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조선일보 문제와 ‘극우 헤게모니’론

조회 수 1033 추천 수 0 2009.01.31 12:34:49


*책 저술을 위해 안티조선 운동을 회고하다가 쓰게 된 짧은 논술문입니다.


조선일보를 문제 삼는 이유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공정성과 도덕의 관점, 그러니까 조선일보가 사안을 공평하게 다루지 않고 자신들의 정치적 입맛에 따라 왜곡보도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하나는 이념의 관점, 그러니까 조선일보가 극우적인 이념을 말하고 있기 때문에 민주주의 사회에서 배격되어야 할 언론이라는 시각이 있다. 

 
강준만 교수의 경우 1995년 출판된 그의 베스트셀러 <김대중 죽이기>를 통해 조선일보의 문제를 처음으로 제기했다. 이 시점에서 그의 문제의식은 전자에 있었을 것이다. 김규항의 말대로 ‘조선일보 문제’는 “강준만이라는 한 자유주의자가 발견한 문제”다. 하지만 일단 이 문제가 발견되자 이념적인 층위가 생겼다. 1998년 월간 <인물과 사상>을 창간할 무렵, 강준만은 ‘조선일보 반대 투쟁’의 당위성을 다음과 같이 선포했다.


1. 사상으로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
2. 제도로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
3. 극심한 남북대결구도를 청산, 전쟁방지를 위해서
4. 국가안보를 위해서
5. 군사독재정권 유산의 청산을 위해서
6. 지역분열주의를 청산하기 위해서
7. 공적기관이 사회적 책임을 지는 풍토를 정착하기 위해서
8. 언론인 개개인이 최소한의 윤리적 책임을 지는 풍토를 정착하기 위해서
9. 경제 정의 실현을 위해서
10. 엘리트 계급의 사회적 책임을 묻기 위해서

 
이러한 토양 위에서 좌파지식인인 홍세화나 진중권이 최장집 사건으로부터 안티조선의 논리를 구성할 때, 그들은 조선일보의 ‘사상검증’(이라고 쓰고 ‘빨갱이 사냥’이라고 읽는다.)이라는 부분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고, ‘수구 기득권’ 정도의 명칭을 가지고 있었던 조선일보에게 ‘극우’ 혹은 ‘파시즘’의 딱지를 붙이게 되었다.
 

이런 식의 딱지붙이기는 즉각적인 반박논리에 직면하기 쉽다. 반박논리중 하나는 운동의 원칙에 관한 것으로, ‘사상의 자유’를 지키겠다고 일어난 안티조선 운동이 조선일보의 ‘사상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다른 반박논리는 상황판단에 관한 것으로, 유독 조선일보만을 극우파로 몰아붙일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이냐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선일보가 극우적이며 그에 대한 비판에 동의한다 하더라도, 조선일보 지면이 언제나 극우적인 것은 아닌데 ‘조선일보를 활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냐는 식의, 운동 전략에 대한 문제제기가 가능하다. 이는 조선일보의 이념에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그 신문에 기고하던 지식인들이 자주 하던 말이다. 
 

첫 번째 문제를 논리적으로 재구성해본다면 다음과 같다. 1) 조선일보는 좌파(라고 쓰고 조선일보를 싫어하는 정치인들이라고 읽는다.)를 반대한다. 2) 안티조선운동은 그러는 조선일보를 반대한다. 그런데 왜 1)은 잘못된 일이고 2)는 잘하는 짓일까? 만일 1)과 2)가 동일한 층위에 있다면, 안티조선 운동은 성립할 수 없다. 왜냐하면 1)이 잘하는 일이라면 2)의 근거가 없기 때문이고, 1)이 잘못하는 일이라면 2)도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해서 “조선일보의 사상이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가령) 최장집을 마녀사냥 하는 과정에서 사실을 왜곡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할 수도 있다. 이것은 실천적으로는 훌륭한 답변이다. 왜냐하면 김영삼 정부의 김정남, 한완상이나 김대중 정부의 최장집은 객관적인 시각으로 볼 때도 ‘좌파’로 보기는 힘들었고, 조선일보는 이들을 낙마시키면서 정권의 개혁을 저지하거나 지연시키려고 했기 때문이다. 언론권력이 사태를 기술하고 판단하는 차원을 넘어서, 일종의 정치권력 집단처럼 정부를 좌지우지하려고 했다는 점을 설명한다면, 조선일보의 문제 자체는 어렵지 않게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식의 설명은 a) 만일 그들이 진짜로 좌파였다면, 사상검증이 정당한 것인가? b) 극우파의 사상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하는가? c) 다른 언론들도 (상대적 차이는 있을지언정)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그렇게 하지 않는가? 라는 파생되는 질문들에 답변할 의무를 비켜간다.      
 

c)에 대해서 안티조선 운동 진영은 대개 이렇게 답해왔다. “조선일보만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조선일보는 한국 언론의 문제를 가장 잘 드러내고 있고, 게다가 가장 영향력이 큰 언론이기도 하다. 조선일보를 향한 비판은 다른 언론들에 대한 경고의 효과도 있다.” 그럴 듯하다. 하지만 만일 이것만이 ‘안티조선’의 이유라면, 시민단체 수십 개가 모여 ‘조반연’을 결성할 근거로는 조금 빈약하다. 게다가 그 후 안티조선의 역사는 ‘다른 언론들에 대한 경고의 효과’를 실천적으로 반증했다. 안티조선 운동 초기 중앙일보와 동아일보는 이 운동을 자신들의 사세확장에 활용할 궁리를 조금은 했던 것 같다. 만일 그런 기조가 이어졌다면 운동은 꽤나 수월해졌을 것이다. 하지만 김대중 정부의 세무조사는 ‘조중동’ 3사를 밀착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때부터 중앙 동아는 안티조선 운동에 줄곧 적대적이었다. 한편 개혁성향의 언론사들은 언제부터인가 조선일보와는 반대 방향으로 자신들의 정치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기 시작했다. 2002년 대선정국에서 참여정부 임기 말까지 한겨레신문은 색깔의 문제를 넘어 노무현의 지지자들을 감성적으로 규합하려는 의도를 가진 보도를 했던 것이 사실이다. 심지어 오마이뉴스의 경우 조선일보보다도 더 선동적인 보도를 일삼았다. 물론 자유로운 글쓰기가 가능한 인터넷매체인 오마이뉴스를 조선일보와 동등한 잣대에서 비교하는 것이 적절한 일은 아니겠지만 말이다. 이러한 기타 언론들의 ‘꼬마 조선일보화’는 안티조선 운동 이후 언론개혁의 전망을 더 어둡게 만들었다. 즉 ‘일등신문 책임론’은 논리적으로도 그리고 실천적으로도 안티조선 운동을 정당화시킬 논변으로는 빈약하다.     
 

‘사상의 자유’를 지키겠다고 일어난 안티조선 운동이 조선일보의 ‘사상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위의 답변은 분명 논리적 난점이 있다. 그 난점을 “왜곡보도에 있어 조선일보의 상대성 문제”라고 이름 지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유독 조선일보만을 극우파로 몰아붙일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이냐는 의문을 “극우이념에 있어 조선일보의 상대성 문제”라고 표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선일보 지면을 활용해서 조선일보의 이념을 약화시키는 것이 어째서 불가능한 것인가를 묻는 “조선일보 내부의 상대성 문제”라는 것도 존재한다. 강준만은 90년대에 조선일보에 기고하는 좌파지식인들을 비판하고 있었다. 그것은 당시 조선일보가, 정부에 들어간 ‘가짜 좌파’들은 사상검증으로 색출하면서도, 자신들의 문화면에는 ‘진짜 좌파’를 포용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래서 좌파들은 조선일보 지면을 통해 자신들의 생각을 알리고 이를 통해 오히려 한국 사회의 보수성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고 강준만에게 항변할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난점을 총괄하여 “조선일보의 상대성 문제”라고 부르기로 하자. 이 문제를 돌파하여 시민들에겐 조선일보 절독을 권유하고 지식인들에겐 조선일보 기고/인터뷰 반대를 요구할 수 있는 논변으로 무엇이 가능할 것인가.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한 것이 바로 홍세화의 ‘극우 헤게모니’론이었다. 홍세화와 진중권, 두 유럽파 좌파 지식인은 ‘극우’라는 개념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을 제시했다. 그것은 90년대 내내 강준만이 홀로 수행했던 ‘조선일보식 사상검증’에 대한 분석과 비평에 날개를 달아주는 것이었다. 극우라는 것은 이제 ‘사상의 자유’를 용인하지 않는 세력을 의미했다.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선 모든 종류의 사상이 용인되었다. 단, 특정한 사상을 용인하지 않으려는 사상을 빼고. 홍세화는 똘레랑스론을 말하면서 “앵똘레랑스 세력에게는 똘레랑스를 보여주지 않는다.”라고 단언했고, 진중권은 “사상의 자유를 용인하지 않는 이들에겐 사상의 자유를 인정할 수 없다.”는 어느 법철학자의 주장을 논거로 가져왔다. 이 단서 조항은 한국의 보수주의자들이 논하는 “반공으로서의 자유민주주의”가 아니라 “개념적 의미의 자유민주주의”를 복권시키는 것이었다. 즉, 극우를 배격한다는 의미에서의 안티조선 운동은 반대자들이 말하듯 부정적 규정을 유포하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한국의 국가이념이 부정적 규정(=반공, 안티 코뮤니즘)에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고 그것을 적극적 규정으로 바꾸어 나가야 한다는 의지가 담긴 운동이었다. 이를 통해 조선일보의 사상검증과 안티조선 운동 진영의 ‘조선일보 반대’는 전혀 다른 위상을 지니게 된다. 
 

물론 형식논리로 끝까지 파고 들어가 보면 여기에도 논리적 난점은 있다. 하지만 그 난점은 안티조선 진영의 난점이 아니라, 자유민주주의 체제 자체에 내재한 난점이다. 민주주의 체제는 기본적으로 ‘많은 이들이 민주적으로 민주주의 체제를 전복할 가능성’을 배제하고 한다.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을 히틀러의 나치당이 ‘민주적으로, 그리고 합법적으로’ 전복한 이후부터는 말이다. 이 배제의 원칙이 드러내는 건 민주주의가 회피하고자 하는 어떤 곤혹스러움이다. 만일 내가 자유민주주의자가 아니라면, “모든 종류의 사상의 자유를 보장한다. 단, 사상의 자유를 배격하는 사상의 자유만은 제외하고.”라는 원칙에 담겨 있는 자의성을 비웃을 수 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이것은 “자유민주주의의 이름으로” “친북좌파를 비판한다.”고 말하는 한국의 보수주의자들이 취할 수 있는 논리는 될 수 없다. 그것은 실천적인 의미에서는 왕당파나 공산주의자, 이론적인 차원에선 민주주의 자체의 한계를 논하는 정치철학자나 제기할 수 있는 의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에 대한 안티조선 진영의 대답은 이 정도로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헤게모니’ 이론은 홍세화가 이탈리아의 유명한 좌파지식인 안토니오 그람시로부터 가져온 것이다. 홍세화는 그람시가 좌파들에게 주문한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위한 전략인 ‘진지전과 기동전’을 조선일보가 차용하고 있다고 보았다. 즉, 조선일보는 평소에는 보통의 보수주의자들과 비슷한 포지션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진지전’ 상태에 있다. 하지만 정치적인 필요가 생길 때 조선일보는 ‘기동전’의 상태로 들어가 사상검증의 총력전을 펼친다. 이 이론은 조선일보의 정치적인 행동을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했다. 강준만과 민언련이 지적했듯이, 조선일보는 언제 어느 때나 ‘진보 인사’들을 좌파로 모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필요가 생길 때에만 그렇게 했기 때문이다. 진지전과 기동전으로 조선일보의 행동을 설명하게 되면 남아 있는 ‘조선일보의 상대성 문제’들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왜 평소에는 중앙일보나 동아일보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이는 조선일보만을 가려내어 비판할 수 있는가? 조선일보와 기타 신문의 차이를 보지 못하는 것은, 조선일보가 ‘진지전’ 상태일 때만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조선일보의 본질을 진지전 상태의 행동으로 파악하는 것은 그들의 정치적 책동에 놀아나는 일이다. 왜 좌파들의 이론을 수용하는 조선일보의 문화면을 활용하는 것은 이롭지 못한 일인가? 그것 역시 조선일보의 진지전에 놀아나는 일이기 때문이다. 사실 강준만이 지적했듯 조선일보는 좌파 인사들이 자신들에게 결정적으로 반하는 정치적 주장을 하는 것을 용인한 일이 없다. 즉, 조선일보는 자신들의 극우성을 말랑말랑하게 하는 문화적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좌파지식인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처럼 극우 헤게모니론을 응용한다면 ‘조선일보의 상대성 문제’들에 대한 일관적인 설명이 가능하다. 마침 ‘최장집 사건’의 진행과정은 홍세화의 이론을 뒷받침했다. 과거와는 달리 1998년의 시점에서 ‘사상검증’은 조선일보만의 것이 되었기 때문이다. 1998년, 조선일보는 잠시 왕따가 되었다. 중앙일보의 대표적인 논설위원 권영빈이 조선일보의 행동을 ‘메카시즘’이라 칭하며 정면으로 비판했을 정도였다. 홍세화의 논리는 그러한 시대적 배경 위에 서 있다. 
 

초기 안티조선 운동 진영의 논리들은 이러한 홍세화의 이론의 토대 위에서 발전했다. 이 틀 위에서 주어진 자료들을 해석하고, 안티조선 운동에 반대하는 지식인이나 네티즌들의 의견에 반론하는 것이 그들의 활동이었다. 그리하여 안티조선은 언론운동이지만 정치운동보다도 더 정치적인 운동이 되었다. 그것은 자유민주주의를 옹호한다고 말하는 한국의 보수주의자들이 실은 자유민주주의의 적이라는 사실을 폭로하는 운동이었다. 그 사실을 공유하는 한, 이 운동에 참여하는 이들의 정치성향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홍세화는 좌파든 우파든 ‘공화국’의 룰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함으로서 ‘좌파들은 반체제세력’이라는 한국 보수주의자들의 부당한 통념을 직격했다. 반면 김규항과 같은 좌파는 안티조선 운동에 참여했지만 기본적으로 이 일이 “우파들의 일을 거들어주는 것”이라 생각했다. 어쨌든 이러한 논리 위에서 여러 성향의 지식인들과 시민들이 참여한 안티조선 운동은 2001년 무렵, 가장 행복한 형태의 ‘무지개 연대’를 꾸리게 되었던 것이다.


 


zeno

2009.02.02 12:25:14
*.229.53.197

혹시 이 글 블로그에 퍼가도 될까요?

하뉴녕

2009.02.02 12:27:46
*.108.31.38

출처만 밝혀 주시면 안 될 이유가 어디 있겠습니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 김규항과 입진보가 만났을 때 일어나는 일들 [36] 하뉴녕 2009-05-11 2195
50 정치적 판단과 참여의 방법론에 대한 서툰 문답 [10] 하뉴녕 2009-04-28 739
49 상상마당 포럼 6회 대중비평 시대의 글쓰기 09. 4. 18 file [3] 하뉴녕 2009-04-25 1223
48 이택광과 칼 폴라니 논쟁, 그리고 독해의 문제 [28] [3] 하뉴녕 2009-04-15 3282
47 “돌출 행동을 수습하는 방법에 대하여” 비평 [69] [4] 하뉴녕 2009-04-09 1198
» 조선일보 문제와 ‘극우 헤게모니’론 [2] 하뉴녕 2009-01-31 1033
45 [찌질한 이벤트] 책 제목을 공모합니다. file [122] 하뉴녕 2009-01-23 1086
44 미네르바 이야기 [30] [1] 하뉴녕 2009-01-20 2303
43 정말로 미네르바 밖에 없는가? [19] [2] 하뉴녕 2008-11-21 1195
42 [교양강좌:글쓰기] “키보드 워리어가 전하는 청춘의 문법” file [4] 하뉴녕 2008-11-10 825
41 [책소개] MBC를 부탁해 file [2] 하뉴녕 2008-08-02 806
40 그래프 오타쿠의 정치평론 [18] 하뉴녕 2008-04-19 1176
39 '단호한 글쓰기'로 진실을 호도하기 [21] [2] 하뉴녕 2008-04-15 852
38 과학과 과학이 아닌 것? - 아이추판다 님과 노정태 님에게 답변 [5] [1] 하뉴녕 2008-03-20 2429
37 송병구가 우승해야 한다. [10] [1] 하뉴녕 2008-03-15 2342
36 이번 주 씨네21 원고 외 [45] 하뉴녕 2008-03-03 821
35 블로그에 쌓여 있는 글들은 [20] 하뉴녕 2008-02-29 892
34 지존 키워 진중권의 전투일지 [20] [2] 하뉴녕 2008-02-28 2860
33 [펌] 김택용 vs 김준영 in 백마고지 Review. / 흥야 [3] 하뉴녕 2008-02-21 1090
32 문어체 소년의 인용구 노트 - 8 언젠가는? [1] 하뉴녕 2008-02-21 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