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예상했던 것보다

조회 수 793 추천 수 0 2008.04.10 16:38:33

기분이 나쁘지 않다. 50만표라니. 2.94%라니. 만든지 3주밖에 안 되는 당인데. 마지막에 사람들이 미쳤었던 거다. 총선 직전 사흘 동안 노사모가 진보신당 당원들에게 빙의했다. ㅡ.,ㅡ;;


그래도 이기지 못하니, 이래서 좌파들은 후천성 감성 결핍자가 될 수밖에 없는 듯도 싶다. 그것 자체도 크게 나쁘지는 않다. 뽕맞고 열심히 해서 너무 좋은 결과가 나오면, 그 다음부터 이상한 일이 벌어지는 수가 있다.


이글루스 돌아다녀보니 승리의 NL, 패배의 PD라는 분들이 있던데, 물론 의석수만 보면 그렇게 보일 수 있겠지만, 나는 이번엔 PD가 NL을 이겼다고 생각한다. 서울지역 정당투표율이 진보신당 4.04% vs 민주노동당 3.87%였다. 내 눈으로 보고도 믿을 수가 없다. 그래도 8년 역사의 민주노동당인데 말이다. 민주노동당 후보와 진보신당 후보가 같이 나온 10개의 선거구 중 8곳에서 진보신당 후보는 민주노동당 후보보다 많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건 애초에 민주노동당이 일부러 진보신당과 겹치는 지역구에 그 지역과 상관없는 후보들이라도 밀어넣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망할 것들. 하여튼, 머리털나고 처음으로 NL을 이겨봤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


어쨌든, 이번 총선의 유일한 의미는, 강기갑의 당선이다. 친박연대가 지원해줬고 아니고를 떠나서, 농민 후보가 농민 지역에 출마하여 농민의 이름으로 당선되었다는 사실 자체의 의미가 너무나도 크다. 민주노동당 후보지만 축하를 보내고 싶다.


총선 며칠 전부터 0석의 공포에 떨었다. 그때 떨었던 만큼 지금 떨고 있진 않다. 어제 술마시면서 다 털어 버렸다. 인터넷 방송 뒷풀이 때 진중권이 나한테 0석 나와도 괜찮다고, 충분히 해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제는 나도 그 말을 믿는다.


새로 생길 진보정당의 적은 민주노동당은 물론 아니요, 민주당도 아니요, 심지어 한나라당조차 아니다. 그 적의 이름은 냉소주의다. 이 싸움은 앞으로도 계속될 거다. 이명박이 우리를 도와줄 것이다. 진보정당의 전망은 어둡지 않다.





P.S
진보신당 인터넷 방송을 통해 유명해진  '박정희각하'가 디시 진중권 갤러리에 "중권이 형. 나 배신 안했음."이라고 적었다. 정당투표 13번 찍었다는 얘기였다. 그 게시물 보고 그냥 눈물이 좔좔 흐르더라. 어제 딱 한번 흘린 눈물이었다.




 


노정태

2008.04.10 16:43:16
*.162.212.41

진중권은 박각의 멘토.

낮달

2008.04.10 16:46:20
*.32.66.42

2.94%. 이번 총선은 '간발'의 차로 지역구도 전국구도 놓쳤네요. 하지만 아침에 13번 찍어 놓고 나오면서도 1%가 될까 싶었는데, 정말 생각 외군요. 이제 진보신당은 당분간 원내에서는 딱히 할 일이 없으니, 거리에서 많이 뵈어야 할 것 같군요...;

erte

2008.04.10 16:58:38
*.49.62.135

그간 애쓰셨고 수고하셨어요. 0.06%가 아쉽지만, 어쨌든 2%를 넘어선 것은 큰 소득일 듯 하네요.

Jocelyn

2008.04.10 17:10:02
*.246.187.134

나도 배신 안해뜸....

진보신당 화이팅

2008.04.10 17:18:07
*.109.36.114

마지막 각하 얘기에 저도 눈물이 나오려 하네요. 해외에서 사양 떨어지는 컴퓨터라 그 방송은 못봤지만 님블로그에선지 어디선지 그에 대한 기사 읽었었거든요.
변변한 정당 광고 한번 못낸거 같은데 아쉽지만 대단한 성적이라 생각해요
오늘도 여기 몇몇하고 선거얘길 했었는데 모두 자기와 무슨 상관이냐는 반응이더군요
내집값 오르기만, 내 자식 특목고 가기만 바라더군요 모두들 돈에 귀신 들린 느낌이었지요

진보신당이 있어 다행이라 생각하고 당원 가입했습니다
수고 많으셨네요 모두들

whistle

2008.04.10 20:24:36
*.140.217.194

싸워야 할 적은 냉소주의! 콱 와닿습니다.

N.

2008.04.11 05:27:18
*.88.216.139

윤형님스럽지 않은 글을 본 것 같은 느낌입니다. 흐흐
뭐랄까, 이런 글은 언제나 감상적이고 흥분하기 좋아했던 저같은 사람이나 쓸 만한 글이란 생각이.

심장은 왼쪽에

2008.04.11 13:15:56
*.247.188.151

어려운 한 걸음을 잘 내디뎠다고 생각합니다. 멀리서나마 쭈욱 지원하겠습니다.
(아흐리만님 글들 읽으면서 느낀 바가 많은 사람이 한둘이 아닙니다. 더 부지런히 글 좀 써주셈.^^; )

김대영

2008.04.20 22:09:24
*.47.93.111

진보신당... 이제 정말 제대로 해볼 수 있겠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1 파리 쫓는 기계 file [21] 하뉴녕 2010-05-10 5847
80 친노와 진보신당 [27] 하뉴녕 2010-05-16 5882
79 [펌] PD수첩 방영 보류에 대한 단상 / 이상한 모자 하뉴녕 2010-08-20 5887
78 블로그 글도 고칠 수 있다면 [15] 하뉴녕 2009-07-17 5904
77 라캉 정신분석과 비평의 문제? [83] [3] 하뉴녕 2010-12-11 5911
76 정권을 길들이기 위한 파업. 하뉴녕 2003-06-24 5918
75 [딴지일보] '반MS단일화', 그 남자와 그 여자의 사정 [37] [1] 하뉴녕 2010-04-19 6050
74 박가분에게 답함 [15] [1] 하뉴녕 2011-02-15 6102
73 슈리/박가분 재비판 (2) - 노동계급, 맑스주의의 아포리아? [21] 하뉴녕 2011-05-25 6125
72 글쓰기의 가독성과 글쟁이의 밥그릇 [25] [2] 하뉴녕 2010-12-16 6201
71 진보신당의 쩌는 위엄 [29] 하뉴녕 2011-02-23 6274
70 좌파에 대한 자유주의자의 예의? 그리고 진보정당의 문제 [33] 하뉴녕 2010-08-20 6312
69 2001년 8월-10월 : 박용진-강준만-주대환의 비판적 지지 논쟁 [57] 하뉴녕 2011-05-26 6647
68 ‘나는 다르다’고 믿는 자의식에 대해 [112] [5] 하뉴녕 2010-04-01 6655
67 정치평론에서의 초월적 논증 [40] [1] 하뉴녕 2011-01-15 6667
66 [문화과학] 월드컵 주체와 촛불시위 사이, 불안의 세대를 말한다 [13] [1] 하뉴녕 2010-07-30 7004
65 [성심교지] 대학생, 지방선거에서 무엇을 고민할 것인가 [3] [2] 하뉴녕 2010-06-01 7040
64 개혁, 혹은 고통의 평등주의 [12] [4] 하뉴녕 2011-04-15 7132
63 진보정당 독자노선론 정리 (1) - 연합정치론의 불가능함에 대해 [36] 하뉴녕 2010-08-28 7154
62 김규항의 진중권 비평에 대해 [39] [1] 하뉴녕 2010-08-17 7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