같다.


칼럼 분량의 글을 쓰다가 단행본 분량의 글을 쓰기 시작하는 것은 확실히 무리가 있는 것 같고, 그 중간에 계간지 원고 같은 것으로 수련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 같은데, 잡지가 다 죽어가는 이 시대에 그러한 수련의 장이 있을리 만무하다. 더구나 출판사는 매년 '단군 이래 최대 불황'을 갱신하는 중이고, 블로거들로선 굳이 그런 수련을 해야 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그런 걸 한다고 뭐가 생기는 것도 아니니까. (여기 산 증인이 있소이다.) 거기에 쓸 노력을 다른데 투입하면 확실히 돈이 더 될 것이다. 이건 책을 쓰고 싶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글이 아니라 작가를 팔아먹는 시대에, 글을 수련한다는 것은 하등 쓸모가 없는 일이다. 책을 내고 싶다면, 글쓰는 연습을 할 것이 아니라 다른 직업을 가지고 자기 스토리를 만들어 나가는 쪽이 낫다.  (물론 이건 아직도 글을 더럽게 못 쓰는 햇병아리 작가의 말이긴 한데, 나보다 잘쓰는 어른들에게 물어봐도 마찬가지 대답을 하니까 믿어도 된다.)


어쩌다 보니 아무에게나 괄시받는 일을 하고 살게 되었지만, 그래도 주어진 일은 해야지 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081 3.3 혁명 1주년을 앞둔 포모스의 풍경 (퍼레이드) 하뉴녕 2008-03-02 2360
1080 송병구가 우승해야 한다. [10] [1] 하뉴녕 2008-03-15 2342
1079 박정석 스타리그 본선 진출 ㅊㅋㅊㅋ [3] 하뉴녕 2010-06-12 2341
1078 [프레시안] 1/n의 폭력은 잊혀진다 : <경계도시 2>를 보고 경악한 이유 [12] [1] 하뉴녕 2010-03-26 2339
1077 자연주의적 오류와 규범 윤리학 [8] [1] 하뉴녕 2009-07-06 2333
1076 진중권 : 조우커의 임무 하뉴녕 2002-12-08 2322
1075 [연합뉴스펌] 인기 여배우 중에는 한씨가 왜 많을까 하뉴녕 2007-03-15 2321
1074 세대론과 X세대 키보드 워리어들 [32] 하뉴녕 2007-09-29 2312
1073 진보담론과 개혁담론의 화해를 위해 하뉴녕 2005-01-05 2311
1072 '투쟁하는 주체'와 '자기계발하는 주체' [2] [4] 하뉴녕 2009-12-21 2308
1071 미네르바 이야기 [30] [1] 하뉴녕 2009-01-20 2303
1070 [작은영화제] 노동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file [7] 하뉴녕 2010-05-24 2294
1069 개혁당 해산이라는 사기극 [1] 하뉴녕 2004-05-03 2282
1068 [경향신문] 진보정당, 활동가의 종언 [6] 하뉴녕 2010-01-16 2276
1067 어제 경기 요약 하뉴녕 2010-06-13 2267
1066 [작가세계] 문필가는 세상을 어떻게 담아내는가? (부분공개) [9] 하뉴녕 2009-07-25 2260
1065 노무현을 떠나보내며, 연재를 시작해보자. [114] 하뉴녕 2009-05-30 2258
1064 서평: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 하뉴녕 2005-01-12 2258
1063 유시민, 강준만, 고종석의 진실게임. 하뉴녕 2003-06-21 2222
1062 [프레시안] 우석훈, 말의 덫에 빠졌다 - [기고] '88만원 세대'가 바라보는 '<88만원 세대> 논쟁' 上 [13] [2] 하뉴녕 2009-02-10 2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