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명은 언제나 시기상조

아흐리만(한윤형)의 부끄러운 과거를 여러분 앞에 모두 공개합니다!

양비론 구별하기

조회 수 1111 추천 수 0 2003.03.12 03:09:00
그땐 뭔놈의 글을 이리도 많이 썼는지... 진보누리의 아흐리만씨는 참 부지런했다. (인터넷에서만)

---------------------------------------------------------------------------------------------

홍세화는 호남차별에 관해 양비론을 가지는 것은 호남차별에 동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진중권의 말이 이것과 달랐다고, 어떤 유령들은 대비된 발언을 엮어 여기저기 사이트에 퍼날랐다.

단적으로 말하면 나는 홍세화의 발언도 지지하고, 진중권의 발언도 지지한다. 둘의 발언은 사태의 다른 부분을 가리키는 것이다.

강준만식으로 단어 만들기 게임 해볼까? 상황의 변화를 막기 위해 이놈도 나쁘고 저놈도 나쁘다고 주장하는 "퇴행적 양비론"과 상황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구조를 분석하는 "발전적 양비론"은 구별되어야 한다. 정치 허무주의를 조성하고 수구기득권의 입맛에 맛는 것은 전자다. 그것에 대한 강준만의 비판은 올바르다. 그리고 일부 사이비진보가 자신의 글이 미치는 효과를 생각하지 못해 후자가 수구언론에서 전자를 전파하는 수단으로 전락했던 점이 있음도 인정된다. (그 사람들 대개 민주노동당과는 상관이 없는 사람들이었지만) 여기에 대한 강준만의 비판 역시 올바르다.

그러나 양비론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비판을 막는 효력이 있다. 한나라당 같은 놈이 있으면 다른 사회 주체들의 부정에 대해서는 입도 벙긋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반지의 제왕 사우론에 맞서 싸우기 위해서, 우리가 반지를 쓰던 말든 아무 상관하지 말라는 것이다. 이건 올바르지 않다. 최근 민주당 지지자들의 "양비론 비판"은 매사가 이런 것이다. 이것은 실용적이지도 않다.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양당"구조"를 존속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이용될 뿐이다.

역지사지로, 이렇게 생각해보자. 민주노동당을 비롯해 정치시장에 신규진입하려는 세력이 겪게 되는 차별이 있다. 이 차별에 대해 "민주노동당도 잘못이 있고, 언론과 정치권에도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 말하는 것은 매우 부당하다. (대개 민주당 지지자들이 이런식으로 말하드만.) 그러나 더 나아간 차원에서 민주노동당이 고쳐야 할 점을 비판하는 것은 충분히 인정된다. (물론 건실한 비판이어야 한다.) 이 두 가지를 구별하지 않으면 서로간에 개*새*끼 라는 규정 외에 나올 것이 없다. 의사소통이 막히는 것이다.

이것은 머리나쁜 수군작이 주장하는 것처럼 도덕성/윤리성의 문제가 아니다. 독백을 할 게 아니라면, 우리는 글을 쓰면서 의사소통이 되는 방향으로 걸어가야 한다. "양비론"이라는 단어를 기계적으로 "나쁜 것"이라고 규정하는 방식은, 상대방의 말을 막는 길이다. "양비론에 대한 조소"는 "퇴행적 양비론"만큼이나, 아니 그것보다 더 나쁘다. 강준만은 앞문의 늑대를 피하기 위해 뒷문에 호랑이를 부른 셈이다.

아흐리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1 [경향신문] 무지개 마을 친구들의 허약한 우정 [28] 하뉴녕 2011-05-07 5318
40 최원 님의 세 개의 트랙백에 대한 답변 [11] [1] 하뉴녕 2011-05-07 5425
39 안병진의 예측과 박근혜 문제 [16] 하뉴녕 2011-05-08 4566
38 뒤늦은 5.16 기념(?) 포스트 [22] [2] 하뉴녕 2011-05-18 5790
37 슈리, "좌파는 성매매를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비평 [9] [2] 하뉴녕 2011-05-18 5120
36 슈리 님의 답변에 대한 코멘트 [8] 하뉴녕 2011-05-19 2695
35 임금노동vs비임금노동 / 생산적노동vs비생산적노동 [4] [1] 하뉴녕 2011-05-19 3826
34 슈리/박가분 재비판 (1) - 오류도 명백해야 의미를 가진다. [8] 하뉴녕 2011-05-24 4233
33 슈리/박가분 재비판 (2) - 노동계급, 맑스주의의 아포리아? [21] 하뉴녕 2011-05-25 6125
32 2001년 8월-10월 : 박용진-강준만-주대환의 비판적 지지 논쟁 [57] 하뉴녕 2011-05-26 6647
31 강남좌파의 기원과 형성 [86] 하뉴녕 2011-05-28 9322
30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 합의문과 이후 상황에 대해 [11] [1] 하뉴녕 2011-06-02 4636
29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과 한국 사회? [11] 하뉴녕 2011-06-04 4824
28 슈리/박가분 재비판 (3) - 글의 논지가 안 보이는게 내 책임인가? file [15] [1] 하뉴녕 2011-06-04 5534
27 인식의 문제와 실천의 문제 : 누가 마르크스를 우습게 만드나? [15] 하뉴녕 2011-06-05 4522
26 "그냥 압니다"와 '방법적 신뢰'의 문제 [9] 하뉴녕 2011-06-06 4580
25 청춘상담앱 정혜신 인터뷰에 대한 아이추판다 님의 비판에 대한 답변 [59] [1] 하뉴녕 2011-06-07 5736
24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 교보문고 강연회 file [2] 하뉴녕 2011-06-14 3848
23 당신과 나의 전쟁 용화사 상영회 file 하뉴녕 2011-06-14 3864
22 홍진호 은퇴 file [8] 하뉴녕 2011-06-16 4680