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이건 누구를 비판하려고 하는 건 아니고 '임노동'과 '생산적노동'에 대한 얘기가 계속 나오길래 한국의 현황이 어떤가 한번 찾아보았다. 예전에 한번 소개한 고용조사 홈페이지 에서 쉽게 검색이 가능하다. 2008년 자료다.


산업대분류별 종사자수(천명) 임금근로자비율
농업, 임업 및 어업 1832.9 6.4
광업 22.0 96.8
제조업 3927.9 86.8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87.0 99.3
하수 ·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72.0 90.8
건설업 1799.0 77.4
도매 및 소매업 3618.9 50.9
운수업 1239.0 62.6
숙박 및 음식점업 2005.9 51.6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602.9 91.4
금융 및 보험업 833.9 90.1
부동산업 및 임대업 478.0 66.5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757.0 82.8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1004.0 94.4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845.0 100.0
교육 서비스업 1806.9 83.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873.9 91.3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450.9 59.8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1314.9 55.1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소비 생� 142.9 79.8
국제 및 외국기관 18.0 98.8
합계 23733.9 68.3
 

1) 일단 한국에서 고용인구('일하는 사람들')는 2,373만 3,900명 정도고, 임금노동자는 68.3%, 따라서 비임금노동자는 31.7%다. 비임금노동자 중에선 우리가 '자본가'라고 불러야 할 사람이 포함되어 있겠지만, 압도적인 비율로 자영업자가 많을 테니 그 점은 신경쓰지 않아도 될 게다.


2) 생산적노동이란 게 대충 1차산업과 2차산업을 포괄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여섯번째의 건설업까지를 그것이라 생각해보자. 더해보면 774만 800명 정도가 나온다. 전체 고용인구 대비 비율은 32.6% 정도다. 그러니까 비생산적노동자는 67.4% 정도 된다.


3) 노가다 좀 더 해서 생산적노동에서 임금노동자 수를 계산하면, 117.3 + 21.3 + 3,409.4 + 86.4 + 65.4 + 1,392.4 = 5,092.2 해서 509만 2,200명 정도 된다. 이는 생산적노동자의 65.8% 정도에 해당한다. 즉 생산적노동자의 65.8%는 임금노동자이며, 34.2%는 비임금노동자이다. 농민이야 자영업자 비율이 높은게 당연하지만 85% 이상이 임금노동자인 다른 업종에 비해 건설업의 경우 77% 정도가 임금노동자로 비임금노동자가 많은 편이다. 어쩌면 건설업계의 외주화 바람으로 중소기업 사장 및 영세 자영업자가 많이 늘어난 탓일 수도 있겠다.


4) 비생산적노동자 수를 계산해 보면 1,599만 6,600명 정도, 이중에서 임금노동자 수를 계산하면 1,111만 8,100명이므로, 비생산적노동자 중에서 임금노동자 비율은 69.5% 정도이며, 비임금노동자 비율은 30.5%이다.   


결론 : 임금노동자 대 비임금노동자는 7 대 3, 생산적노동자 대 비생산적노동자는 3 대 7, 소위 '생산적노동자' 중 '임금노동자'만 따진다면 일하는 사람들의 문제 중에서 21.5% 정도가 설명된다. 1/4이 안 되는 거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01 [ARENA] 노무현 2000 / 2010 [6] 하뉴녕 2010-12-10 3884
1200 평양성 : 다시 돌아온 코미디 현실풍자 사극 file [17] 하뉴녕 2011-01-31 3881
1199 프레시안 유지나 교수의 '장자연 사건' 관련 인터뷰 [2] 하뉴녕 2011-03-16 3874
1198 당신과 나의 전쟁 용화사 상영회 file 하뉴녕 2011-06-14 3863
1197 NL의 승리 [24] 하뉴녕 2010-11-27 3853
1196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 교보문고 강연회 file [2] 하뉴녕 2011-06-14 3846
1195 [경향신문] 프로게이머 이윤열의 '명예' 하뉴녕 2010-09-25 3846
1194 당신 인생의 이야기 : 테드 창을 통해 얻어야 할 것 하뉴녕 2004-11-26 3840
1193 아래 은영전 비평에서 빠진 것 두 가지. [34] 하뉴녕 2010-07-29 3830
» 임금노동vs비임금노동 / 생산적노동vs비생산적노동 [4] [1] 하뉴녕 2011-05-19 3823
1191 [펌] 노회찬 토론회 어록 [3] 하뉴녕 2010-05-31 3789
1190 북한의 연평도 군사공격에 대한 각 신문 사설의 반응 비교 [9] 하뉴녕 2010-11-24 3783
1189 '심상정 사퇴'에 붙인 단상 [52] [5] 하뉴녕 2010-05-30 3755
1188 추적 6분, 그리고 천안함 음모론 [37] 하뉴녕 2010-11-20 3750
1187 [한겨레 hook] 누가 김문수의 몽상을 방해하는가? [5] 하뉴녕 2010-07-21 3745
1186 [한겨레hook] 곽노현의 정신혁명, 올바른 개혁의 방법인가. [10] 하뉴녕 2010-11-23 3730
1185 '타블로의 딜레마'에 빠진 조선일보 [26] 하뉴녕 2011-03-15 3717
1184 기륭, "골목에서 만나다" 티저 포스터 file 하뉴녕 2010-10-31 3679
1183 안티조선 운동의 주요 쟁점 하뉴녕 2001-05-22 3679
1182 [딴지일보] 야권연대 파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9] [2] 하뉴녕 2010-04-22 3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