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글쓰기와 권위

조회 수 4267 추천 수 0 2010.01.10 19:48:13


사람들은 정말로 어려운 글을 싫어하고 쉬운 글을 좋아하는가? 내 경험에 한정지어 말하는 것이 허용된다면, 나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건 ‘어려운 글이 자신을 편들어주는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비난하는 글쓰기의 어려움도 내용의 어려움이라기 보다는 ‘누구 편을 드는지를 파악하기 힘든 어려움’이 아니었던가 한다. 가령 ‘이 글은 노무현을 찬양하기 위한 글입니다.’라고 천명하고 시작한다면 어떤 어려운 철학자나 정치학자의 말이 나와도 이해(?)받기는 어렵지 않다. 정치학자들이 쓸모없는 것들로 격하되는 경우는 그들이 민주주의에 관한 이론을 끌어들여 참여정부를 비판했을 때 뿐이다.



지식인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주장하는 것처럼, 세상은 단순하고, 복잡한 건 지식인들의 말밖에 없고, 알아야 하는 모든 것들은 이미 자신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정말로 그렇게 생각한다면, 미네르바에 대한 열광은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가? 자그니는 소넷 등과의 논쟁에서 미네르바 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아주 적확한 어휘를 만들어냈다. ‘우리편 전문가’라는 단어 말이다. 대중이 원하는 것은 우리편임이 확실하며, 뭔가 내가 모르는 맥락으로 상대편의 기를 죽이는 사람이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우리편 전문가’에 대한 열광이 ‘딸딸이’ 이상의 의미를 지니려면, 적어도 전문가는 존재해야 한다. 즉 대중이 알아들을 수 없는 말도 무의미한 소리가 아니라 맥락이 존재하며, 수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지식이며, 세상의 문제를 반영하는 것이라야 한다. 근데 만일 전문가의 지식이 그런 것이라면 그가 내리는 결론이 한 정파의 입장과 온전히 포개질 수는 없을 거다. 만일 어떤 전문가가 ‘우리편 전문가’가 되어 우리편의 입장만을 대변한다 생각해보라. 그의 ‘판단’이 전문가의 판단이라고 믿기는 좀 미심쩍지 않을까? 사실 그는 이미 결론을 내려놓고 있으며, 자신이 내뱉는 말에 별도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내세우고 치장하고 권위의 도구만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념어들을 내뱉는 것이 아닐까?



즉 사람들이 사랑하는 ‘우리편 전문가’는 실은 사람들이 경멸해 마지않는 바로 그 ‘지식인’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가 경멸하는 것은 그 자신의 모습일 뿐, 실제의 지식인은 아니다. 한국인들의 인식체계에는 지식인들이 뭐하는 종자인지에 대한 고려 자체가 없다. 그런 면에서 한국의 지식인들은 철저하게 무력하다고 봐야 할 거다. 그리고 그 무력함을 타파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은 ‘우리편 전문가’를 사랑하는 이들에 의해 “자신을 내세우고 치장하고 권위의 도구만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념어들을 내뱉는” 타락한 지식인으로 규탄받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41 [기획회의] 책도둑의 욕망 [18] 하뉴녕 2010-11-15 4597
1240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 출간 [32] [2] 하뉴녕 2011-04-18 4583
1239 "그냥 압니다"와 '방법적 신뢰'의 문제 [9] 하뉴녕 2011-06-06 4578
1238 [경향신문] ‘소통’ 안보이는 정치인 트위터 [10] 하뉴녕 2010-12-31 4568
1237 안병진의 예측과 박근혜 문제 [16] 하뉴녕 2011-05-08 4566
1236 황신께서 등짝의 기록을 방어하다 [2] 하뉴녕 2010-06-29 4555
1235 [자음과 모음R] 인터넷 토론, 어떻게 할 것인가? [9] 하뉴녕 2010-12-08 4534
1234 인식의 문제와 실천의 문제 : 누가 마르크스를 우습게 만드나? [15] 하뉴녕 2011-06-05 4520
1233 하지만 자기계발의 영역에서도 담론투쟁이 필요하지 않을까? [20] [3] 하뉴녕 2010-01-31 4500
1232 마감의 영원회귀 [5] 하뉴녕 2007-05-02 4403
1231 [경향신문] 지식소매상 유시민의 'SSM 꿈' [5] 하뉴녕 2011-03-26 4388
1230 소통 [12] [1] 하뉴녕 2010-08-14 4335
1229 [경향신문] 비둘기와 매의 시간 [13] 하뉴녕 2010-11-26 4326
1228 목수정을 옹호하지 않는 이유 [28] [3] 하뉴녕 2009-04-04 4298
1227 <안티조선 운동사>, 출간 [36] [1] 하뉴녕 2011-01-03 4292
1226 군대에서 영어 몰입 교육을? [17] 하뉴녕 2008-02-07 4278
1225 [경향신문] 표만 훔쳐가지 말고 정책도 훔쳐가라 [6] 하뉴녕 2010-05-22 4269
» 글쓰기와 권위 [33] 하뉴녕 2010-01-10 4267
1223 조선일보의 자존심 [9] [1] 하뉴녕 2010-11-04 4264
1222 [펌] 한국의 저축률 하락에 대한 외신의 우려 [4] 하뉴녕 2009-08-05 4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