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습니다.

조회 수 886 추천 수 0 2009.05.14 21:48:05

심형래 사기 무혐의..'디워',170억원 적자

[ⓒ '글로벌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쿠기뉴스는 서울 남부지검 형사2부가 영화제작비 마련을 위해 돈을 빌렸다가 제때 갚지 못해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심형래 영구아트 대표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고 1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검찰 조사 결과 제작비 300억원을 들인 블록버스터 영화로 미국에까지 진출하는 등 한국 영화의 성공사례라고 평가받았던 심형래 감독의 ‘디워는 사실 170억원의 적자를 본 것으로 밝혀졌다.

검찰은 "씨가 돈을 빌릴 당시 S사에 충분한 담보를 제공했고 결과적으로 ‘디워’가 기대한 만큼의 성공을 거두지 못해 돈을 갚지 못한 점, 차후 남은 채무를 갚겠다는 의지가 있는 점 등을 참작해 무혐의 처분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심 대표는 영화 ‘디워’를 제작하던 2004년 1월28일 제작비 마련을 위해 시멘트제조업체인 S사로부터 40억원을 빌린 뒤 2006년 8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25억원을 갚았으나 나머지 15억원을 갚지 못해 고소당했다.

<인터넷 뉴스팀>

{ⓒ '글로벌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http://www.bignews.co.kr/news/article.html?no=204531
[빅뉴스/변희재] '디워' 매출 1억불, 낡은 지식인에 파산선고, 2008. 2. 8

--> 미국 시장에서 수익을 못 거두고 적자의 늪을 헤매는 그 와중에 이딴 기사를 써댔음. "디워 적자 170억원, 산수 못하는 듣보잡에게 퇴장판정"으로 바꿔야



"영화는 상품일 뿐이다. <디 워>는 상품으로써 위대하다. 고로 <디 워>는 위대하다."는 맹구같은 논리에 대한 일침. <디 워>는 시장주의의 관점에서 볼 때, 아직 손익분기점의 절반에도 도달하지 못한 실패한 상품이다. 800만 관객 운운하며 사이즈를 자랑하는게 우스운 건 그 때문이다. <디 워>는 나머지 손실을 미국 시장에서 보충할 수 있을 거라고 주장하는데, 그건 아직 미래의 일이다. 벌써부터 상품으로써 탁월하고 어쩌고 할 일이 아니라는 거다. 이런 상식적인 논지에서 부정당하면, 상품론자들은 다시 '상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언급하기 시작하는데, 만일 그렇게 말하려면 다시 헐리우드 블록버스터들과의 비교를 감수해야 한다. '가능성'이란 건 원래 그렇게 평가해야 하는 거니까. (다른 방법 있나?) "(한국의 방학시즌에 맞춘) 어린이 영화일 뿐이다-." "상품으로써의 가능성을 보자는 것이다-." 두 개 중 하나만 골라라. 그리고 두 개 중 뭘 고를지라도, "너는 이미 죽어 있다."  전자를 택하면 그것이 실패한 상품이라는 사실에 직면하게 되고, 후자를 택하면 그것이 헐리우드 것들에 비해 질이 나쁘다는 진실에 맞닥트리게 되니까. 그래서 고르기 싫은 건 알겠는데, 그렇다고 둘다 고르겠다고 우겨선 안 되지. 달걀을 후라이로 먹으면서 동시에 병아리로 키울 수는 없는 법이다.
http://yhhan.tistory.com/436
한윤형, "타인의 취향", 2007. 8. 30

-> 미국 시장 개봉 전에 이미 할 소리를 다했음.  


미국 수익이 한심한 것으로 판명된 뒤에도 수익률이 아니라 수익금 총액을 들이밀며 역사상 최초의 와이드 릴리즈니까 인정해야 한다는 둥... (니들은 10억들여 15억 버는 사업가보다 100억 들여 20억 버는 사업가가 훌륭해 보이냐?)

2차 판권 시장이 아직 남아 있으니 기다려 보라는 둥... (수익률이 낮은데 2차 판권 수입은 하늘에서 떨어지냐?)



이미 백만년 전에 다 논파해줬건만 바락바락 우기면서 듣지 않았고...


아무리 기다려도 빚은 줄어들지 않고...


어둠 속에
진실을 숨겨 보지만... 


채무관계라는 자본주의의 찬란한 빛이 그네들의 목덜미를 잡고 끌어내는데......

 

우파라는 놈들이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구라빨 사업가를 옹호하는 나라라니...참 웃겨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 [황해문화] 루저는 ‘세상 속의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22] 하뉴녕 2011-07-15 24059
36 <안티조선 운동사>, 닫는글 : 다시 언론 운동을 꿈꾸며 [1] 하뉴녕 2011-01-20 8308
35 '세대론' 관련 글 정리 [9] 하뉴녕 2010-11-08 5241
34 잘못된 서사 [89] 하뉴녕 2010-08-24 11848
33 김규항의 진중권 비평에 대해 [39] [1] 하뉴녕 2010-08-17 7157
32 [문화과학] 월드컵 주체와 촛불시위 사이, 불안의 세대를 말한다 [13] [1] 하뉴녕 2010-07-30 7001
31 [레디앙] 미안하다, 조선일보! 우리가 무능해서... [9] [2] 하뉴녕 2010-05-14 8097
30 노회찬, 조선일보, 그리고 한국사회 [11] [3] 하뉴녕 2010-03-12 4105
29 강준만 한겨레 칼럼 “이명박 비판을 넘어서”에 부쳐 [21] [1] 하뉴녕 2010-01-18 4181
28 [프레시안] 20대의 자기인식이 시작 되다 - 연세대학교 개청춘 상영회 후기 [10] 하뉴녕 2009-10-05 3021
27 [딴지일보] 변희재의 논변 검증 (2) - 논객으로서의 진중권의 능력 검증에 대해 [5] 하뉴녕 2009-09-18 3328
26 ‘정당화’가 필요 없는 사회에서 정치평론하기 [30] [1] 하뉴녕 2009-09-17 2120
25 [딴지일보] 변희재의 논변 검증 (1) - 강의자로서의 진중권의 능력 검증에 대해 [14] 하뉴녕 2009-09-09 11977
24 [딴지일보] 변희재 요정설 [16] [1] 하뉴녕 2009-09-03 3237
23 [펌] "키보드워리어 진중권!" 최종화 : 희망을 가슴에 [35] [2] 하뉴녕 2009-06-11 3498
22 변희재 [14] [1] 하뉴녕 2009-06-09 1090
»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습니다. [29] [2] 하뉴녕 2009-05-14 886
20 [미디어스] 촛불시위와 세대론 - 왜 세대론이 우리를 괴롭히는가? [13] 하뉴녕 2009-05-03 4004
19 소위 ‘20대의 목소리’란 것에 대해 [29] [4] 하뉴녕 2009-02-21 2017
18 [프레시안] "변희재, 진중권이 아니라 '<조선> 386'과 싸워라" - [기고]'88만원 세대'가 바라보는 '<88만원 세대> 논쟁'(下) [21] [1] 하뉴녕 2009-02-11 3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