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드라마틱 25호에서 박원국은 <경성스캔들>의 주요 등장인물들이 독립운동의 머리띠를 두르고 등장한 순간 그 시대의 무게감에 짓눌리지 않고 로맨스를 말하려는 초반의 도발적인 질문은 사라지고 말았다고 썼다. 맞는 말이다. 그는 명확히 이수현(류진)이 애물단의 수장으로 나타나는 11화를 지적한다. 그 순간 이 로맨스물의 남주 1,2와 여주 1,2는 모두 독립투사가 되었기 때문이다.


‘모던’이란 말이 유행했던 1930년대라는 공간을 일제의 강압과 독립운동 세력의 저항이라는 민족주의 도식을 넘어서 그려내려는 시도는 요즈음의 트랜드라고 볼 수 있다. <경성스캔들>은 그리고 드라마쪽에서 그 트랜드를 대변하려는 작품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종영된 지금은 이 드라마가 ‘일제의 강압과 독립운동 세력의 저항’을 벗어났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사람들은 탈이념의 시대를 말하고 이념에 포섭되지 않는 일상사를 중시하겠다고 말하지만, 일제시대에 그러한 잣대를 들이대기엔 좀 문제가 있다. 민족주의 담론을 비껴나서 1930년대 경성의 풍경을 담는다고 치자. 그 거리의 ‘때깔’을 표현하고, 그 공간에 사는 사람들은 사실 극소수의 독립운동가를 제외하면 시대와 상관없이 살고 있었다고 치자. 이런 시각은 가령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런데 그 논쟁이 제기되는 것 자체만으로 사람들이 불쾌해하는 사회라면 어떻게 될까. <청연>이 친일파 논란에 휘말려, 혹은 논란 이전에 이미 대중의 무관심에 사라져 갔던 것을 생각해 보라.


일제시대에 일본어를 한다는 것은 물론 힘 있는 이들의 친구가 되고 싶다는 욕망을 드러낸 행위일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그것은 전근대 사회인 조선에서는 접근할 수 없었던 어떤 보편성의 맥락에 진입하기 위한 행위였을 수도 있다. 독립운동가들도 사상토론을 하기 위해서는 조선어를 멈추고 일본어를 쓸 수밖에 없었다고 하는데, 이는 물론 당시의 조선어에는 학술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개념어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사례는 노정태로부터 들었다.) 그리고 친일파 지식인의 정신세계엔 아마도 두 개의 맥락이 혼재되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사람들은 두 개를 분리하지 않고 뭉뚱그려 ‘친일’에 대한 불쾌감을 표현한다. 그것이 더 편하기 때문이다. 그것을 구별하다 보면, 뭔가 생각하기 싫었던 지점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에게 이 영역은 마땅히 억압되어야 할 영역이다. 


그래서 ‘가벼운 일제시대’보다는 ‘가벼운 독립운동’이 훨씬 사람들을 거스르지 않는 선택이 된다. 때깔은 좋지만, 그게 우리의 환상을 침해해선 안 된다. 핸섬한 모던보이는 미워하기 힘든 대상이기 때문에 독립운동을 해야만 한다. 그런 면에서 보면 <경성스캔들>은 결코 용두사미로 끝난 드라마가 아니다. 오히려 한국인들의 욕망을 유행의 앞에서 끄집어낸 드라마다. 이 드라마를 (개인적으로 재미있게 봤음에도) 일본친구들이 본다고 생각하면 쪽팔린다는 생각밖에 안 드는데, 그것은 이 드라마가 ‘예외적’인 것이 아님을 나 자신이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마녀

2007.08.03 20:59:46
*.240.211.172

결코 가볍지 않은 명제.. 쉬이 다뤄질 수 없는 참을 수 없는
무거움의 존재.. 혹은 주제..

사랑과 낭만, 혁명과 투쟁

이 두 가지를 어느 것에도 치우침없이 말끔하게 진행을 하는
걸 보면서 그 시대의 아픔과 낭만과 혁명과 독립운동이 낯설
고, 감히 다가설 수 없는 거대 명제가 아니고, 친근하면서도
내게 익숙한 주제가 되어 주더라구요.

내겐 너무 반가운 드라마였어요. 한성별곡은.. 무거운 돌과
같았구요...

ghistory

2007.08.03 22:47:50
*.140.18.158

사람들은 '과거는 낯선 외국' 이라는 사실을 자주 잊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61 사건과 반복 [8] 하뉴녕 2009-05-05 920
960 "노동자"라는 진보의 근본어휘 하뉴녕 2003-03-12 921
959 드래곤 케이브 [3] 하뉴녕 2009-11-11 921
958 변희재의 김민선 비판에 대한 촌평 [13] 하뉴녕 2009-08-14 922
957 존나 무서운 이명박 [11] 하뉴녕 2009-11-09 922
956 [펌] 마재윤이 본좌라하되 하늘 아래 저그로다. [3] 하뉴녕 2007-02-25 923
955 촛불시위의 효과? [3] 하뉴녕 2009-01-06 923
954 노무현 지지자들의 이중성과 그릇된 믿음에 대해 하뉴녕 2003-12-19 924
953 잡담의 재구성 [4] 하뉴녕 2007-06-05 924
» 경성스캔들 : ‘가벼운 일제시대’가 아닌, ‘가벼운 독립운동’ [2] 하뉴녕 2007-08-03 924
951 국가와 자본의 폭력에 시달리는 기륭노동자들을 도와주세요. file [6] [1] 하뉴녕 2008-10-20 924
950 음주의 단계 하뉴녕 2007-01-19 925
949 오늘은 김택용이... file [17] 하뉴녕 2007-11-17 925
948 음주행위와 죽음충동 [12] 하뉴녕 2007-12-09 925
947 2008년 블로그 결산 [20] 하뉴녕 2008-12-31 925
946 [펌] 84의 전설 [8] 하뉴녕 2009-07-07 925
945 책장 file [23] 하뉴녕 2007-07-15 926
944 전도서에 바치는 장미 : 작품별 별점평 [3] 하뉴녕 2008-01-20 926
943 권영길 대표님, 결단을 내리십시오. 하뉴녕 2004-05-05 927
942 트윗하는 노회찬 file [11] 하뉴녕 2009-11-23 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